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Filed under 음악감상실

그러고보니 이런 노래도 있긴 했었군... 어디서 들었더라...

하여튼 내용은 프랑스빵에 대한 노래입니다. 오해하지 마시오!!



カトリーヌ: あらあんなところにピエールがいるわ
ピエール:  おやあんなところにカトリーヌがいるよ
カトリーヌ: まあピエール
ピエール:  やあカトリーヌ
ピエール カトリーヌ: お久しぶり

カトリーヌ: あらピエールたらこんなところで
        そんなモノを丸出しにしてー
ピエール:  ただ何となく丸出しにしたくて
カトリーヌ: それにしてもいい色ねー
ピエール:  そうかなあ?

カトリーヌ: ちょっと触っていいかしら?
ピエール:  こんなところで?
カトリーヌ: それにしても太いわねー
ピエール:  そうかなあ?

カトリーヌ: ちょっと握っていいかしら?
ピエール:  えっ? こんなところで?
カトリーヌ: それにしても固いわねー
ピエール:  そうかなあ?

カトリーヌ: ちょっとくわえてみてもいいかしら?
ピエール:  こんなところで?
カトリーヌ: あ~ら、おいしいーわ とってもおいしいわ

ピエール: こぼれまつば
カトリーヌ: はまちどり
ピエール: きくいちもんじ
カトリーヌ: しめこみにしき
ピエール: ごしょぐるま
カトリーヌ: みだれぼたん
ピエール: まんじくずし
カトリーヌ: くるいじし
ピエール: つばめがえし


カトリーヌ: あーら、気持ちいいわ うーん、とおってもいい気持ち
ピエール:  そうかなあ?
カトリーヌ: ちょっとこのままー 一回転してむこう向きになってもー
         いいかしら?
カトリーヌ: 入れたままでー
ピエール カトリーヌ: 入れたままでー(二人)

カトリーヌ: ちょっと、このままー 私の両足を
       肩の上にのせていいかしら 入れたままー
ピエール:  えっ いれたままで?
カトリーヌ: あら 気持ちいいわ うーんとってもいい気持ち
ピエール: そうかなあ?
カトリーヌ: ちょっとだけイッてみてもいいかしら
ピエール: えっ こんなところで?
カトリーヌ: あーん あらイッたわ ううん、私イッたわー
ピエール: そうかなあ?


カトリーヌ: たからぶね
ピエール: かげろう
カトリーヌ: ほんちゃうす
ピエール: しめこみちどり


カトリーヌ: あぁら 気持ちいいわー うーんとっても いい気持ち
ピエール: そうかなあ?
カトリーヌ: ちょっとこのまま 3回転して 四つん這いになってもー
        いいかしら? いれたままでー
ピエール カトリーヌ: いれたままでー

カトリーヌ: ちょっとこのまま 最後のフィニッシュ
        あおむけになっても いいかしら いれたまま
ピエール: えっ それはフツーのやつだね
カトリーヌ: うーん とってもいい気持ち
ピエール: そうかなあ?
カトリーヌ: 2回目 イッてみてもいいかしら
ピエール: えっ こんなところで
カトリーヌ: あーん あらイッたわ うーん わたしイッたわ
ピエール: そうかなあ
カトリーヌ: わたし 今日はこれくらいにしておくわ

カトリーヌ: じゃあねピエール
ピエール:  またねカトリーヌ
ピエール カトリーヌ: ごーきーげーんーよーうー(二人)
2017/09/30 22:43 2017/09/30 22:43
Posted
Filed under 잡다한정보/정치&사회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내외 귀빈 여러분,

오늘 10.4 정상선언 10주년을 기념하는 자리에

함께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 회담의 준비위원장이었던 저도

이 자리에 서게 되니 만감이 교차합니다.

10년 전, 남북의 두 정상은

‘남북관계 발전과 평화번영을 위한 선언’을 했습니다.

그 선언이 제대로 이행되었다면,

남북관계가 지금과 얼마나 달라졌을까 생각해 봅니다.

그날 도라산역에서 노무현 대통령께서

회담의 성과를 설명하던 기억도 생생합니다.

남과 북의 그 벅찬 합의와 감격으로부터

평화의 한반도를 다시 시작하고픈 마음, 간절합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10.4 정상선언은 한반도의 평화지도였습니다.

한반도에서 전쟁과 반목의 역사를 걷어내고,

평화와 공동번영의 새로운 지도를 그려나가자는

남북의 공동선언이었습니다.

남북관계의 기본이 상호존중과 신뢰의 정신임을 분명히 했고,

한반도에서 더 이상의 전쟁은 없어야 한다는 데 공감했습니다.

남북간 협력을 위한 군사적 보장과 신뢰구축조치와 함께,

북핵문제 해결까지 합의했습니다.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와 다양한 경제협력을 통해

우발적인 무력충돌의 가능성까지 원천적으로 없애고

평화 번영의 길을 남북이 함께 개척하는

담대하고 창의적인 접근에도 뜻을 같이 했습니다.

저와 우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 신북방정책 역시

그 정신을 계승하고 있습니다.

10.4 정상선언은 노무현정부에서 갑자기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습니다.

남북화해와 평화통일을 위한

역대정부의 노력과 정신을 계승한 것이었습니다.

박정희 대통령은 7.4 남북공동성명을 통해

통일의 원칙으로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을 대내외에 천명했습니다.

분단 이후 처음으로 남북이 통일의 원칙에 합의한 이 정신은

노태우 대통령의 남북기본합의서,

김대중 대통령의 6.15 공동선언으로 이어졌고,

그 모든 성과들을 계승하고 포괄하면서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담아

노무현 대통령의 10.4 정상선언이 이뤄졌습니다.

이렇게 10.4 정상선언은

역대 정부가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

오랜 세월 한 걸음, 한 걸음씩 힘들게 진척시켰던

노력의 결실이었습니다.

10.4 정상선언이 이행되어 나갔다면

현재 한반도 평화 지형은 크게 변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지난 10년,

10.4 정상선언을 비롯한 역대 정부의 모든 노력이 물거품이 되었고,

남북관계는 박정희 대통령의 7.4 남북공동성명 이전으로 되돌아갔습니다.

남북관계는 완전히 단절되었고,

북한의 핵과 미사일은 갈수록 고도화되어

우리뿐 아니라 전세계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에 지금 우리가 치르고 있는 엄청난 비용을 생각하면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내외 귀빈 여러분,

지금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환경은 그 어느 때보다 엄중합니다.

그러나 최근 북한의 연이은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도발에 대해

국제사회는 유례없이 함께 분노하며

한 목소리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스스로 핵을 포기할 때까지

제재의 강도를 높이고 단호하게 압박해야 한다는 것에 대해

국제사회의 의견이 일치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북한의 핵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입니다.

북한이 전세계를 상대로 핵으로 맞서려해서는

미래가 없다는 것을 깨닫도록 할 것입니다.

그와 함께 분명한 것은 한반도 평화와 번영의 여정은

어떤 난관이 있더라도 중단되어서는 안된다는 사실입니다.

국제사회도 평화적 해결원칙을 거듭거듭 확인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국민의 안전과 평화적인 상황관리가 우선입니다.

우리 정부는 이러한 과정에서 군사적 억지력을 확보하는 한편,

지나치게 긴장을 격화시키거나 군사적 충돌이 야기되지 않도록

국제사회와 협력할 것입니다.

북한에게도 여전히 기회는 열려 있습니다.

여러 번 밝혔듯이 북한이 무모한 선택을 중단한다면

대화와 협상의 테이블은 항상 열려 있습니다.

북한이 핵을 포기하는 대신,

우리는 국제사회와 함께 북한의 발전을 도울 것입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북한의 도발이 계속되고 남북관계가 주춤거릴 때마다

누구보다 우리 국민들의 걱정이 클 것입니다.

촛불혁명으로 새로운 대한민국을 꿈꾸고

남북관계에서도 새로운 역사가 펼쳐지길 기대했던 만큼,

국민들은 안타까울 것입니다.

그러나 이 위기를 넘어서야 10.4 정신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우리 국민들은 민주주의가 위기에 처했을 때 촛불을 들었습니다.

한반도의 평화도 지금 위기 상황입니다.

여야 정치권이 정파적 이익을 초월하여 단합하고

국민들께서 평화라는 오직 하나의 목표로 마음을 모아주시면,

우리는 늘 그래왔듯이,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평화는 현실이 될 것이며, 10.4 정상선언은

여전히 살아있는 합의로 숨쉬게 될 것입니다.

10.4 정상선언 합의 중 많은 것은

지금도 이행 가능한 것들입니다.

특히 평화, 군비통제 분야에서 합의한 군사회담의 복원은

남북 간의 긴장완화를 위해 시급히 이뤄져야 합니다.

인도적 협력도 마찬가지입니다.

무엇보다 이산가족 상봉은 더 이상 늦출 수 없습니다.

김정은 위원장과 북한 당국에 촉구합니다.

핵과 미사일 도발을 멈추고, 10.4 정상선언의 정신으로 돌아오기 바랍니다.

남과 북이 함께

10.4 정상선언이 여전히 유효함을 선언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내외 귀빈 여러분,

노무현재단 회원 여러분,

고뇌 속에서 한반도 평화를 염원하던 노무현 대통령님이 그립습니다.

이 땅의 평화를 위해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신 분입니다.

언제나 당당했고 누구보다 따뜻한 마음을 가진 분이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제가 지켜보는 눈 앞에서

군사분계선을 직접 걸어 넘으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저는 이번에 대통령으로서 이 선을 넘어갑니다.

제가 다녀오면 더 많은 사람들이 다녀오게 되고

점차 금단의 선이 무너질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10.4 정상선언은 금단의 선을 넘는 수많은 국민들에 의해

반드시 이행될 것입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그런 국민들의 가슴에 영원히 살아계실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2017년 9월 26일

대한민국 대통령 문 재 인

2017/09/27 19:38 2017/09/27 19:38
Posted
Filed under 잡다한정보/컴터관련
파이어폭스 부가기능을 쓰면서 가장 명심하는 것은 '안쓸 수 있으면 굳이 설치하지 말자' 이다. 따로 설치해서 쓰면 더 편할 수 있지만 현재 설치한 부가기능이 그 기능을 어쨌든 만족하고 있으면 설치하지 않는다. 느려지기 때문에... 어쨌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나 많은 부가기능을 설치해서 쓰고 있다.

*1-Click YouTube Video Download : 유튜브 영상 다운로드

*Adblock Plus : 웹사이트의 플래쉬등 자동광고를 차단.

*Add to Search Bar : 우상단 검색바에 검색사이트를 추가할 수 있게 해 주는데 내가쓰는 검색사이트는 다음과 같다.(일단 등록한후엔 DIsable)

-Google
-다음
-Google 학술검색
-다음사전
-Thesaurus.com
-Wikipedia(JP)
-Wikipedia(EN)
-영어-가나발음표기
-엔하위키

*All-in-One Gestures : 여러가지 동작을 마우스 제스처만으로 가능하게 만듬.

*AutoPagerize : 페이지를 첫 장에 계속 붙여주는 편리한 툴.

*Browsec VPN : VPN 기능

*Download Manager (S3) : 파폭 단독으로 제공하는 다운로드 인터페이스는 좀 지저분한데 이걸로 매우 깔끔하게 정리가능.

*DownThemAll! : 페이지에 표시된 파일을 주루룩 다운받고 싶을 때 사용하는 플러그인. 보통은 이미지를 긁을 때 쓴다.

*Fast Dial : 크롬시작화면처럼 새탭에 자주가는 사이트를 띄워주는 플러그인. 내역을 북마크에 저장하기 때문에 어디서든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음.

*Flagfox : 서버위치를 국기로 표시해줌

*Forecastfox : 파폭 상태바에 몇일치 날씨를 표시해준다. 데스크톱 가젯을 쓰기 싫어서 설치한 프로그램. 대충 잘 맞는다.

*LastPass : 로보폼은 구입해야되고 Sxipper는 자동로그인이 없어서 찾아보다가 나온 패스워드 관리 플러그인.

*Open With : 현재 페이지를 다른 브라우저로 열어줌

*Print Edit : 페이지를 잘라내서 PDF화 해줌.

*Restart application : 다시 시작 버튼을 달아줌.

*Right Encoding : 파폭은 자동으로 웹페이지의 언어를 인코딩해주지만 틀릴때도 있는데 편하게 인코딩을 바꿀 수 있도록 해 줌.

*Table2Clipboard : 파폭의 경우 웹의 테이블을 엑셀에 복사하면 텍스트만 복사되는데 외형을 유지시켜주는 플러그인.

*Top and Bottom scroll buttons : Home / End 버튼을 화면에 표시해줌

*Undo Closed Tabs Button : 잘못해서 닫은 탭을 다시 열수 있게 해주는 기능.

*User Agent Switcher : User Agent를 바꿀수 있게 해줌

*Youtube Video Replay : 유튜브에 반복재생 버튼을 달아줌.

*Xmarks : 북마크싱크 플러그인

*Zoom Page : 페이지 줌인/아웃

*Enable Right Click and Copy : 오른쪽버튼 클릭 활성화

*Zotero : http://silphion.net/539 을 참고.
Word for Windows Plugin for Zotero

*Greasemonkey 주로 표시중인 웹 페이지를 이것저것 만질수 있게 해주는 플러그인.
-Zeroboard Fix : 파폭에서는 제로보드의 쪽지기능이 작동을 안하는데 이걸 작동하게 만들어주는 스크립트.


*테마

-Nendoroido snow HATSUNE MIKU persona : 유키미쿠 테마

-FT DeepDark : 검은색 테마
2017/09/27 19:29 2017/09/27 19:29

파이어폭스를 사용하기 시작한지 어느덧 1년이 다 되어간다. 그렇다고 해도 사실 3.0 한글판이 나오고 사용하게 된 샘이니까 그렇게 오래되었다고 할 수 없지만 그사이 정말이지 열광적인 파폭?

빈스

역시 몇개는 공통적으로 쓰이는군... 난 거기에 메모리 폭스랑 스피드 다이얼, 페르소나 같은 것도 쓰고 있는데 다 괜찮은 것 같음. 파폭이 좀 무거운 것 빼고는 기능이 쓸만한게 많아서 좋아

클리아르

그러게~ 버전 6 개발하고 있다니 기다려보셈~

써니

잘보고 갑니다.
그런데 Undo Closed Tabs Button 는 파폭에 내장되어있는 닫은 탭 다시 열기 기능을
단순히 상단바에 표시해주는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탭바에서 우클릭하시면 닫은 탭 다시열기라고 나와요 ㅎㅎ

클리아르

아 그랬군요ㅋㅋ 개인적으로는 탭 인터페이스에 내장해줬으면 좋겠어요. 따로 플러그인 안깔아도 되게...

Playing

안녕하세요 ~ 좋은 글 잘 봤습니다
아 이번에 오랫만에 불여우 업데이트하면서 부가기능도 찾아보고 있었어요

그런데 매우 마음에 드는 걸 추천받았네요
저는 다시 시작, 닫은 탭 다시 열기, Nendoroido snow HATSUNE MIKU persona 를 새로 맞이했네요

그리고 http://paperinz.com/2220
Extension Options Menu 라는 것도 추가했습니다. 그냥 들어가면 되지만 은근히 귀찮을 때 좋네요 ;;

아무튼 추워진다니 준비 잘하시길~!

클리아르

미쿠 페르소나 귀엽지요.. 잘 쓰세요~

Posted
Filed under 음악감상실
2017/08/25 20:04 2017/08/25 20:04
Posted
Filed under 음악감상실
2017/08/24 00:23 2017/08/24 00:23
Posted
Filed under 잡다한정보/정치&사회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독립유공자와 유가족 여러분, 해외에 계신 동포 여러분,

촛불혁명으로 국민주권의 시대가 열리고 첫 번째 맞는 광복절입니다. 오늘, 그 의미가 유달리 깊게 다가옵니다.

국민주권은 이 시대를 사는 우리가 처음 사용한 말이 아닙니다. 백 년 전인 1917년 7월, 독립운동가 14인이 상해에서 발표한 ‘대동단결 선언’은 국민주권을 독립운동의 이념으로 천명했습니다. 경술국치는 국권을 상실한 날이 아니라 오히려 국민주권이 발생한 날이라고 선언하며, 국민주권에 입각한 임시정부 수립을 제창했습니다. 마침내 1919년 3월, 이념과 계급과 지역을 초월한 전 민족적 항일독립운동을 거쳐, 이 선언은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하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국민주권은 임시정부 수립을 통한 대한민국 건국의 이념이 되었고, 오늘 우리는 그 정신을 계승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국민이 주인인 나라를 세우려는 선대들의 염원은 백 년의 시간을 이어왔고, 드디어 촛불을 든 국민들의 실천이 되었습니다.

광복은 주어진 것이 아니었습니다. 이름 석 자까지 모든 것을 빼앗기고도 자유와 독립의 열망을 지켜낸 삼천만이 되찾은 것입니다. 민족의 자주독립에 생을 바친 선열들은 말할 것도 없습니다. 독립운동을 위해 떠나는 자식의 옷을 기운 어머니도, 일제의 눈을 피해 야학에서 모국어를 가르친 선생님도, 우리의 전통을 지켜내고 쌈짓돈을 보탠 분들도, 모두가 광복을 만든 주인공입니다.

광복은 항일의병에서 광복군까지 애국선열들의 희생과 헌신이 흘린 피의 대가였습니다. 직업도, 성별도, 나이의 구분도 없었습니다. 의열단원이며 몽골의 전염병을 근절시킨 의사 이태준 선생, 간도참변 취재 중 실종된 동아일보 기자 장덕준 선생, 무장독립단체 서로군정서에서 활약한 독립군의 어머니 남자현 여사,

과학으로 민족의 힘을 키우고자 했던 과학자 김용관 선생, 독립군 결사대 단원이었던 영화감독 나운규 선생, 우리에게는 너무도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있었습니다.

독립운동의 무대도 한반도만이 아니었습니다. 1919년 3월 1일 연해주와 만주, 미주와 아시아 곳곳에서도 한 목소리로 대한독립의 함성이 울려 퍼졌습니다.

항일독립운동의 이 모든 빛나는 장면들이 지난 겨울 전국 방방곡곡에서, 그리고 우리 동포들이 있는 세계 곳곳에서, 촛불로 살아났습니다. 우리 국민이 높이든 촛불은 독립운동 정신의 계승입니다.

위대한 독립운동의 정신은 민주화와 경제 발전으로 되살아나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들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희생하고 땀 흘린 모든 분들, 그 한 분 한 분 모두가 오늘 이 나라를 세운 공헌자입니다.

오늘 저는 독립유공자와 유가족 여러분, 그리고 저마다의 항일로 암흑의 시대를 이겨낸 모든 분들께, 또 촛불로 새 시대를 열어주신 국민들께, 다시금 깊은 존경과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아울러 저는 오늘 우리가 기념하는 이 날이 민족과 나라 앞에 닥친 어려움과 위기에 맞서는 용기와 지혜를 되새기는 날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존경하는 독립유공자와 유가족 여러분,

경북 안동에 임청각이라는 유서 깊은 집이 있습니다. 임청각은 일제강점기 전 가산을 처분하고 만주로 망명하여 신흥무관학교를 세우고, 무장 독립운동의 토대를 만든 석주 이상룡 선생의 본가입니다. 무려 아홉 분의 독립투사를 배출한 독립운동의 산실이고, 대한민국 노블리스 오블리제를 상징하는 공간입니다. 그에 대한 보복으로 일제는 그 집을 관통하도록 철도를 놓았습니다. 아흔 아홉 칸 대저택이었던 임청각은 지금도 반 토막이 난 그 모습 그대로입니다. 이상룡 선생의 손자, 손녀는 해방 후 대한민국에서 고아원 생활을 하기도 했습니다. 임청각의 모습이 바로 우리가 되돌아봐야 할 대한민국의 현실입니다. 일제와 친일의 잔재를 제대로 청산하지 못했고,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지 못했습니다.

역사를 잃으면 뿌리를 잃는 것입니다. 독립운동가들을 더 이상 잊혀진 영웅으로 남겨두지 말아야 합니다. 명예뿐인 보훈에 머물지도 말아야 합니다.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한다는 말이 사라져야 합니다. 친일 부역자와 독립운동가의 처지가 해방 후에도 달라지지 않더라는 경험이 불의와의 타협을 정당화하는 왜곡된 가치관을 만들었습니다.

독립운동가들을 모시는 국가의 자세를 완전히 새롭게 하겠습니다. 최고의 존경과 예의로 보답하겠습니다. 독립운동가의 3대까지 예우하고 자녀와 손자녀 전원의 생활안정을 지원해서 국가에 헌신하면 3대까지 대접받는다는 인식을 심겠습니다.

독립운동의 공적을 후손들이 기억하기 위해 임시정부기념관을 건립하겠습니다. 임청각처럼 독립운동을 기억할 수 있는 유적지는 모두 찾아내겠습니다. 잊혀진 독립운동가를 끝까지 발굴하고, 해외의 독립운동 유적지를 보전하겠습니다.

이번 기회에 정부는 대한민국 보훈의 기틀을 완전히 새롭게 세우고자 합니다. 대한민국은 나라의 이름을 지키고, 나라를 되찾고, 나라의 부름에 기꺼이 응답한 분들의 희생과 헌신 위에 서 있습니다. 그 희생과 헌신에 제대로 보답하는 나라를 만들겠습니다.

젊음을 나라에 바치고 이제 고령이 되신 독립유공자와 참전유공자에 대한 예우를 강화하겠습니다. 살아계시는 동안 독립유공자와 참전유공자의 치료를 국가가 책임지겠습니다. 참전명예수당도 인상하겠습니다.

유공자 어르신 마지막 한 분까지 대한민국의 품이 따뜻하고 영광스러웠다고 느끼시게 하겠습니다. 순직 군인과 경찰, 소방공무원 유가족에 대한 지원도 확대할 것입니다. 그것이 우리 모두의 자긍심이 될 것이라 믿습니다.

보훈으로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분명히 확립하겠습니다. 애국의 출발점이 보훈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지난 역사에서 국가가 국민을 지켜주지 못해 국민들이 감수해야 했던 고통과도 마주해야 합니다.

광복 70년이 지나도록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고통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강제동원의 실상이 부분적으로 밝혀졌지만 아직 그 피해의 규모가 다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밝혀진 사실들은 그것대로 풀어나가고, 미흡한 부분은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마저 해결해야 합니다. 앞으로 남북관계가 풀리면 남북이 공동으로 강제동원 피해 실태조사를 하는 것도 검토할 것입니다.

해방 후에도 돌아오지 못한 동포들이 많습니다. 재일동포의 경우 국적을 불문하고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고향 방문을 정상화할 것입니다. 지금도 시베리아와 사할린 등 곳곳에 강제이주와 동원이 남긴 상처가 남아 있습니다. 그 분들과도 동포의 정을 함께 나누겠습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독립유공자와 유가족 여러분, 해외 동포 여러분,

오늘 광복절을 맞아 한반도를 둘러싸고 계속되는 군사적 긴장의 고조가 우리의 마음을 무겁게 합니다.

분단은 냉전의 틈바구니 속에서 우리 힘으로 우리 운명을 결정할 수 없었던 식민지시대가 남긴 불행한 유산입니다. 그러나 이제 우리는 스스로 우리 운명을 결정할 수 있을 만큼 국력이 커졌습니다. 한반도의 평화도, 분단 극복도, 우리가 우리 힘으로 만들어가야 합니다.

오늘날 한반도의 시대적 소명은 두말 할 것 없이 평화입니다. 한반도 평화 정착을 통한 분단 극복이야말로 광복을 진정으로 완성하는 길입니다.

평화는 또한 당면한 우리의 생존 전략입니다. 안보도, 경제도, 성장도, 번영도 평화 없이는 미래를 담보하지 못합니다. 평화는 우리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한반도에 평화가 없으면 동북아에 평화가 없고, 동북아에 평화가 없으면 세계의 평화가 깨집니다. 지금 세계는 두려움 속에서 그 분명한 진실을 목도하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가 가야할 길은 명확합니다. 전 세계와 함께 한반도와 동북아의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의 대장정을 시작하는 것입니다.

지금 당면한 가장 큰 도전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입니다. 정부는 현재의 안보상황을 매우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굳건한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미국과 긴밀히 협력하면서 안보위기를 타개할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의 안보를 동맹국에게만 의존할 수는 없습니다. 한반도 문제는 우리가 주도적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정부의 원칙은 확고합니다. 대한민국의 국익이 최우선이고 정의입니다. 한반도에서 또 다시 전쟁은 안 됩니다. 한반도에서의 군사행동은 대한민국만이 결정할 수 있고, 누구도 대한민국의 동의 없이 군사행동을 결정할 수 없습니다. 정부는 모든 것을 걸고 전쟁만은 막을 것입니다. 어떤 우여곡절을 겪더라도 북핵문제는 반드시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이 점에서 우리와 미국 정부의 입장이 다르지 않습니다.

정부는 국제사회에서 평화적 해결 원칙이 흔들리지 않도록 외교적 노력을 한층 강화할 것입니다. 국방력이 뒷받침되는 굳건한 평화를 위해 우리 군을 더 강하게, 더 믿음직스럽게 혁신하여 강한 방위력을 구축할 것입니다. 한편으로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이 상황을 더 악화시키지 않도록 군사적 대화의 문도 열어놓을 것입니다.

북한에 대한 제재와 대화는 선후의 문제가 아닙니다. 북핵문제의 역사는 제재와 대화가 함께 갈 때 문제해결의 단초가 열렸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북한이 미사일 발사시험을 유예하거나 핵실험 중단을 천명했던 시기는 예외 없이 남북관계가 좋은 시기였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럴 때 북미, 북일 간 대화도 촉진되었고, 동북아 다자외교도 활발했습니다. 제가 기회가 있을 때마다 한반도 문제의 주인은 우리라고 한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북핵문제 해결은 핵 동결로부터 시작되어야 합니다. 적어도 북한이 추가적인 핵과 미사일 도발을 중단해야 대화의 여건이 갖춰질 수 있습니다. 북한에 대한 강도 높은 제재와 압박의 목적도 북한을 대화로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지 군사적 긴장을 높이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이 점에서도 우리와 미국 정부의 입장이 다르지 않습니다.

북한 당국에 촉구합니다. 국제적인 협력과 상생 없이 경제발전을 이루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대로 간다면 북한에게는 국제적 고립과 어두운 미래가 있을 뿐입니다. 수많은 주민들의 생존과 한반도 전체를 어려움에 빠뜨리게 됩니다. 우리 역시 원하지 않더라도 북한에 대한 제재와 압박을 더욱 높여나가지 않을 수 없습니다. 즉각 도발을 중단하고 대화의 장으로 나와 핵 없이도 북한의 안보를 걱정하지 않을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야 합니다. 우리가 돕고 만들어 가겠습니다. 미국과 주변 국가들도 도울 것입니다.

다시 한 번 천명합니다. 우리는 북한의 붕괴를 원하지 않습니다. 흡수통일을 추진하지도 않을 것이고 인위적 통일을 추구하지도 않을 것입니다. 통일은 민족공동체의 모든 구성원들이 합의하는 ‘평화적, 민주적’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북한이 기존의 남북합의의 상호이행을 약속한다면, 우리는 정부가 바뀌어도 대북정책이 달라지지 않도록, 국회의 의결을 거쳐 그 합의를 제도화할 것입니다.

저는 오래전부터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을 밝힌 바 있습니다. 남북간의 경제협력과 동북아 경제협력은 남북공동의 번영을 가져오고, 군사적 대립을 완화시킬 것입니다. 경제협력의 과정에서 북한은 핵무기를 갖지 않아도 자신들의 안보가 보장된다는 사실을 자연스럽게 깨닫게 될 것입니다.

쉬운 일부터 시작할 것을 다시 한 번 북한에 제안합니다. 이산가족 문제와 같은 인도적 협력을 하루빨리 재개해야 합니다. 이 분들의 한을 풀어드릴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이산가족 상봉과 고향 방문, 성묘에 대한 조속한 호응을 촉구합니다.

다가오는 평창 동계올림픽도 남북이 평화의 길로 한 걸음 나아갈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평창올림픽을 평화올림픽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남북대화의 기회로 삼고, 한반도 평화의 기틀을 마련해야 합니다. 동북아 지역에서 연이어 개최되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2020년의 도쿄 하계올림픽, 2022년의 베이징 동계올림픽은 한반도와 함께 동북아의 평화와 경제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저는 동북아의 모든 지도자들에게 이 기회를 살려나가기 위해 머리를 맞댈 것을 제안합니다. 특히 한국과 중국, 일본은 역내 안보와 경제협력을 제도화하면서 공동의 책임을 나누는 노력을 함께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국민 여러분께서도 뜻을 모아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해마다 광복절이 되면 우리는 한일관계를 되돌아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한일관계도 이제 양자관계를 넘어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함께 협력하는 관계로 발전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과거사와 역사문제가 한일 관계의 미래지향적인 발전을 지속적으로 발목 잡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정부는 새로운 한일관계의 발전을 위해 셔틀외교를 포함한 다양한 교류를 확대해 갈 것입니다. 당면한 북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을 위해서도 양국 간의 협력을 강화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한일관계의 미래를 중시한다고 해서 역사문제를 덮고 넘어갈 수는 없습니다. 오히려 역사문제를 제대로 매듭지을 때 양국 간의 신뢰가 더욱 깊어질 것입니다.

그동안 일본의 많은 정치인과 지식인들이 양국 간의 과거와 일본의 책임을 직시하려는 노력을 해왔습니다. 그 노력들이 한일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에 기여해 왔습니다. 이러한 역사인식이 일본의 국내 정치 상황에 따라 바뀌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한일관계의 걸림돌은 과거사 그 자체가 아니라 역사문제를 대하는 일본정부의 인식의 부침에 있기 때문입니다.

일본군 위안부와 강제징용 등 한일 간의 역사문제 해결에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와 국민적 합의에 기한 피해자의 명예회복과 보상, 진실규명과 재발방지 약속이라는 국제사회의 원칙이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이 원칙을 반드시 지킬 것입니다. 일본 지도자들의 용기 있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독립유공자와 유가족 여러분, 해외 동포 여러분,

2년 후 2019년은 대한민국 건국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는 해입니다. 내년 8.15는 정부 수립 70주년이기도 합니다.

우리에게 진정한 광복은, 외세에 의해 분단된 민족이 하나가 되는 길로 나아가는 것입니다. 우리에게 진정한 보훈은, 선열들이 건국의 이념으로 삼은 국민주권을 실현하여 국민이 주인인 나라다운 나라를 만드는 것입니다.

지금부터 준비합시다. 그 과정에서, 치유와 화해, 통합을 향해 지난 한 세기의 역사를 결산하는 일도 가능할 것입니다.

국민주권의 거대한 흐름 앞에서 보수, 진보의 구분이 무의미했듯이 우리 근현대사에서 산업화와 민주화를 세력으로 나누는 것도 이제 뛰어넘어야 합니다.

우리는 누구나 역사의 유산 속에서 살고 있습니다. 모든 역사에는 빛과 그림자가 있기 마련이며, 이 점에서 개인의 삶 속으로 들어온 시대를 산업화와 민주화로 나누는 것은, 가능하지도 않고 의미 없는 일입니다. 대한민국 19대 대통령 문재인 역시 김대중, 노무현만이 아니라 이승만, 박정희로 이어지는 대한민국 모든 대통령의 역사 속에 있습니다.

저는 우리 사회의 치유와 화해, 통합을 바라는 마음으로 지난 현충일 추념사에서 애국의 가치를 말씀드린 바 있습니다. 이제 지난 백년의 역사를 결산하고, 새로운 백년을 위해 공동체의 가치를 다시 정립하는 일을 시작해야 합니다. 정부의 새로운 정책기조도 여기에 맞춰져 있습니다. 보수나 진보 또는 정파의 시각을 넘어서 새로운 100년의 준비에 다함께 동참해 주실 것을 바라마지 않습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오늘, 우리 다함께 선언합시다. 우리 앞에 수많은 도전이 밀려오고 있지만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고 헤쳐 나가는 일은 우리 대한민국 국민이 세계에서 최고라고 당당히 외칩시다. 담대하게, 자신 있게 새로운 도전을 맞이합시다. 언제나 그랬듯이 대한민국의 이름으로 하나가 되어 이겨 나갑시다. 국민의 나라, 정의로운 대한민국을 완성합시다. 다시 한 번 우리의 저력을 확인합시다.

나라를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친 독립유공자와 순국선열들께 깊은 존경의 마음을 드립니다. 오래오래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17/08/15 17:36 2017/08/15 1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