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Filed under 연구
*Experimental Ion Trap Groups

U. Aarhus (M. Drewsen)
U. Calgary (R. Thompson)
CNRS, Paris, France (T. Coudreau)
AG Wendt / LARISSA (Klaus Wendt)
CIML (Martina Knoop)
Cambridge University (M. Kohl)
Duke University (J. Kim)
Georgia Tech (K. Brown)
Georgia Tech (M. Chapman)
Georgia Tech Quantum Information Systems Group (R. Slusher)
Griffith (D. Kielpinski)
ICFO Barcelona (J. Eschner)
Imperial College London (R. Thompson)
U. Innsbruck (R. Blatt)
Los Alamos (J. Chiaverini)
University of Maryland (C. Monroe)
Max Planck Inst. for Quantum Optics (T. Schaetz)
McMaster University (B. King)
MIT Quanta Group (Isaac Chuang)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U.K.
Northwestern University (B. Odom)
NIST-Boulder (D. Wineland)
Osaka University (S. Urabe)
Oxford University (D. Lucas and A. Steane)
Sophia University (K. Okada)
Simon Fraser Univ. (P. Haljan)
U. Siegen (C. Wunderlich)
U. Sussex (W. Hensinger)
U. Sussex (W. Lange)
U. Sydney (M. Biercuk)
Tokyo University (S. Hasegawa)
U. Ulm (F. Schmidt-Kaler)
Wabash College (M. Madsen)
U. Washington (N. Fortson)
U. Washington (B. Blinov)
Weizmann Institute (D. Zajfman)


*Theoretical Ion Trap Groups

U. Aarhus (K. Molmer)
U. Innsbruck (P. Zoller)
Joint Quantum Institute and NIST (J. Taylor)
Max Planck Inst. for Quantum Optics (J. I. Cirac)
U. Michigan (L.-M. Duan)
Neils Bohr Inst. (A. Sorensen)
U. Rostock (W. Vogel)
U. Windsor (C. Rangan)
Western Illinois Univ. (J. Rabchuk)


*ETC

University of Queensland, QT Lab   
Centre for Quantum Dynamics
Centre for Quantum Technologies
CQC2T

Quantiki
qubit.org
Qulink
qis.mit.edu

Trapped ion quantum computer, Wikipedia
Quantum Optics and Atom Optics links
2012/06/08 18:15 2012/06/08 18:15
Posted
Filed under 연구
제목이 너무 선정적이군... 낚기위한 제목이니 별 상관없을지도.

발 슬쩍 담그고만 있는 정도가 아니라 최소한 몸통 이상 들어가있는 연구실만 골라보았다.


*KAIST 이순칠 교수님 Magnetic Resonance & Magnetism Lab
NMR QC 하시는 분인데 지금은 다른 주제 하고계실지도 모른다. AQIS 08'때 NMR QC는 가능성이 없다고 하셨기 때문에...

*서울시립대 안도열 교수님 양자정보처리연구단
최종적으로는 실리콘QC로 가야된다고 하시는 것 같은데 홈페이지 업데이트가 안되서 요즘은 뭐하시는지 모르겠다...

*POSTECH 김윤호 교수님 Quantum Optics and Quantum Information Laboratory
SPDC로 인탱글상태를 만들어서 실험하는게 주인듯. 굳이 따지자면 실험쪽이라기보다는 실험을 이용한 이론증명쪽임.

*KAIST 이해웅 교수님 Quantum Information Research Group
이론 & 양자광학실험이 중심.

*KIAS 계산과학부 김재완 교수님 jaewan@kias.re.kr
이론중심, 이 분은 실험실 주소를 찾을 수 없었다...


일단 국내는 본격적으로 실험하는 곳 조차 그리 많지 않고 그 variety조차 엄청나게 떨어지지만 문제는 그것보다도 중심되는 국가차원의 컨소시엄 혹은 조직이 없다는 것이라 보아야 한다.
양자컴퓨터라는 단어 그자체가 일단 신기루만치 엄청 과장되어 있는 부분이 있긴 하지만 어쨌든 우리나라에서 양자컴퓨터 연구라는 건 사막에서 오아시스 찾는 느낌이다.
2009/06/22 13:59 2009/06/22 1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