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Filed under 연구
  • The Feynman Problem-Solving Algorithm:
      (1) write down the problem;
      (2) think very hard;
      (3) write down the answer.


    파인만은 대부분의 문제를 파인만 알고리즘으로 풀었다고 한다. 파인만에게밖에 적용 안되기 때문에 파인만 알고리즘이라 함.

    *파인만 교수 위키페이지(위키내용이 이렇게 빡빡하게 들어찬 사람도 드물지...역시 포스가 느껴진다)
    http://en.wikipedia.org/wiki/Richard_feynman

    아래는 웹서핑 중 발견한 '리처드 파인만이란 인간은 평소에 뭘 하고 살았나?'

    What Would Richard Feynman Do?

    사용자 삽입 이미지

  • 2008/09/25 00:28 2008/09/25 00:28
    뉴익

    띵크 베리 하드...
    베리베리쥰내하드...
    ㅡㅛㅡ

    클리아르

    일반인 알고리즘
    1)문제를 쓴다
    2) 씽크 리틀 하드
    3) 솔루션을 본다
    4) 답을 쓴다.(=솔루션을 베낀다)

    Posted
    Filed under 애니&라디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양자컴퓨터로 된 로봇이 움직인다는 컨셉 하나때문에 보게 된 애니. 생각보다 양자컴퓨터 자체의 비중은 크지 않았고 양자컴퓨터의 핵심적 개념인 얽힘, 양자 전송 등등으로 얘기를 진행해가는 것이 주가 되고 있다.

    인간의 의식도 양자화되며 그 양자가 전송될 때 일어나는 결손은 의식 자체가 너무나도 크리티컬한 것이므로 보상할 수 없다는 내용은 상당히 신선하게 들리기도 했다. 어차피 의식이라는 것이 존재하는가 아닌가도 알 수 없고 그것이 양자화 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인가라는 논란은 얼마든지 있을 수 있는거지만 어쨌든 이야기 속에서는 가능하다고 설정했고 그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들을 맛깔스럽게 서술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영화 매트릭스의 설정을 양자컴퓨터를 이용해 TV애니메이션 속에서 풀어나가보려는 시도를 한 작품으로, 아이디어가 재미있을 것 같아서 시작된건지, 설정을 하다보니 매트릭스같이 흘러나가버렸는지는 모르겠지만 보고있자면 어쨌든 뭔가 부족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어마지 않는다. 에반게리온이나 기타 TV물의 차용이 가끔 보이는 것도 개인적으로는 그리 탐탁치 않았고 이야기가 진행되어 가는데도 생각보다 등장인물들이 살아나지 못한 것도 마이너스 요소였다.

    그나마 히로인인 카미나기 료코의 목소리가 상당히 맘에 들었다는 점이 다행이랄까. 스크라이드에서의 쿠라타 마사요씨 이후로 목소리가 섹시하군... 이라 느껴본 건 또 처음이네.
    성우는 花澤香菜라고, 89년생이라는데 그런것 치고는 경력도 상당하다. 불쌍한 마타키치...


    취향을 탈 것같아 모든 사람에게 추천하기는 힘든 작품. 근미래물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봐도 좋을지도.

    *공식 홈페이지
    http://www.zegapain.net/

    *위키페이지
    http://ja.wikipedia.org/wiki/ZEGAPAIN_-%E3%82%BC%E3%83%BC%E3%82%AC%E3%83%9A%E3%82%A4%E3%83%B3-

    *花澤香菜 소개페이지
    http://ja.wikipedia.org/wiki/%E8%8A%B1%E6%BE%A4%E9%A6%99%E8%8F%9C
    2008/09/23 13:48 2008/09/23 13:48
    Posted
    Filed under Games/NDS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젤다의전설 엔진에 드래곤볼 껍데기를 씌운 게임.. 심지어 SE까지 그대로 갖다 썼다. 퍼즐도 조잡하여 하는맛이 도무지 안나는 게임. 기대치가 높았던 떄문인지 더더욱 실망이다.

    *공식사이트
    http://www.bandaigames.channel.or.jp/list/ds_dragonball/top.html

    오공을 그냥 즐겁게 가지고 노는 것이 게임의 목적인 만큼 공략은 그리 필요하지 않다고 보지만... 어쨌든 공략사이트.
    *공략사이트
    http://www.gamelove.jp/dragonds/

    2008/09/23 00:06 2008/09/23 0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