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Filed under 연구
다음 순서대로 공부하면 되겠지만, 물리는 토론하며 실험하며 공부하는 게 중요.

1. Feynman Lectures on Physics I, II, III
영어가 60년대 미국 생활영어라서 읽기는 까다롭지만 좋은 책.
I은 고전역학, II는 전자기학, III은 양자역학
Feynman이 살아생전에 칼텍 학생들 가르친걸 녹음떠다가 지은 책

2. Fundamentals of Physics
물리학 입문의 바이블 (잔소리 필요없음)

3. Electricity and Magnetism (Reitz)
하도 오랫동안 안본 책이라 제목이 맞는지는 까먹었음
전자기학을 잘 설명한 책

4. Classical Dynamics (Marion)
고전역학을 잘 설명한 책
다른 책보다 처음은 어렵게 시작하지만 많은 도움이 됨
깔끔한 기술이 돋보임

5. Mathematical Method for Physicists (Arfken)
수리물리 교재의 Bible. 이 책 한권에는 물리에 쓰이는 거의 모든 수학이 망라
두고두고 보면서 풀면서 음미해 볼만한 책

6. Quantum Mechanics (Liboff)/양자역학 (송희성)
두 책 모두 권하고 싶은 책.
이 두 권을 제대로 이해하면 이제 슬슬 물리에서 뭐하는지 감이 잡힘.
요기까지 제대로 넘어야 이제 물리에 대해 제대로 된 질문을 할 수 있음.

7. Fundamentals of Statistical Mechanics (Reif)
통계물리에서 시작해서 열물리로 넘어가는
현대적인 기술 방법임. 너무너무 권장함.
일단 여기까지 오면 물리학에서 배워야 할 기본적인 것을 간신히 배웠다고
할 수 있음. 이때가 3학년 2학기임

저 책들을 볼때는 1. 의 Vol 1 과 2.를 같이 보도록 하고
2.의 초반이 끝나갈 무렵부터는 4.를 같이 보기 시작하면 좋음
즉, 고전 역학을 위해 3권 정도로 기초를 튼튼히..
3. 과 1.의 Vol II와는 같이 볼것.
3.과 Vol II가 중반이 넘어가면 수학을 다지기 위해 5를 보기 시작
이 과정이 끝나면
1. Vol III와 6을 같이 볼것
즉, 3권 정도
그러면서 동시에 7을 같이 봐야 할 것임.

그리고 1 단계를 위해서 필요한 수학을 나열하면
1. 미분적분학
2. 해석학
3. 미분방정식
4. 선형대수
5. 복소해석학

대충 이 5가지의 수학은 거의 필수이고
5.를 보게 되면 어떤 수학이 필요한지가 잘 드러나니깐
그 후로는 스스로 책을 고를 수 있을 것임
이렇게 기초만 3년 다지고
고체물리, 핵물리, 광학 등등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 분야들은 앞에서 배운걸 동시에 써먹기 때문에
기초를 제대로 해두지 않으면 별나라 예기로 들릴 것임.
여기까지 배우면 학부는 대충 마치는 것이고

대학원에 들어가게 되면 배우는 것은
역시
1. 고전역학
2. 전자기학
3. 양자역학
4. 통계물리학
을 또 다시 배움 연구할 때는 이 정도는 봐야 기초가 됨

참고 교재로
1. Classical Mechanics (Goldstein)/Mechanics (Landau)
2. Classical Electrodynamics (Jackson)
3. Mordern Quantum Mechanics (Sakurai)
5. 아직 바이블이라고 할 교재가 없음
아 위에 4가 아니라 5임

대충 요렇게 또 기초를 닦으면 다 될거 같지만
또다른 수준의 기초가 필요함
즉, 양자장 이론이라는 것인데
소개 할 만학 책이
두 부류로 나뉨

하나는 입자물리쪽이고 다른 하나는 다체이론쪽임
1. Advanced Quantum Mechanics (Sakurai)
2. An Introduction to Quantum Field Theory (Sterman)
3. Quantum Many Particles (Fetter and Wallecker)
4. Quantum Many Particle System (Negel and Orlando)
그리고 Bjorkan의 책이 있지만 권하지 않음
여기에서는 상당히 복잡한 수학이 나오는데
도움이 될만한 책은
1. Group Theory In Physics (누구?)
2. Topology (Munkres)
등등이 있음


*역학

more..


*전자기학

more..



*양자역학

more..



*통계역학

more..



*수리물리학

more..


2008/06/23 12:05 2008/06/23 12:05
김영주

물리학 관련소설을 보면 수학 삭제하고 나오는데 제가 알기론 누군지 기억은 안나는데

어떤수학자가 최고로 복잡한 수학공식을 자기집 가정부에게 단계 단계 잘 정리에서

끈어서 갈켜줬더니 이해했다능......그렇다면 맨날 복잡해서 생략했다는 소리좀 하지말고

컴퓨터 프로그래밍 순서도 처럼 정확하게 정리해서 일반인도 풀어볼수 있게 함 어떨가 했는데

그런건 니가 만들램 만들어라 식이니 물리학과 수학에 문외한인 저에겐 깊은 한숨뿐입니다.

클리아르

복잡해서 생략하는 건 사실 자기도 몰라서 그러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물리학을 제대로 알려면 수학이 중요하긴 합니다. 수학은 그저 미적분해서 문제푸는 학문이 아니라 자연과학자들이 사용하는 단 하나의 공통된 언어이기 때문에 그들이 하는 말을 알아듣고 싶으면 그 말의 문법부터 일단 알아야 하죠.

다만 그 설명이 능숙하느냐 아닌가... 가르치는 사람에 커다란 차이가 있기는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