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Filed under 연구
*표준편차(SD : Standard Deviation)
표준편차(標準偏差)는자료의 산포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분산의 제곱근으로 정의되며 표준 편차가 작을수록 평균값에서 변량들의 거리가 가깝다. 일반적으로 모집단의 표준편차는 σ(시그마)로, 표본의 표준편차는 S(에스)로 나타낸다.
http://blog.naver.com/thegoldman/30067191786

=stdev(범위)



*상대표준편차(RSD : Relative Standard Deviation)
상대표준편차란 표준편차를 평균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한 수치로서 변동계수(CV : Coefficient of Variability)라고도 한다. 즉, 상대표준편차가 크다는 것은 표준편차가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는 의미이므로 산포도가 큼을 의미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산포도가 작음을 의미한다. 또한 상대표준편차는 단위가 없는 측도이므로 서로 다른 측정단위를 갖는 데이터 셋의 산포도 비교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stdev(범위)/average(범위)*100



*표준오차(SE : Standard Error)
각 표본들의 평균이 전체 평균과 얼마나 떨어져있는가를 알려줌.
표준편차 / √(표본 개수)
http://blog.naver.com/nlboman/22643979
http://blog.naver.com/nlboman/56166123

=stdev(범위)/sqrt(count(범위))
2010/01/15 17:15 2010/01/15 17:15
Posted
Filed under 잡담
난 2003년부터 지금까지 이메일 클라이언트로 윈도우 XP에 기본으로 탑재되어있는 아웃룩 익스프레스를 쓰고 있었다. 어차피 일정은 팜으로 관리하고 있었기에 굳이 일정관리기능까지 들어가서 비대해진 오피스 아웃룩을 쓰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아웃룩 익스프레스를 트레이로 보내버리는 HideOE 정도는 잘 깔아서 쓰고 있었지...


근데 이번에 들어간 연구실 컴퓨터가 비스타라서 아웃룩 익스프레스가 없고 윈도우메일이라는 넘이 들어있더라. 기본적으로는 아웃룩 익스프레스 엔진을 사용한 넘이라 임포트 되길래 집에서는 아웃룩 익스프레스 쓰면 호환되겠다 생각해서 그걸로 임포트 했더니

얼마전에 집 컴퓨터를 윈도우7 으로 바꿨더니 이번엔 윈도우메일조차 안들어있고 아예 웹계정으로 연결되게 바뀌어져 있어서 어쩔수 없이 이메일 클라이언트를, 뭐가 됐든간에 설치해야 할 지경에 이르렀다.


결과적으로는 썬더버드3을 선택하긴 했지만 오피스 아웃룩을 쓸까 썬더버드를 쓸까하다가 썬더버드로 온건 다음 기사를 읽었기 때문이 크다.

아웃룩을 회사에서 사용하면 안되는 7가지 이유



뭐 하여튼, 일단 써보니 가장 맘에 드는게 검색기능이다. 익스프레스에서 바로 넘어온 터라 아웃룩 검색기능도 이정도 가능하긴 할것같긴 하지만 어쨌든 썬더버드3의 검색기능은 만족스럽다. 속도도 물론 만족스럽다. 익스플로러를 쓰다가 파이어폭스로 넘어온 느낌을 그대로 느끼게 해 준다.

다만 윈도우메일이 아주 개같은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어서 임포트는 쫌 애먹었다.

ImportExportTools (MboxImport enhanced)


이걸 쓰니 어찌어찌 완벽하게 다 옮길수는 있었다. 플러그인도 여러가지 많은 모양인데 뭐 개인적으로는 트레이로 보내버리는 거나 하나 있으면 충분할 듯...
2010/01/15 15:45 2010/01/15 15:45
Posted
Filed under 잡다한정보/일본생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이에 애매하게 30일이 꼈다...

4/29 (木、녹색의 날)30(金)
5/1(土)2(日)3(月、헌법기념일)4(火、국민의 휴일)5(水、어린이날)
2010/01/15 11:57 2010/01/15 1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