Posted
Filed under 잡담
諸葛孔明

先帝 慮漢賊 不兩立 王業 不偏安 故 託臣以討賊也 以先帝之明 量臣之才 固知臣伐賊 才弱賊彊也 然不伐賊 王業亦亡 惟坐而待亡 孰與伐之 是故 託臣而不疑也
臣 受命之日 寢不安席 食不甘味 思惟北征 宜先入南 故 五月渡瀘 深入不毛 幷日而食 臣 非不自惜也 顧王業 不可得偏安於蜀都 故 冒危難以奉先帝之遺意 而議者謂爲非計
今賊 適疲於西 又務於東 兵法 乘勞 此 進趨之時也 謹陳其事如左
高帝 明並日月 謀臣 淵深 然 涉險被創 危然後安 今陛下未及高帝 謀臣 不如良平 而欲以長策取勝 坐定天下 此 臣之未解一也
劉繇王朗 各據州郡 論安言計 動引聖人 群疑滿腹 衆難 塞胸 今歲不戰 明年不征 使孫策 坐大遂幷江東 此 臣之未解二也
曹操智計殊絶於人 其用兵也髣髴孫吳 然 困於南陽 險於烏巢 危於祁連 偪於黎陽 幾敗北山 殆死潼關 然後 僞定一時爾 況臣 才弱而欲以不危而定之 此 臣之未解三也
曹操 五攻昌覇不下 四越巢湖不成 任用李服而李服 圖之 委任夏侯而夏侯敗亡 先帝每稱操爲能 猶有此失 況臣駑下 何能必勝 此 臣之未解四也
自臣到漢中 中間朞年耳 然 喪趙雲 陽群 馬玉 閻芝 丁立 白壽 劉郃 鄧銅等 及曲長 屯將七十餘人 突將無前 賨叟 靑羌 散騎 武騎一千餘人 此皆數十年之內 所糾合四方之精銳 非一州之所有 若復數年 則損三分之二也 當何以圖敵 此 臣之未解五也
今民窮兵疲 而事不可息 事不可息 則住與行 勞費正等 而不及蚤圖之 欲以一州之地 與賊持久 此 臣之未解六也
夫難平者 事也 昔 先帝敗軍於楚 當此時 曺操拊手 謂天下已定 然後 先帝東連吳越 西取巴蜀 擧兵北征 夏侯授首 此操之失計 而漢事將成也 然後 吳更違盟 關羽毁敗 秭歸蹉跌 曹丕稱帝


先帝 慮漢賊 不兩立 王業 不偏安 故 託臣以討賊也 以先帝之明 量臣之才 固知臣伐賊 才弱賊彊也 然不伐賊 王業亦亡 惟坐而待亡 孰與伐之 是故 託臣而不疑也
선제께서는 한을 훔친 역적과는 함께 설 수 없고, 왕업은 천하의 한모퉁이를 차지한 것에 만족해 주저앉아 있을 수 없다 여기시어 신에게 역적을 칠 일을 당부하셨습니다. 선제의 밝으심은 신의 재주를 헤아리시어, 신이 역적을 치는 데에 재주는 모자라고 적은 강함을 알고 계셨습니다. 그러나 역적을 치지 않으면 도리어 왕업이 망할 것이니 어찌 일어나 치지 않고 앉아서 망하기만을 기다릴 수 있겠습니까? 이에 그 일을 신에게 맡기시고 의심하지 않으셨습니다.

臣 受命之日 寢不安席 食不甘味 思惟北征 宜先入南 故 五月渡瀘 深入不毛 幷日而食 臣 非不自惜也 顧王業 不可得偏安於蜀都 故 冒危難以奉先帝之遺意 而議者謂爲非計
신은 그 같은 선제의 명을 받은 뒤로 잠자리에 누워도 편안하지 않고 음식을 먹어도 맛이 달지 아니했습니다. 북으로 위를 치려하면 먼저 남쪽을 평정해야 되겠기에 지난 5월에는 노수를 건넜습니다. 거친 땅 깊숙이 들어가 하루 한 끼를 먹으며 애쓴 것은 신이 자신을 아끼지 않아서가 아니었습니다. 왕업을 돌아보고, 성도에서 만족해 앉아 있을 수는 없다고 여겨, 위태로움과 어려움을 무릅쓰고 선제께서 남기신 뜻을 받들고자 한 것입니다. 그러나 그때도 따지기 좋아하는 사람들은 그게 좋은 계책이 못된다고 말했습니다.

今賊 適疲於西 又務於東 兵法 乘勞 此 進趨之時也 謹陳其事如左
이제 적은 서쪽에서 지쳐 있고 동쪽에서도 오나라에게 힘을 다 쓴 끝입니다. 병법은 적이 수고로운 틈을 타라 했으니 지금이야말로 크게 밀고 나아갈 때입니다. 거기에 관해 삼가 아뢰오면 아래와 같습니다.

高帝 明並日月 謀臣 淵深 然 涉險被創 危然後安 今陛下未及高帝 謀臣 不如良平 而欲以長策取勝 坐定天下 此 臣之未解一也
고제께서는 그 밝으심이 해나 달과 같고 곁에서 꾀하는 신하는 그 슬기로움이 깊은 못과 같았으나, 험한 데를 지나고 다침을 입으시며 위태로움을 겪으신 뒤에야 비로소 평안하게 되시었습니다. 그런데 이제 폐하께서는 고제에 미치지 못하시고 곁에서 꾀하는 신하도 장량이나 진평만 못하시면서도 장기적인 계책으로 이기고자 하시며 편히 앉으신 채 천하를 평정하고자 하십니다. 이는 바로 신이 이해하지 못할 첫번째 일입니다.

劉繇王朗 各據州郡 論安言計 動引聖人 群疑滿腹 衆難 塞胸 今歲不戰 明年不征 使孫策 坐大遂幷江東 此 臣之未解二也
유요와 왕랑은 모두 일찍이 큰 고을을 차지하여, 평안함을 의논하고 계책을 말할 때는 걸핏하면 성인을 끌어들였으되, 걱정은 뱃속에 가득하고 이런저런 논의는 그 가슴만 꽉 메게 하였을 뿐입니다. 올해도 싸우지 아니하고 이듬해도 싸우러 가기를 망설이다가 마침내는 손권에게 자리에 앉은 채로 강동을 차지하게 하고 말았던 것입니다. 이는 바로 신이 풀지못한 두 번째 일입니다.

曹操智計殊絶於人 其用兵也髣髴孫吳 然 困於南陽 險於烏巢 危於祁連 偪於黎陽 幾敗北山 殆死潼關 然後 僞定一時爾 況臣 才弱而欲以不危而定之 此 臣之未解三也
조조는 지모와 계책이 남달리 뛰어나고 군사를 부림에는 손자․오자를 닮았으나, 남양에서 곤궁에 빠지고 오소에서 험한 꼴을 당하며, 기련에서 위태로움을 겪고, 여양에서 쫓기고, 북산에서 지고, 동관에서 죽을 고비를 넘긴 뒤에야 겨우 한때의 평정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하물며 신하들이 재주도 없으면서 위태로움을 겪지 않고 천하를 평정하려 하니 그게 신이 알지 못할 세번째 일입니다.

曹操 五攻昌覇不下 四越巢湖不成 任用李服而李服 圖之 委任夏侯而夏侯敗亡 先帝每稱操爲能 猶有此失 況臣駑下 何能必勝 此 臣之未解四也
조조는 다섯 번 창패를 공격했으나 떨어뜨리지 못했고, 네 번 소호를 건넜으나 공을 이루지 못했습니다. 이복을 써보았으나 이복이 오히려 죽이려 들었고, 하후에게 맡겼으나 하후는 패망하고 말았던 것입니다. 선제께서는 매양 조조가 능력 있다고 추키셨으나 오히려 그같은 실패가 있었는데 하물며 신같이 무디고 재주없는 사람이 어떻게 반드시 이기기만을 바랄 수 있겠습니까? 이게 바로 신이 알 수 없는 네번째 일입니다.

自臣到漢中 中間朞年耳 然 喪趙雲 陽群 馬玉 閻芝 丁立 白壽 劉郃 鄧銅等 及曲長 屯將七十餘人 突將無前 賨叟 靑羌 散騎 武騎一千餘人 此皆數十年之內 所糾合四方之精銳 非一州之所有 若復數年 則損三分之二也 當何以圖敵 此 臣之未解五也
신이 한중에 온 지 아직 한 해가 다 차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조운․양군․마옥․염지․정립․백수․유합․동등과 그 아랫장수 일흔 남짓을 잃었습니다. 언제나 맨 앞장이던
빈수․청광이며 산기․무기를 잃은 것도 천 명이 넘는바 이는 모두 수십 년 동안 여러 지방에서 모아들인 인재요 한 고을에서 얻은 사람들이 아닙니다. 만약 다시 몇 년이 지난다면 이들 셋 중 둘은 줄어들 것이니 그때는 어떻게 적을 도모하겠습니까? 이것이 신이 알 수 없는 다섯번째 입니다.

今民窮兵疲 而事不可息 事不可息 則住與行 勞費正等 而不及蚤圖之 欲以一州之地 與賊持久 此 臣之未解六也
지금 백성들은 궁핍하고 군사들은 지쳐 있습니다. 그러나 할 일을 그만둘 수는 없는 것이, (할 일을 그만둘 수 없음은 곧) 멈추어 있으나 움직여 나아가나 수고로움과 물자가 드는 것은 똑같기 때문입니다. 차라리 일찍 적을 도모함만 못합니다. 그런데도 한 고을의 땅에 의지해 적과 긴 싸움을 하려 하시니 이는 신이 알 수 없는 여섯번째 일입니다.

夫難平者 事也 昔 先帝敗軍於楚 當此時 曺操拊手 謂天下已定 然後 先帝東連吳越 西取巴蜀 擧兵北征 夏侯授首 此操之失計 而漢事將成也 然後 吳更違盟 關羽毁敗 秭歸蹉跌 曹丕稱帝
무릇 함부로 잘라 말할 수 없는 게 세상 일입니다. 지난날 선제께서 초 땅에서 (조조와의) 싸움에 지셨을 때 조조는 손뼉을 치며 말하기를 천하는 이미 평정되었다 했습니다. 그러나 뒤에 선제께서는 동으로 오월과 손을 잡고 서로는 파촉을 얻으신 뒤 군사를 이끌고 북으로 가시어 마침내는 하후연을 목 베게까지 되었던 것입니다. 이는 조조가 계책을 잘못 세워 우리 한이 설 수 있게 해준 것이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하되 뒤에 오가 맹약을 어기매 관우는 싸움에 져서 죽고 선제께서는 자귀에서 일을 그르치시어 조비는 다시 천자를 참칭할 수 있었습니다.

凡事如是 難可逆見 臣 鞠躬盡瘁 死而後已 至於成敗利鈍 非臣之明 所能逆覩也
무릇 일이 이와 같아 미리 헤아려 살피기란 실로 어렵습니다. 신은 다만 엎드려 몸을 돌보지 않고 죽을 때까지 애쓸 뿐 그 이루고 못이룸, 이롭고 해로움에 대해서는 신의 총명이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바가 아닙니다.




두 번째 출사표를 낼 때다.
2013/02/22 17:00 2013/02/22 17:00
Posted
Filed under 잡담
諸葛孔明

先帝創業未半, 而中道崩殂. 今天下三分, 益州疲弊. 此誠危急存亡之秋也. 然侍衛之臣, 不懈於內, 忠志之士, 忘身於外者, 蓋追先帝之殊遇, 欲報之於陛下也. 誠宜開張聖聽, 以光先帝遺德, 恢弘志士之氣. 不宜妄自菲薄, 引喩失義, 以塞忠諫之路也. 宮中府中, 俱爲一體. 陟罰臧否, 不宜異同. 若有作奸犯科, 及爲忠善者, 宜付有司, 論其刑賞, 以昭陛下平明之理. 不宜偏私, 使內外異法也. 侍中侍郞, 郭攸之費褘董允等, 此皆良實, 志慮忠純. 是以先帝簡拔, 以遺陛下. 愚以爲, 宮中之事, 事無大小, 悉以咨之, 然後施行, 必能裨補闕漏, 有所廣益. 將軍向寵, 性行淑均, 曉暢軍事. 試用於昔日, 先帝稱之曰能. 是以衆議, 擧寵爲督. 愚以爲, 營中之事, 事無大小, 悉以咨之, 必能使行陣和睦, 優劣得所也. 親賢臣, 遠小人, 此先漢所以興隆也. 親小人, 遠賢臣, 此後漢所以傾頹也. 先帝在時, 每與臣論此事, 未嘗不歎息痛恨於桓靈也. 侍中尙書長史參軍, 此悉貞亮死節之臣. 願陛下親之信之, 則漢室之隆, 可計日而待也. 臣本布衣, 躬耕南陽. 苟全性命於亂世, 不求聞達於諸侯. 先帝不以臣卑鄙, 猥自枉屈, 三顧臣於草廬之中, 咨臣以當世之事. 由是感激, 遂許先帝以驅馳. 後値傾覆, 受任於敗軍之際, 奉命於危難之間. 爾來二十有一年矣. 先帝知臣謹愼. 故臨崩寄臣以大事也. 受命以來, 夙夜憂嘆, 恐託付不效, 以傷先帝之明. 故五月渡瀘, 深入不毛. 今南方已定, 兵甲已足. 當獎率三軍, 北定中原. 庶竭駑鈍, 攘除姦凶, 興復漢室, 還于舊都. 此臣所以報先帝, 而忠陛下之職分也. 至於斟酌損益, 進盡忠言, 則攸之禕允之任也. 願陛下託臣以討賊興復之效. 不效則治臣之罪, 以告先帝之靈. 若無興德之言, 責攸之禕允等之咎, 以彰其慢. 陛下亦宜自謀 以諮諏善道, 察納雅言, 深追先帝遺詔. 臣不勝受恩感激, 今當遠離, 臨表涕泣, 不知所云.


선제께서는 창업의 뜻을 반도 이루시기 전에 붕어하시고, 지금 천하는 셋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거기다가 우리 익주는 싸움으로 피폐해 있으니 이는 실로 나라가 흥하느냐, 망하느냐가 걸린 위급한 때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先帝創業未半而中道崩御 今天下三分 益州疲弊此誠危急存亡之秋也

그러하되, 곁에서 폐하를 모시는 신하는 안에서 게으르지 않고 충성된 무사는 밖에서 스스로의 몸을 잊음은, 모두가 선제의 남다른 지우를 추모하여 폐하께 이를 보답하려 함인 줄 압니다.
然侍衛之臣不懈於內忠志之士忘身於 外者蓋追先帝之殊遇報之於陛下也

마땅히 폐하의 들으심을 넓게 여시어, 선제께서 끼친 덕을 더욱 빛나게 하시며, 뜻있는 선비들의 의기를 더욱 넓히고 키우셔야 할 것입니다.
誠宜開張聖聽以光先帝之遺德恢弘志 士之氣

결코 스스로 덕이 엷고 재주가 모자란다고 함부로 단정하셔서는 아니되며, 옳지 않은 비유로 의를 잃으심으로서 충성된 간언이 들어오는 길을 막으셔서도 아니됩니다.
不宜妄自菲薄引遺喩失義以塞忠諫之 路也

폐하께서 거처하시는 궁중과 관원들이 정사를 보는 조정은 하나가 되어야 합니다. 벼슬을 올리는 일과 벌을 내리는 일은 그 착함과 악함에 따라야 한다는 것이 궁중 다르고 조정 달라서는 아니됩니다.
宮中府中俱爲一體陟罰臧否不宜異同

간사한 죄를 범한 자나 충성되고 착한 일을 한 자는 마땅히 그 일을 맡은 관원에게 넘겨 그 형벌과 상을 결정하게 함으로써 폐하의 공평하고 밝은 다스림을 세상에 뚜렷하게 내비치도록 하십시오.
若有作奸犯科及爲忠善者宜付有司論 其刑賞以昭陛下平明之治

사사로이 한쪽으로 치우쳐 안과 밖의 법이 서로 달라지게 해서는 아니됩니다.
不宜偏私使內外異法也

시중벼슬 시랑벼슬에 있는 곽유지, 비위, 동윤은 모두 선량하고 진실되며 뜻과 헤아림이 충성되고 깨끗합니다. 선제께서는 그 때문에 그들을 여럿 가운데서 뽑아 쓰시고 폐하께까지 넘겨주신 것입니다.
侍中侍郞郭攸之費褘董允等此皆良實 志慮忠純是以先帝簡拔以遺陛下

어리석은 생각으로는, 궁중의 일은 일의 크로 작음을 가림없이 그들에게 물어 그대로 따르심이 좋겠습니다. 그들은 빠지거나 새는 일 없도록 폐하를 보필하여 이로움을 넓혀 줄 것입니다.
愚以爲宮中之事事無大小悉以咨之然 後施行必能裨補闕漏有所廣益

장군 향총은 그 성품과 행동이 맑고 치우침이 없으며 군사를 부리는 일에도 구석구석 밝습니다. 지난 날 선제께서도 그를 써보시고 능력이 있다고 말씀하신 바 있어 여럿과 의논 끝에 그을 도독으로 삼은 것입니다. 어리석은 생각으로는, 군사에 관한 일이면 크고 작음을 가림이 없이 그와 의논하는 게 좋겠습니다. 반드시 진중의 군사들을 화목하게 하고 뛰어난 자와 못한 자를 가려 각기 그 있어야 할 곳에 서게 할 것입니다.
將軍向寵性行淑均曉暢軍事試用之於 昔日先帝稱之曰能是以衆議擧寵以爲 督愚以爲營中之事事無大小悉以咨之 必能使行陣和睦優劣得所也

어질과 밝은 신하를 가까이 하고 소인을 멀리 한 까닭에 전한은 흥성하였고, 소인을 가까이 하고 어진 신하를 멀리 한 까닭에 후한은 기울어졌습니다. 선제께서 살아 계실 때 이 일을 논하다 보면 환제, 영제시절의 어지러움을 통탄하고 한스럽게 여기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親賢臣遠小人此先漢所以興隆也親小 人遠賢臣此後漢所以傾頹也先帝在時 每與臣論此事未嘗不歎息痛恨於桓靈 也

지금 시중상서 장사 참군 자리에 있는 세 사람은 곧고 발라 절의를 지켜 죽을 만한 신하들입니다. 폐하께서 그들을 가까이 하시고 믿어 주시면 한실이 다시 융성하기를 날을 헤며 기다릴 수 있을 것입니다.
侍中尙書長史參軍此悉貞亮死節之臣 也願陛下親之信之則漢室之隆可計日 而待也

신은 본래 아무런 벼슬 못한 평민으로 몸소 남양에서 밭 갈고 있었습니다. 어지러운 세상에서 목숨이나 지키며 지낼 뿐 조금이라고 제 이름이 제후의 귀에 들어가 그들에게 쓰이게 되기를 바라지 않았습니다.
臣本布衣躬耕南陽苟全性命於亂世不 求聞達於諸侯

선제께서는 신의 낮고 보잘 것 없음을 꺼리지 않으시고, 귀한 몸을 굽혀 신의 오두막집을 세 번이나 찾으시고 제게 지금 세상에서 해야 할 일을 물으셨습니다. 이에 감격한 신은 선제를 위해 개나 말처럼 닫고 헤맴을 받아 들였던 것입니다.
先帝不以臣卑鄙猥自枉屈三顧臣於草 廬之中咨臣以當世之事由是感激遂許 先帝以驅馳

그 뒤 선제의 세력이 엎어지고 뒤집히려 할 때 신은 싸움에 진 군사들 틈에서 소임을 맡고 위태롭고 어려운 지경에서 명한 해, 선제께서는 신이 삼가고 성실함을 알아주시고, 돌아가실 즈음하여 신에게 나라의 큰 일을 맡기셨던 것입니다.
後値傾覆受任於敗軍之際奉命於危難 之間爾來二十有一年矣先帝知臣謹愼 故臨崩寄臣以大事也

명을 받은 이래, 아침부터 밤까지 신이 걱정하기는 두렵게도 그 당부를 들어 드리지 못하여 선제의 밝으심을 다치지나 않을까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리하여 지난 오월에는 노수를 건너 그 거친 오랑캐 땅 깊이까지 들어 갔습니다.
受命以來夙夜憂嘆恐託付不效以傷先 帝之明故五月渡瀘深入不毛

이제 다행히 남방은 평정되었고, 싸움에 쓸 무기며 인마도 넉넉합니다. 마땅히 삼군을 격려하고 이끌어 북으로 중원을 정벌해야 합니다. 느린 말과 무딘 칼 같은 재주나마 힘을 다해 간사하고 흉악한 무리를 쳐 없애고 한실을 부흥시켜 옛 서울로 되돌리겠습니다.
今南方已定兵甲已足當奬率三軍北定 中原庶竭駑鈍攘除姦凶興復漢室還於 舊都

이는 신이 선제께 보답하는 길일 뿐만 아니라 폐하께 충성하기 위해 마땅히 해야 할 일이기도 합니다. 그 동안 이곳에 남아 나라에 이롭고 해로움을 헤아려 폐하께 충언 올리는 것은 곽유지와 비위 동윤의 일이 될 것입니다.
此臣所以報先帝而忠陛下之職分也至 於斟酌損益進盡忠言則攸之褘允之任 也

바라건데 폐하께서는 신에게 역적을 치고 나라를 되살리는 일을 맡겨 주시옵소서. 그리고 신이 만약 제대로 그 일을 해 내지 못하면 그 죄를 다스리시고 선제의 영전에 알리옵소서. 만일 폐하의 덕을 흥하게 할 충언이 없으면 곽유지와 비위 동윤을 꾸짖어 그 게으름을 밝히옵소서.
願陛下託臣以討賊興復之效不效則治 臣之罪以告先帝之靈若無興德之言責 攸之褘允等之咎以彰其慢

폐하 또한 착한 길을 자주 의논하시어 스스로 그 길로 드시기를 꾀하소서. 아름다운 말은 살피시어 받아들이시고 선제께서 남기신 가르치심을 마음 깊이 새겨 쫓으시옵소서. 신은 받은 은혜에 감격하여 이제 먼길을 떠나거니와, 떠남과 즈음하여 표문을 올리려 하니 눈물이 솟아 더 말할 바를 알지 못하겠습니다.
- 건흥5년 평북대도독 승상 무향후 영익주목 지내외사 제갈량
陛下亦宜自謀以諮諏善道察納雅言深 追先帝遺詔臣不勝受恩感激今當遠離 臨表涕泣不知所云
- 建興五年 平北大都督 丞相 武鄕侯 領益州牧 知內外事 諸葛亮


◈出師表(출사표)◈
중국 삼국시대 촉(蜀)나라의 제상 제갈 공명(諸葛孔明)의 상주문(上奏文).
구분 : 표(表):중국의 문체(文體)의 하나로 신하가 자기의 생각을 서술하여 황제에게 고하는 상주문(上奏文).
저자 : 제갈 공명(중국 삼국시대 촉한(蜀漢:220∼263)의 정치가·전략가. 별칭 : 자 공명, 시호 충무, 와룡선생)
위(魏)나라 토벌을 위한 출진(出陣) 때, 촉제(蜀帝) 유선(劉禪)에게 바친 글로서, 전후 두 편인데 전편은 227년 작이고 후편은 228년(?) 작이다. 《삼국지(三國志)》의 <제갈량전(諸葛亮傳)>, 《문선(文選)》 등에 수록되어 있다. “선제(先帝)의 창업(創業) 아직 반(半)에 이르지 못하고 중도에 붕조(崩조:崩御)하다”라는 서두로 시작된다. 국가의 장래를 우려한 전문(全文)은 제갈 공명의 진정(眞情)을 토로한 정열적인 고금(古今)의 명문(名文)으로 알려져 있다.
2008/04/21 23:52 2008/04/21 2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