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기타정보
저번주말에는 시즈오카의 누마즈라는 곳에 바다를 보러 갔다왔는데 누마즈에 간 또다른 한가지 이유는 거기에 베어드 브루어리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베어드 브루어리의 맥주라면 이전에 ベアードビール - 帝国IPA (베어드 비어 - 제국 IPA)에서 한 번 리뷰한 적이 있는데 이게 상당히 인상적이었고 지방맥주 치고는 거리도 가깝기 때문에 언제 한번 가봐야지 하고 있었던 참이었는데 어찌어찌 기회가 닿게 되었다.

주인이 외국사람이라 외국인을 많이 써서 그런건지 아니면 누마즈에 외국인이 많은건지(탭핑하는 알바에게 물어보니 원래 누마즈에는 외국인이 많다는 모양이다) 펍에는 서양쪽 외국인이 반 이상이었고 이정도 비율이면 상당히 높은 편인걸로 보이는데 TV도 미식축구를 틀어놓고 있어서 외국 펍에서 마시는 분위기가 있었다.

브루어리 직영 펍이라 그런지 맥주값은 비교적 싼 편이었는데 재미있는건 샘플러라고 300엔에 두모금 정도 마실 수 있는 잔이 있었던 것이다. 맥주 종류가 많아서 이건 이거대로 괜찮은 아이디어라는 생각이 들더라. 맥주선도는 전체적으로 상당히 높은 편이라 만족도가 높았고 서빙하는 요리도 맛있어서 상당히 만족스러웠다.

맥주들의 전체적인 인상은 마시기 쉽게 바디를 많이 빼고 가볍게 마무리한거 아닌가 하는 인상이 들었는데 나중에 병으로 사온 맥주를 마셔봤더니 꼭 그런것도 아니더라. 아마 펍에서 내는 맥주는 만들고 금방 서빙하는거라 숙성기간이 짧고 신선해서 상쾌한 향이 강해지고 바디가 들어갈 시간적 여유가 없었기 때문인 것 같다.

참고로 베어드 비어의 탭 룸은 도쿄의 나카메구로와 하라주쿠에도 있다. 아래 URL을 참조.
http://bairdbeer.com/en/taproom


사용자 삽입 이미지

라이징 선 페일 에일. 향이 죽여주는데 병에서도 이게 살려져 있을까 하는 의문은 듬.

사용자 삽입 이미지

휘트 킹 에일. 밀의 풍미는 그렇게 두드러지진 않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루가베이 임페리얼 IPA. 임페리얼 IPA인데 알콜 도수는 6.5%로 그리 높은 편은 아니지만 향이 엄청나게 풍부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ark & Kunie's 러브러브 에일 샘플러. 결혼하는 커플을 축하하기 위해 한정으로 만들었단다. 브루어리가 붙어있다고 해도 이정도 유연성을 가지는 건 대단하다고 생각된다.
2011/10/16 15:02 2011/10/16 15:02
Posted
Filed under 잡다한정보/일본생활
이 제목으로 올라오는 글은 이미 웹에 넘치고 넘쳤긴한데 그냥 내가 수집한 정보를 정리한다는 느낌으로 써 보려고 한다.




어느 나라가 됐든, 외국인이 다른나라에서 집을 구하기는 쉬운일이 아니다. 특히 그 외국인이 그 나라에 있어서 제3국인에 상당하는 신분일 경우에는.

그건 일본도 마찬가지로, 인터넷을 뒤져보면 엄청나게 많은 부동산 매물이 존재하지만 실제 외국인이 협상 가능한 물건은 50건중 4~5건 정도라고 보면 될 것 같다.
그렇다고 얘네를 욕할 필요는 없는것이, 차별이라기보다는, 계약 끝물에 와서 집값을 안내고 토끼는 외국인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어쨌든 기본적으로 색안경을 쓸 수 밖에는 없는것이다. 넓은 마음으로 인정을 베풀어 외국인을 받아들이기에 현실은 너무 냉혹하니까.


어쨌든,

일본에서 집을 구하려면 일단은 부동산 관련해서 얘네들이 쓰는 용어를 알아야 한다.
이곳을 참조하면 될 것 같다.
이 글제목으로 웹을 뒤졌을때 나오는 대부분의 페이지들이 이에관한 정보를 싣고 있으므로 다른 페이지를 참조해도 좋다.

http://impeter.tistory.com/94



우리나라에서의 아파트는 일본의 아파트와 좀 다르다. 차이점에 대해서는 아래를 참조할것.

http://k.daum.net/qna/view.html?qid=3inoS



인터넷에서 매물을 제공하고 있는 부동산회사는 엄청나게 많은데 어차피 똑같은 매물이 여기도 있고 저기도 나오기 때문에 검색하기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채용하고 있는 웹사이트를 몇개 소개한다.

http://rent.homes.co.jp/
http://www.chintai.net/
http://realestate.yahoo.co.jp/


인터넷의 매물에는 사진이 따라오는데 거기 올라오는 사진들만으로는 솔직히 감을 잡기가 쉽지않다. 일본에서 원룸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집사진을 올리는 이 게시판이 많이 도움이 될 것이다.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hobby/318/list?bbsId=G005&sortKey=depth&itemId=116&itemGroupId=&platformId=&objCate1=&searchKey=subjectNcontent&searchValue=%EC%9D%BC%EB%B3%B8


위치는 구글어스로 보는게 편하다. 주소를 복사&붙여넣기 하면 바로 위치가 뜬다. 다만 인터넷에서 제공하고 있는 매물의 위치정보는 우리나라로 치면 XX시 XX동 까지밖에 나와있지 않으므로 대충 이근처구나... 하는 느낌을 가질수밖에 없다.

http://maps.google.co.jp/maps


집을 구할때는 이정도 조건을 보면 될 것 같다.

1.  욕실, 화장실이 다른 세대와 공용이 아닐것 - 이게 공용이면 생각외로 짜증나고 불편하다. 기숙사 살거 아니면 분리된걸로 가는편이 좋다.

2. 옷장(오시이레) - 방이 커도 옷장이 없어서 결과적으로 방을 좁게 쓰게 될 수도 있다. 굳이 옷걸이용 다이 쓰겠다면 상관없지만 가급적이면 붙어있는게 낫다. 로프트가 붙어있는걸로 가도 되지만 그런 경우는 대부분 방이 그리 넓지 않다.

3. RC(철근 콘크리트 구조) - 일본은 목조가 많은데 목조는 방음이 잘 안된다. RC, SRC등 이름은 다를 수 있는데 어쨌든 철골구조를 선택하는것이 좋다.

4. 직장, 학교가 위치해 있는 노선 - 조금 멀리 떨어지더라도 웬만하면 갈아타지 않는 방향으로 가는게 덜 피곤하다. 이건 그렇게까지 구애될 필요는 없지만 집값차이가 크지 않다면... 기왕이면 다홍지마.

5. 여기까지 결정한 상태로 매물을 찾으면 대충 가격이 형성된다. 이 단계에서 가능한 낮춰잡고 매물을 골라야 나중에 실제 부동산으로 가서 오르는 금액을 감당할 수 있다.(금액은 반드시 오른다고 계산하고 협상테이블에 임하자)

6. 외곽으로 나갔을때 6.5만이라면 아예 직장 주변으로 잡아서 정기권값이 빠진다고 쳤을 때 7만까지는 괜찮다는 식의, 근거리와 장거리에 대한 집값의 폭을 대충은 정해두는게 좋다.



전철을 이용할때의 정기권 가격은 아래에서 검색가능하다.

http://transit.map.yahoo.co.jp/



외국인이 일본에 도착하기 전부터 집을 미리 계약하고 가는것은 상당히 힘든일이다. 또한 세세한 부분을 직접 살필 수 없기 때문에 막상 도착하고 얘기가 다른거 아니냐고 하는 식으로 갈 수가 있다. 따라서 1개월정도 임시로 머물면서 집을 구하게 되는 경우가 생기는데 그럴때 이용할 수 있는곳 두 곳을 소개한다. 내 생각에 도쿄에서 그나마 상식적인 수준의 요금을 받는 곳이다.

http://www2.tbb.t-com.ne.jp/asakusagh/index.html
http://koreahouse.info/



일본사람들은 물건을 사용할때 그 물건에 손상을 입히지 않게 하려는 경향이 대단히 강한데, 그것은 집을 임대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벽에 못을 박는다거나 나뭇바닥을 패이게 하는 등의 행위는 금물이다. 나중에 집을 나갈때 배상금조로 보증금이 팍팍 까이게 된다.
이사를 할 경우에 집이 손상될 위험이 많다. 특히 일본에서 영업하는 한국인의 이사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그런 크레임이 많다. 돈 조금 더 줄 생각하고 마음편하게 일본회사에 맡기는 편이 낫다. 다만 일본의 이사서비스는 가격이 상당히 비싼편인데 그 중에서 그나마 놀랍지 않은 금액으로 이사를 해주는 곳이 있다. 다만 차가 그리 크지 않아 사람 한명이 쓸 정도의 집기를 넣으면 끝이다. 구겨넣으면 들어가긴 들어가니 살림이 그리 많지 않다면 고려해볼만 하다.

http://www.akabou.jp/index.php
2011/10/15 12:37 2011/10/15 1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