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화 반올림에서는 우리의 수재소녀 서정민이가 '공부를 왜 할까' 라는 고민에 빠지게 된다. 성적이 떨어지자 '공부 잘하는 서정민' 이 더 이상 공부를 잘 하지 못하게 된 것이다는 의식을 주변 사람들이 하게 되고 각각이 가진 서정민이라는 이미지가 깨진데 대해 그 타인들은 서정민 본인에게 시비를 건다. 왜 변했냐고. 왜 내게 간섭하고 있는 서정민이라는 자아가 왜곡되었냐고.
시비걸림 당하는-_- 서정민 냥
그런데 실질적으로 서정민 자신이 변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타인이 자기 맘대로 다른 사람의 이미지를 창조 해 놓고는 그 당사자가 자신의 의미지와 다른 행위를 취했다고 해서 왜 그러냐, 도데체 정신이 있는거냐, 너의 가치가 떨어졌다는 식의. 정말 "터진 입이라고 마음껏 내뱉고 있는" 우둔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터진 입이라고 마음껏... 여러가지 의미로 터질것 같다-3-
아직 타인에게 간섭하고 있는 자아와 그런 2차적 자아를 파생시키는 본질적 자아와의 차이점을 아직 알지 못하는 서정민양은 그 둘 사이의 괴리감에 고민하고 방황하다가 결국 학교를 자퇴하고 '공부는 왜 해야하나' 고민 모드에 침잠하려고 하다가 남자친구님의 "너랑 학교 같이 다니고 싶다"는 한마디에 결국 다시 학교로 컴백 해 주시게 된다(...사실 그 한마디 때문만은 아니었지만 -3-)
'왜 사느냐' 가 아닌 '왜 공부를 하는가' 라는 의문은 상당히 말초적인 의문인 듯한 느낌도 들어마지 않을 수 있겠으나, 사실 "왜 ~을 하는가" 라는 의문 자체게 결과적으로 모두 한 곳으로 수렴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나는 왜 공부를 할까.
나는 왜 밥을 먹을까.
나는 왜 애니메이션을 볼까.
나는 왜 배드민턴을 할까.
나는 왜 호주에 갈까.
나는 왜 일기를 쓸까.
나는 왜 인간을 분석할까.
나는 왜 이러고 있을까.
나는 왜 살까.
사실 궁극적 귀결점은 죽기위해서, 이다. 인간의 모든 행위들의 최종종착점은 죽음이며, 땅에 묻혀 다시 자연의 구성물질이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요는, 그 죽음을 어떤 모습으로 받아들일 것인가. 일 것이고 그런 시시콜콜한 의문과 행위들은 죽음으로 가는 노선상에 놓여진 부차적 중간역 같은 것이다.
중간중간에 놓여진 중간역에 도착하기 위해 공부를 하고 일을하고 창조행위를 하고,
그렇게 계속 가다보면 죽음이라는 종착역에 도달.
그런데 여기서 서정민이 한 고민은 그런 궁극적인 해답을 내기 위함이 아닌, 정말, 단지, '왜 공부를 해야 하나'
다시말해서 그 중간역에 도달하기 위해 굳이 '공부'라는 수단을 써야 할 이유가 뭐냐. 라는 의문이다. 그림을 그려도 좋고 노가다를 뛰어도 좋을 수 있는 데 굳이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
그것은----------------
가장 간과하고 있는 게 뭔가하면, 서정민씨는 '자기가 누구인지'를 전혀 염두에 두지도 않았다는 거다. 지금 내 직업이 '학생'이라는 것을 잊고 있었다는 거다. 그것도 '한국에 사는 평범한 가정집에서 엄마와 둘이 사는 고등학생'
한국에서 고등학생의 최종 목표(=중간역)이란 3년동안 수능공부해서 수능을 잘 보는 거다. 그 이후에 어떤 대학에 간다거나 어떤 과에 가고 싶다거나 아니면 취직을 한다거나 하는 건 부차적인 문제. 수시입학은 젖혀놓자. 그런 아이는 이미 '고등학생' 이라는 중간역을 넘어선 상태이니.
아무 생각 없이 달려나가야 할 이유를 모르겠는, 무작정 국영수 공부만 해야겠는 이유를 도저히 모르겠는, 그래서 그것을 결과적으로 자신의 인생의 의미와 직결시켜버리는 바보짓을 하는 이 땅(=대한민국)의 고등학생들이여, 그것은 당신이 '대한민국'의 '고등학생'이기 때문이다.
공부가 하기 싫으면 '고등학생'을 때려치면 된다. 그리고나서 '일꾼'이 되던지 '일용직 잡부'가 되던지 '벤처기업가' 가 되던지 '여행자' 가 되던지 하면 된다.
'고등학생'의 기득권을 놓지도 않으면서 공부를 왜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는 것은 언어도단이다. 그럼 그냥 관두면 된다. 사직서 내라. 폐업해라. 스트라이크 아웃해라.
결과적으로 서정민씨는 남자친구님에게서 제 입으로 "너랑 같이 학교 다니고 싶으니까' 라는, 엄청난 동기를 부여받아버려서 결국 학교로 돌아가고 만다, 뭐 개인적으로 서정민이의 교복차림을 계속 보고 싶었기 때문에 별 실망감이라던가 이런 건 없지만 하여튼 쬐끄만 것들이 "계속 생활해나가면서 배우면 되는거야" 라는 등의 잘난소리를 해 대는 데에는 정말 두 손 다 들었다. 항복이다. KO다. 니 똥 칼라 파워다.
"너랑 학교 같이 다니고 싶으니까!!" 나도 이런 대사 하고싶다!!-_-
정리해 보자면, 이번 화에서 이끌어낸 결론은 '네가 속한 집단의 형편과 스스로의 자격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의무를 하는 것에 의문을 가질 필요가 없다. 스스로가 의심스럽다면 그 자격을 박탈시켜버려라'는 걸까.
사실 서정민이가 저런 배따신 고민을 하는 것도 정말 고등학생을 그만두고 노가다 잡일꾼의 자격이 되어 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 2년 2개월 해 보면 왜 공부해야 되는 지 알 텐데말이다.(웃음)
원래 인간은 아무리 답이라는 산해진미가 정말 맛있는 냄새를 풍기며 눈 앞에 펼쳐져있고 옆에서 사람들이 맛있다맛있다 아무리 놀래를 불러도 제가 직접 먹어보지 않는 이상 절대 믿으려 하지 않는다.
그것은 인간행동학의 경우엔 그 정도가 더더욱 심해서, 인간이 글을 기록할 수 있게 되고부터 지금까지 쌓아올려온 인간생의 정답의 산이 우리 주위에 무진장하게 쌓아올려져 있고, 또 그 기록들을 아무리 읽어봤자, 정작 내가 고꾸라져 보지 않으면 '이걸 왜 안해야 되는지' 연장자님께서 백날 떠들어봤자 소용이 없다. 인간진화의 속도가 느린 건 이 때문이지만.
뭐.
그런 것도 나름대로 재밌는 게 아닌가 싶다.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 해도, 결국에 도착하게 되는 곳이 항상 동일하다 해도,
어쨌든 그 중간의 가는 길이 다르지 않겠는가. 그걸 즐기자는 거다.
...이런 교복을 즐기자는 거다-_-
Comments List
나에게 그런 말을 해준 친구는 없지만 그런 말을 들은 친구라도 있어서 다행인가...
최선이 아닌 최고라...
모 나를 위한 삶이니까...
최고가 되면 날 불러줘 ~_~
서정민을 제일 좋아하는줄 알았더니 다크호스는 따로 있었다든가?;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