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Filed under 잡다한정보
일단 압축 몇 번했다 이런 표현은 부정확한 표현입니다. 이런 표현은 안경점에서 어눌하게 보여서 덤탱이 쓰기도 쉽죠;;;

 

    이건 굴절율에 따른 분류입니다.

 

                  기본굴절(cr-39렌즈) - 1.50 (인덱스란 표현을 씁니다..)

    [한번압축]중굴절 -     굴절률 1.56

    [두번압축]고굴절 -     굴절률 1.60

    [세번압축]초고굴절비구면(일명 초고비) -   굴절률 1.67----> 1.70(1)도 있지만 거의 두께면에서 차이가 없어 단위에서 생략

    [네번압축]초초굴절비구면 -    굴절률 1.74 (이제 1.90도 나오긴했습니다만 ,,)

 

  

    설계방법으론

 

   구면과 비구면이 있습니다.

  

    일단 비구면이라는 것은 모눈 종이를 바닥에 깔고 안경렌즈를 그 위에 놓고 모눈종이를 볼경우

    왜곡이 없이 나타나게 설계한 것을 의미합니다. 즉 렌즈의 주변부가 휘어보이지 않게 설계한 렌즈란 뜻입니다.

    쉽게 말하면 비구면은 볼록한 렌즈를 조금 평으로 만드는것입니다.

    그리고 비구면은 구면에 비해 안경테(프레임)가 크면 왜곡이 구면보다 적어 더 좋습니다.

    그러나 작은 안경테를 선택하시면 가격면보다 눈에 띠는 차이는 더 적을듯 합니다.

 

   비구면중에서도 외면, 내면, 양면 비구면렌즈가 있죠. 외면부터 양면으로 차츰 가격이 더 높아집니다.

   1.67이상인 렌즈는 외면비구면처리가 되어있습니다.

 

 

1.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압축(인덱스:굴절율)을 많이 하면 좋다?

 

   아니다 

 

         굴절율이 높을수록 눈에는 더 안좋습니다. 아베수등 어려운용어 생략... 눈이 더 피로하고 안좋습니다...

 

         근데 왜 사람들이 인데 더 많은 압축을 할까????

      

       굴절율이 높을수록 비쌉니다. 그렇다고 좋은건 아닙니다.

         하지만 더 얇아집니다. 그래서 고도근시(고도수)이신분들은 

          미용적인 효과가 있습니다.

 

          제가 조사한 결과는

 

       1) 눈이 0.1이상(0.2, 0.3이런분들)

 

        무턱대고 압축을 많이 하는게 좋은건지 알고 압축하시는데 아닙니다...

          차라리 중굴절이나 고굴절(전 고굴절도 좀 아니라고 생각)을 사용하시는게 눈에 좋습니다..

 

      

        2) -5.0디옵터(-5 라고 흔히들 이야기 하죠) 이하분들 :-1~5디옵터

 

         고굴절(1.60)이 적합하다고 봅니다. -5디옵터 되시는 분은 1.67정도는 선택이겠죠~

 

 

       3) -5디옵터부터 -9디옵터 이하분들  

 

          초고굴절(1.67)이 적합하구요~

 

      

       4)-9디옵터이상인 초고도근시이신분들

 

        1.74를 쓰시면 적합하다고 봅니다...

 

 

          이렇게 말씀드린 이유는 실익을 따져보면

        아무리 더 높은 굴절(압축,인덱스)를 해봐야 눈에만 더 안좋고 비싸고

        두깨면에서도 차이를 볼 수 없습니다.

        여러분이 많이 생각하시는 눈크기가 작아보여서 인덱스를 높이신분도 있는데

        눈크기는 변함이 없다는게 중론이더라구요~

 

        여기서 한가지 더 추가하자면 이렇게 낮은 굴절율을 고르다 보면

        중요한 코팅이 문제가 되는데 차라리 코팅을 추가하던지

        돈을 더 투자해서 외국산 렌즈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1.60이하는 외국렌즈도 그렇게 생각만큼 고가는 아닙니다. (1.60기준 토가이렌즈 8만원하는곳도 봤습니다.)

 

        

 

2. 수입산 렌즈는 다 좋다?????

 

 플라스틱 렌즈는 -9디옵터 이하에서는 그렇게 큰 차이 점이 없다고합니다.

   그러나 전 -9디옵터가 아니라 -5디옵터 이하라고 생각^^;.

 

    제생각의 이유는 렌즈의 가격차이는 코팅에 있습니다.

    1.60이하는 그러게 좋은 코팅이 되있다고 보여지기 힘들더라구요

    또한 렌즈도 유통기한이 있고 관리가 필요한데... 차라리 1.60이하는 코팅을 추가하고

    보통 렌즈는 최소1년~1년6개월에 한번씩 교체해야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 비용으로

    차라리 빨리 렌즈를 새걸로 교체하는게 좋다고 판단되서 입니다.. 

 

   플라스틱 렌즈는 독일보다는 일본에서 만들어진 제품 질이 더 좋다고들 합니다.

  

    먼저 렌즈소개를 해드리면 국산은 케미그라스

   1.67인 제우스 ,1.67내면비구면인 아토메가 .1.74인 헤라가 있습니다.

   그이외엔 한미 알프스 다이사 렌즈, 대명광학 다거스 렌즈, 소모 여러가지 있는데...국산은 케미가 최고라는게 중론이구요~ 저도 동감..

 

    외국산 렌즈는 일단 최고 치는 것이 토카이렌즈입니다.

    렌즈의 척도라고 할수 있는 코팅에서 최고는 테푸론이라고 하네요(이건 솔라랑 자이스꺼가 있답니다).

    세이코, 펜탁스, 호야, 쇼와렌즈, 솔라등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색감을 중요시할건지 공부를 주로 하는지등 취향에 따라 브랜드선택을 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생소한 쇼와렌즈는 70년전통을 가진 일본렌즈회사입니다.

 

 

 

   제가 또 하나 말씀드리는 tip)

 

    가격적인면에서 외국렌즈는 정가표가 있는데 국산은 없죠

    굴절률 1.56                  3만원

    굴절률 1.60                  4만원

    굴절률 1.67                 6~7만원(정가8만원이라고들 하죠)

    내면비굴절 아토메가      10만원

    굴절률 1.74                12~15만원

    외국렌즈중 쇼와렌즈     1.74기준 대략 20만원 근데 15만원도 있는곳 봤음...

이정도 선이구요~

  

    디매에서 자주 언급되는 니콘렌즈 자료찾고 공부해본 결과 절대 비추 입니다.

    니콘렌즈는 1.60이하제품은 국내생산및 중국생산이라서 국내렌즈와 비교시 아무런 장점이 없습니다.

    차라리 국내렌즈에 코팅추가가 더 이익입니다.

    그리고 1.67이상은 생산라인이 틀린 일본생산인데 그래도 차라리 쇼와렌즈를 구입하시길 추천합니다.

    쇼와렌즈와 니콘은 태생이 같다고 합니다.

    렌즈생산과 코팅시 니콘은 니콘의 마크를 쇼와는 쇼와마크를 찍은것이라고 하네요.

    그런데 가격은 10만원이상차이가 납니다.

 

    전 렌즈교체시기를  1년~ 1년6개월로 봅니다.

    아무리 좋은렌즈도 원래 유통기한도 있고 왠만한 사람들은 적절한 안경관리(흐르는 물에 딱는식,,)를 하지못하여

    코딩은 벗겨지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아무리 좋은렌즈를 써도 이 주기는 변함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대신 사용시 아주 미세한 이점은 있겠죠...

    그래서 전 비싼 외국산 렌즈보다 국산렌즈를 사용하고 자주 교체하는것을 (6개월~1년)선호합니다.

 

 

 

3.비구면이 무조건 좋다????

 

   정말 꼭 보셔야 될것은 여러분들이 흔히 된장녀라고 하죠 이건 정말 된장남 될수 있습니다.

   요즘 트렌드에 안경테(안경알부분)가 휘어져 있는걸 많이 보실겁니다. 그걸 커브라고 하는데요~

   커브가 3~4이상이면 비구면을 하는것은 비추입니다 . 외관상 렌즈부분이 테밖으로 튀어나와 보기 안좋습니다.

   비구면한 이유가 더 얇게 미용적으로 하신다면 더욱 비추구요~

   커브가 크면 비구면요구하면 어느 안경사분들은 외관상 안좋다고 말하는분들도 있지만 그냥 해주는분도 있고

   더욱 나쁜 안경사는 안해주고 그냥 그값을 받는 분들도 있습니다.

  한마디로 비구면이 비싸고 좋다는것은 어디서 들어서  고른테가 비구면에 적합한테도 아닌데

  무조건해주라는건 된장남이라고 들을 소지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아닌가요?? ^^;

 

 국산렌즈 중에 1.67 내면비구면 아토메가는 난시가 있는분에게 좋습니다. 난시가 있으면 1.74보다 두께가 얇아진다고 합니다.

 

 

 


4. 효과적으로 안경테 고르는 방법

 

   -5디옵터 이상이신 고도근시이신분들은

   1.74렌즈 구입비용이 부담되시거나 눈보호를 위해 낮은인덱스를 고르고 싶을때

   프레임(안경테에서 안경알크기??)을 작은걸 고르는것도 하나의 방법(보통51mm이하제품)입니다.

   그러면 생각보다 훨씬 두께가 얇아질겁니다.

   안경테가 맘에 드는게 프레임이 크다면 어쩔수 없이 렌즈 인덱스를 더 높여야 만족도가 높겠죠~

    전 -7~8디옵터(난시도 있구요)정도 되는 고도근시인데 가로길이 48mm이하 제품을 항상 고릅니다.

   단골집에서 큰건 무조건 만류해서도 있지만요~

 

   안경알의 두께는 안경테가 클수록 더 두께워집니다.

    그래서 비싼돈 줘가면서 인덱스를 높였는데 두께는 차이가 없다고 사기당한듯 ??? 경험이 있을신텐데요~

    그건 안경테의 크기 차이로 그럴수 있습니다. 아무리 인덱스가 높아도 알크기가 크면 두께는 두꺼워보입니다.

 

   그리고 땀이 많거나 유분이 있는 분들은 코받침이 있는걸로 하시는게 좋습니다.

   안경사분들이 그런걸 추천한다면 좋은 안경점이라고 할 수 있겠죠~

 

   추가내용)

   실 안경테라고 있죠? 안경알을 감싸는 부분이 얇은테를 말하는데...

   이 부분을 두꺼운 테을 고르면 같은 안경테 크기에 비해서

   훨씬 얇아 보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5. 안경테 브랜드 및 기타...

 

  이건 솔직히 개인취향이 크니 머라고 딱 이거다라고 말씀 드릴수가 없네요~

  제 의견이니 무시하고 안보셔도 됩니다.

 

  1) 해외 토탈브랜드 사느니 국내하우스 브랜드...

   전 안경을 코디나 악세사리로 사용하신분을 제외하고

   눈이 나뻐서 착용하신분들은 해외유명 토탈 브랜드를 사느니 차라리 국내 하우스브랜드를 추천하고 싶네요~

   아니면 외국하우스브랜드...

   정말 저도 몇개 친구꺼 써보고 어렸을땐 그런거 가지고 싶어서 사보았지만

   정말 단골집에서 안경맞추면 공짜로 주는 중국산(시중3만원이하테)이랑 똑같이 불편합니다.

 

  2) 남대문은 안좋다????

   전 남대문  무조건 안좋지는 않습니다. 안경에 대한 어느정도 지식이 있으면 싸고 괜찮은듯 합니다.

   그리고 안경테는 특히 뿔테 아무리 관리를 한다고 해도 변형을 막기는 힘듭니다.

  그런점에서 볼때 테를 적어도 1~2년에 한번씩은 교체한다고 했을때 싼것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가장 장점은 대부분 남대문 가시는분들은 고급테와 고급렌즈를 위해서 좀 더 싼곳이므로 가는데..

  테가 못미더우면 외국렌즈는 괜찮다고 봅니다. 외국렌즈는 컷팅시 마크가 있기때문에 사기를 치기 힘듭니다.

  또한 국산 브랜드중 다가스는 디마크가 있고 아니면 국산살경우는 봉투를 꼭 달라고 하시면 됩니다.

  봉투가 개봉되어있다고 혹시 중고아냐??? 생각하실수 있는데 원래 봉투는 개봉되어있습니다.

  그래서 더욱 믿을수 없는 점이 되기도 하구요~ ^^;

 

  국내하우스브랜드를 싸게 구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동네(체인점및 대형제외)안경집은 토탈브랜드및 싼테밖에 없더군요(제 단골집과 집 근처둘러봄)

  그리고 조금 큰 곳은 국내하우스 브랜드가 있는데 남대문과 5만원 내외 정도 차이나더군요~

  외국하우스브랜드처럼 따로 관리하는것도 아닌데 너무 하더라구요~

 

  그리고 검안은 대부분 안과에서 3~4천원이면 하고 왠만한 안경점 아니면 안과에서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그래서 검안에 문제점은 없고 다만 휘팅하고 렌즈초점을 잘 맞추느냐인데

  유명안경점 밑에 언급할 미라이라던지 명동 아이*등과 같은 유명업체경우를 제외하곤 다를게 없다고 보여집니다.

  

 

 

6. 괘찮은 안경집

 

1)가던 단골집

  사실 안쓸려고 했는데 씁니다. 그래도 사기는 안치더라구요~ ^^;

  단골집이 집앞일수도 있고 유명업체나 유명안경점일수도 있겠죠..

  근데 저처럼 동네수준의 안경점이 단골이면 하우스브랜드를 접하기 힘들어요~

  저도 단골집(20년) 이렇게 공부하고 문의를 많이 했습니다. 수요때문에 들어놓을수가 없답니다.

  왠만한 사람은 5만이하테랑 별반 다르지 않으니깐요~ 차라리 토탈브랜드테만 구입한다고 하네요~

  저도 공부하고 문의결과 전 다른 싼곳과 별반 다르지 않게

  1.67케미껄로 쓰는데 저렴한 테는 항상 공짜고 8만원 받더라구요(한마디로 공짜가 아니였죠..ㅋㅋ)

  근데 장점은 역시 심적인 안정(신뢰감)과 경미한 as정도??

 

2)  미라이

조사한 결과 예전에 님이 말씀하신 미라이는 완전 이 업계에선 유명하더라구요~

검안 최소40분과 일본에서 건너온 분들이 하신다고...

제 친구단골집(하우스브랜드애호가)도 제주변 큰 안경점은 왠만하면 알더군요~

대신 비싼거~ 왠만한 브랜드 다 있고 시설 짱이라고 하던데..한번쯤 가볼만 합니다.(님글 참조)

저도 나중에 렌즈만 맞출때 렌즈초첨과 검안이 어떻게 다른지 꼭 한번 가볼려고 하구요~

 

3) 남대문에 있는곳

 여러곳이 있죠~

 조사한 결과 이번에 갈 곳인데 아직 가보지 않아서 정확히 말씀은 못드립니다.

 광고성이랄까봐요~ 거긴 테가 외국하우스, 토탈브랜드(쬐금)와 국내하우스브랜드(쬐금)만 있는게 흠이지만 안경렌즈는 정말 싸더라구요~

 이곳은 후기에 자세히 다시 남겨드릴께요~

 참고로 1.67 케미 제우스렌즈가 4만원...ㅋㅋㅋ 말이 안되는건데...쇼와렌즈 15만원....

 안경렌즈초점과 휘팅의 위험부담이 있지만 한번 시도해 볼만 하더라구요~

 

 

마지막 고객들이 어느정도 알고 가야지 안경점에서 모든걸 다 고객을 맞춤식으로는 못할듯 합니다~

그쪽에서 이익도 있거니와 렌즈부분이나 테부분에서 어느정도 장단점이 있기에

그렇게 안경사분들이 주관적인 말을 하지 못할듯 합니다.

자기가 조금 지식을 습득하고 어느쪽을 중점을 둘 것인가...

생각하고 안경을 선택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가격면을 중시하는지 민감하고 세심한분은 가격보다는 하우스브랜드와 외국고급렌즈를 중시하는지...
2015/01/13 16:24 2015/01/13 16:24
Posted
Filed under 잡담
이전에 한번 포스팅한 적이 있지만(역반무테 찾아 삼만리) 나는 역반무테라고도 불리는 언더림 안경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건 완전무테에 비해 내구도가 확보되면서도 안경프레임에 의해 시야가 잘리지 않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상당히 만족하고 있다.

최근 몇년간 애니메이션에서 빨강 언더림을 착용한 캐릭터들이 많이 나왔는데, 일본에서는 안경업계가 콜라보레이션해서 캐릭터들의 안경을 실제 발매하기도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케이온의 마나베 노도카라든지,
http://www.zoff.co.jp/sp/k-on/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에바 Q의 마키나미 마리라든지,
http://item.rakuten.co.jp/a-achi/ev-type-mari-2/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마마의 아케미 호무라라든지가 그중 잘 알려진 캐릭터라 할수 있을것 같은데,
http://www.cospa.com/detail/id/00000044857


정리하면 이런 느낌인 모양이다
『舞-HiME』菊川雪之
『けいおん!』真鍋和
『かんなぎ』木村貴子
『海月姫』倉下月海
『ゼロの使い魔』タバサ
『怪談レストラン』大空アコ
『スイートプリキュア』調辺アコ
『よんでますよ、アザゼルさん。』佐隈りん子
『ヱヴァンゲリヲン新劇場版:Q』真希波・マリ・イラストリアス
『ガールズ&パンツァー』武部沙織
『魔法少女まどか☆マギカ』暁美ほむら

http://dic.pixiv.net/a/%E3%82%A2%E3%83%B3%E3%83%80%E3%83%BC%E3%83%AA%E3%83%A0


다만 애니캐릭이 쓴 안경을 재현한 언더림의 경우 솔직히 만화속 캐릭보정빨이 큰 부분도 있고, 콜라보 기획상품이라 재질도 그냥저냥한걸로 만들기 때문에 코스프레로 한두번 쓰고 말거면 몰라도 실생활에서 쓰기에는 부족한 점이 크다.

어쨌든 다음에 안경을 바꿀때는 빨강 언더림을 쓰고 싶어서 조금 찾아봤는데 몇개 괜찮아 보이는게 있어서 URL을 붙여놓는다. 다만 언더림은 수급이 일정치가 않아서 아마 구입하려고 할 때는 다른 디자인이 나와있을 것 같긴 하다.

다만, 역시 그럴듯한 물건들은.. 가격도 그럴듯하다.
http://blog.livedoor.jp/moe_megane/archives/55590632.html


*RIDOL R-107
http://www.daigakudo.com/blog/opticals/ridol02.html
http://item.rakuten.co.jp/meganeyasan/ridol_107/

* jf2566_3000
http://item.rakuten.co.jp/3glass/jf2566_3000/

*less than human po6po10
http://item.rakuten.co.jp/3glass/worst_2gou/

*KH-9049 c4
http://item.rakuten.co.jp/auc-dis-mega/kh-9049-c4-kh032/

*1.74 양면비구면렌즈
http://item.rakuten.co.jp/auc-dis-mega/raku-so-004/#raku-so-004

https://www.ohmyglasses.jp/guide/products/lens/prime-lens/#performance07
2014/04/05 21:21 2014/04/05 21:21
Posted
Filed under 잡담
한국가면 안경맞추려고 했는데 서울역에 있는 항상 가던 안경집이 뭔가 불미스러운 일이 있었던지 문을 닫아버렸다. 소송걸렸다는 얘기가 있던데 무슨 일이 있었던 건지... 좋은 렌즈 싸게 넣어주던 데였는데 안타까울 뿐.

http://blog.naver.com/u21375

하여튼 이 매장을 운영하시던 분이 재고중 일부를 자기가 아는 곳에 넘겼다고 하는데 그게 일산에 있는 홍당무 안경원이다.

http://cafe.naver.com/eyesworld

위치는 여길 보면 나와있다.

http://blog.naver.com/sayu29/120106622318

근데 솔직히 너무 멀다. 안경하나 맞추러 화정역까지 가서 또 버스타고 가야 되는 듯... 이건 오버야.

그래서 다시 찾아봤다.

호야렌즈 30%세일하는 안경원이 고잔에 있더라. 솔직히 고잔도 멀긴 하지만...

http://eyewear.tistory.com/216


지금까진 케미 1.67 단면비구면 썼었는데 안경력도 오래되었고 하니 테랑 렌즈를 쌔끈한걸로 뽑아보자고 해서 호야 할인하는데를 찾아본건데 호야 1.67은 할인해서 17.5다... 테도 괜찮은걸로 가면 15만원 정도 하니 30만원이다.

문제는 이번에는 역반무테라고 반무테인데 프레임이 밑으로 들어간 걸로 가 볼려고 그랬는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게 유행이 지난 프레임이라 한국에는 취급하는데가 거의 없더라. 있는데도 한장이나 두장 정도밖에 없었음.

그래가지고 에이 씨펄 어차피 돈 많이 주고 살건데 프레임이라도 좀 여러가지중에 골라서 해야겠다 싶어서 일본에서 맞추기로 했다.

그래서 여기저기 돌아다녔는데 일본은 그래도 확실히 역반무테가 많긴 하지만 프렌차이즈점에서는 다들 비슷비슷한 형태의 물건밖에 놓여있지 않더라.

http://www.meganeichiba.jp/frame/

http://www.alook.jp/

http://www.jins-jp.com/Glasses/Index/

http://www.zoff.co.jp/collection/

http://www.20000yen-doh.co.jp/megane/index.html

http://www.paris-miki.co.jp/products/glasses/


*참고로 일본에서는 역반무테를 림이 밑으로 들어가 있다고 해서 언더 림(アンダーリム) 이라고 하거나 혹은 나이롤이 아래가 아니라 위로 들어갔다고 그래서 역 나이롤 프레임(逆ナイロールフレーム) 이라고도 한다.


하여튼 그래가지고 언더 림으로 여러가지 검색해 봤는데 이쁜건 다들 2~3만엔대 브랜드 품이더라.
여기를 참조.

http://www.daigakudo.com/blog/tag/%E3%82%A2%E3%83%B3%E3%83%80%E3%83%BC%E3%83%AA%E3%83%A0
http://www.makotoweb.com/shop/frame/search.html$/frame_id/697/


*좀 맘에 들었던 거 리스트

이건 이쁘긴 한데 솔직히 부담스럽고...
http://item.rakuten.co.jp/eyeone/414228/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건 싼티는 나도 어떻게 소화해볼려고 하면 안될 건 없을 것 같지만...
http://item.rakuten.co.jp/auc-dis-mega/ey906-c1-r662/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건 참 마음에 드는데 일본에서조차 구할데가 없다... 글라스박스에서 35만 불렀던 물건.
http://www.makotoweb.com/main/2010/01/masaki_matsushimamf-1077col2_10500.html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역반무테인데 위에 테가 들어가는건 싫고 그렇다고 렌즈랑 프레임이 떨어져있는것도 싫고 화려한 것도 싫어서 이것저것 찾아보다가 이걸로 결정했다.
http://www.eyeone.co.jp/shopdetail/100002000036/order/
사용자 삽입 이미지



디자인은 마사키 마쯔시마가 잘 뽑는 것 같음.
http://masaki-matsushima.jp/


안경집중에는 이런곳도 있더라. 메이드를 안경모델로 쓰는 안경집. 애니메이션에서 나온 특이한 안경을 잘 가져다 놓는다. 위치도 아키하바라...
http://blog.livedoor.jp/moe_megane/


렌즈는 토카이가 좋다는 것 같은데 다음에 살땐 토카이로 함 해볼까...
http://www.tokaiopt.jp/et/eyecare06.php



*부록 : 메가네이치바, alook 5% 할인권. 생협 가입자만 적용.
http://tokyogak.coop/index.php?cID=127
2010/09/30 14:27 2010/09/30 14:27
Posted
Filed under 잡다한정보
여기저기서 줏어모은것들...

호야렌즈 사양
http://www.hoya.co.kr/pro/lens/sv1.htm
괜찮을것같은 안경점
http://blog.naver.com/NBlogMain.nhn?blogId=u21375

스포즈글라스 및 고글전문 메가글라스(http://megaglass.co.kr/)에서 발췌

◆ 코팅의 종류 및 특징

● 멀티 코팅렌즈








멀티코팅은 여러 층의 코팅 막이 렌즈에 입혀진 것을 말합니다. 코팅은 하나의 파장의 광선의 반사를 없애는 방법이지만 우리가 사물을 볼 수 있게 하는 가시광선은 여러 개의 파장이 합쳐진 빛이기 때문에 이 모든 파장에서의 반사방지를 하기위한 특성을 가진 물질이 없기 때문에 여러 층의 코팅을 하여 그러한 특성을 갖는 물질로 코팅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멀티’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코팅렌즈는 녹색, 옅은 파란색, 금색, 보라색 등의 코팅 칼라가 있는데 이는 가시광선의 파장대역폭이 크기 때문에 여러 개의 파장 중에서도 반사방지효과를 줄 수 없는 파장이 생기고 그 선택된 파장만을 반사를 시킵니다. 그 선택한 파장의 색이 코팅칼라가 되는 것입니다.

● UV 코팅렌즈

자외선코팅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자외선 차단물질이 렌즈 재질에 들어가 있는 것으로 정확히 말해서는 코팅이 아니며, 약품을 섞어서 만드는 것입다. 자외선과 같은 빛을 빛의 에너지에서 열에너지로 바꿔주어 그 빛을 없애는 기술입니다.

● 전자파 코팅렌즈
전자파 차단렌즈로 전자파라는 것을 금속 막을 씌워서 열에너지로 바꾸어주는 것입니다. 렌즈가 최고로 발달된 상태로 자외선 및 전자파를 차단시키는 놀라운 효과와 정전기를 방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렌즈로 운전이나 컴퓨터를 많이 다루는 사람 그리고 TV시청을 할 때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하드코팅렌즈

플라스틱 안경 렌즈는 전통적인 유리 렌즈에 비하면 잘 깨지지 않고 가볍습니다. 초고굴절의 경우는 얇게도 할 수 있어 안경 렌즈가 상품으로 변시하는 목적에는 거의 가까워 왔으나 표면에 흠이 잘 난다는 결정적인 약점이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표면에 고경도 실리콘 계열 수지의 막을 입힙니다. 시중에서는 이를 하드코팅렌즈라고 부르고 있다.



● 수막코팅렌즈


반사 방지 코팅을 한 렌즈의 경우, 그 표면에서 물방울이 건조되면 크게 더러움이 남기 때문에 수막처리를 별도로 해야 합니다. 물과 먼지를 방지하고, 지문과 지방의 더러움도 쉽게 제거하기 위한 코팅입니다






◆ 렌즈의 기능별 특성

● 비구면 렌즈

주변부의 곡률반경을 연속적으로 크게 하거나 작게 하여 구면수차를 줄인 렌즈를 비구면렌즈라 합니다. 비구면렌즈는 구면수차를 최소화하기위하여 렌즈의 한면을 비구면으로 제작한 것으로 구면수차가 클수록 왜곡수차도 커져 특히 처음 안경을 끼는 사람들이 기둥이 휘어져 보인다고 합니다. 눈의 피로감이 많은 사람들은 이 렌즈를 사용하면 좋습니다. 또한 상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고, 상의 일그러짐을 상당 부분 막을 수 있는 부수적 효과도 있습니다. 또한 렌즈이 가장자리 또는 중심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는 점이 이 렌즈이 장점입니다.

● 이중초점렌즈
노안을 교정하기 위한 렌즈로 초점이 두 개인 렌즈를 일컬으며 원용과 근용을 동시에 볼 수 있는 렌즈입니다. 단초점 노안경을 근용안경으로서 사용하게 되면 근거리는 명시할 수 있으나 원거리는 흐려지므로 수시로 벗고 쓰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됩니다. 하지만 이중초점렌즈를 사용하면 벗고 쓰는 번거러움이 없어지만 계단을 내려가거나 먼 곳을 보다가 가까운 곳을 볼 때에는 약간의 어지러움과 상의 도약(상이 위에 있는 것처럼 느끼는 현상) 이 생기기도 합니다.

● 누진렌즈


누진렌즈는 근용부와 누진부, 원용부에 경계선이 없고 연속적으로 도수 변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좁은 렌즈면적에 여러 도수가 겹쳐있으므로 누진부와 근용부의 면적이 좁은 것이 단점이고 이중초점렌즈보다 상의 도약현상이나 어지러움 현상이 적습니다. 경계선이 없으므로 외관상 좋고, 젊어 보여서 소비자들이 선호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누진대의 측방부의 왜곡수차와 비점수차로 측방 시에는 상의 흐림이나 흔들림 현상이 이중초점렌즈보다 심한 것이 단점입니다. 또한 중간거리 명시에 사용되는 누진대가 좁고 불안정하여 장시간 안정된 사용이 불가능하고 근용부의 시야가 좁습니다. 하지만 이중초점렌즈나 삼중초점렌즈에 비해 미용효과가 매우 커 사용빈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 조광렌즈(변색렌즈)

조광렌즈란 자외선량과 적외선의 양에 따라 색이 바뀌는 렌즈입니다. 조광렌즈는 유리와 플라스틱이 있습니다. 유리 조광렌즈가 플라스틱 조광렌즈보다도 농도 변화가 더 잘됩니다. 햇빛에서 자외선 및 단파장의 가시광선분포가 많을 때는 은과 할로겐 원소의 포화농도가 높아져서 반응속도가 빨라지고 형광등처럼 적외선과 장파장의 가시광선의 분포가 많을 때는 은과 할로겐 포화농도가 낮아져 농도가 옅어지고 반응속도 또한 느려집니다. 또한 겨울과 같이 주위의 온도가 낮을수록 진해지고, 온도가 높은 여름에는 같은 조광렌즈의 반응속도가 느립니다.




● 편광렌즈
편광렌즈는 어느 특정 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을 중심으로 통과시키므로 모든 방향으로 진동하는 자연광의 에너지보다 상당히 그 빛 에너지가 줄어들게 되어 멸광효과를 얻을 수 있어 선글라스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편광렌즈는 멸광효과를 얻을 수 있는 선글라스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면, 해면, 설면, 도로면, 건물유리면 등에서 반사되는 반짝거리는 반사광선 일부를 차단시키므로 배경물체를 비교적 확실히 볼 수 있어 낚시, 요트, 스키 등의 레저용 렌즈에 적합합니다.

● 야간운전용렌즈
야간이나 낮에 운전을 많이 하는 사람들을 위한 렌즈로는 가디안렌즈가 있습니다. 가디안렌즈의 특징과 효과는 색상의 민감도를 더욱 선명하고 아름답게 하고 망막의 노화방지 및 백내장과 설맹증의 예방과 진행의 억제로 시력교정효과에 좋습니다. 또한 밝은 빛의 예민한 감도를 증가시켜 시야를 맑고 깨끗하게 하여 야간시력을 향상시켜줍니다. 그리고 강한 직사광선에서 눈의 피로를 덜어 주어 일반적인 선글라스보다 운전하기에는 적합합니다.

● 차광렌즈
차광효과가 있는 렌즈는 컬러렌즈와 미러렌즈가 있습니다. 컬러렌즈는 과도한 빛에너지가 눈에 일시에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고 자외선을 흡수하여 눈에 이르지 못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렌즈입니다. 또한 눈의 보호와 미용적인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미러렌즈의 경우 등산용 고글이나 선글라스 렌즈에는 대부분이 미러코팅이 되어있습니다. 대개의 경우 이 코팅의 소재로 수은을 사용해왔으나 최근에 와서는 백금과 티타늄을 소재로 한 첨단 기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자외선차단렌즈

현대에는 오존층의 파괴와 환경오염으로 인한 자외선의 양과 도시의 빌딩들에 의한 반사로 자외선 양이 많아짐에 따라 UV흡수렌즈는 필수적으로 착용해야 합니다. 특히 조사량이 많은 고지를 등산하는 등산가, 설원에 있는 스키어들에게는 자외선차단렌즈가 필수적입니다. 또한 백내장 수술 후 무수정체안에는 자외선 흡수 작용을 하는 수정체가 없으므로 자외선 흡수 처리가 된 렌즈가 좋습니다.

● 전자파차단렌즈
전자파 차단렌즈는 전자파라는 것을 금속막을 씌워서 열에너지로 바꾸어주는 것입니다. 장시간 컴퓨터 작업을 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렌즈이며 텔레비전을 장시간 시청하더라도 일반렌즈를 쓰는 것보다는 전자파렌즈를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자파차단렌즈는 렌즈에 증착이 되는 것으로 뜨거운 김을 쐰다거나 뜨거운 물에 넣는다거나 사우나에 오래 있을 경우 렌즈의 코팅막이 상할 수도 있습니다.

● 특수기능렌즈
특수기능렌즈로는 항균렌즈와 원적외선렌즈, 그리고 필터렌즈 등이 있습니다. 원적외선렌즈는 원적외선 방사에너지에 의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안경착용으로 인한 피로, 충혈, 두통을 해소시켜주며 항균작용으로 안구부위의 세균을 현저하게 감소시켜주고, TV, 컴퓨터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단해 줍니다.

◆ 렌즈의 굴절률에 따른 분류



● 일반렌즈
굴절률이 1.50-1.56 정도의 굴절률을 가지고 있으며 안경교체가 많은 학생들에게 적당합니다.

● 중굴절렌즈
대부분 1.56-1.59 정도의 굴절률을 가지고 있으며 가볍고 경도가 강해 흠집이 덜 납니다.

● 고굴절렌즈
굴절률이 1.60-1.66정도의 굴절률을 가지고 있어 렌즈의 가장자리가 두껍지 않으며 경도가 매우 강해 흠집이 잘 나지 않습니다.

● 초고굴절렌즈
굴절률이 1.67이상이며 렌즈 중에서 가장 두께가 얇고 또한 고도의 근시, 난시인 사람에게 좋습니다.

◆ 렌즈의 재질별 특성

● 유리렌즈
- 크라운 유리
굴절률이 작고 아베수가 55이상으로 색수차가 작아 주시물체 둘레에 색이 퍼져보이는 현상이 극히 적습니다. 주로 안경렌즈로 크라운유리를 사용합니다.
- 플린트 유리
굴절률이 높고 아베수가 50이하의 렌즈를 말하며 색수차가 커 주시물체 둘레에 색이 퍼져보이는 현상이 많습니다. 고굴절렌즈나 다초점렌즈의 근용부에 사용됩니다.
- 티탄
비중이 작은 티탄금속을 안경렌즈 소재와 함께 용융시켜 굴절률을 높이고 비중은 낮춘 신종유리렌즈입니다.

● 플라스틱렌즈
- Allydiglicocarbonate
CR-39로 알려진 렌즈로 주로 비정시 교정용으로 널리 쓰이는 열경화성수지입니다.
- Polymethlmethaacrylate
콘택트렌즈의 주된 소재이며 선글라스, 패션안경 등에도 많이 쓰입니다. 아크릴이라 부르기도 하는 열가소성수지입니다.
- Polycarbonate
외국에서 무테와 반무테에 많이 사용되는 소재로 강도가 강한 것이 특징입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호렌드 실딩 시스템즈사가 개발한 것으로 자외선 및 화학약품에 강하고 자외선차단, 각종 세제나 용제, 오일, 가솔린, 소금이나 산에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네이버 지식인에서 발췌

1. 안경알에 대해

음..어려운질문을 하시는데여..
저는 렌즈도매상에 있습니다.
가격은 위에분 참조하시구여~

브랜드별의 분류라는것은 별 의미가 없을듯하여 브랜드별로 나누기보담은 전체적으로 안경렌즈의 기본을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 보았습니다.
안경렌즈는 크게 나누면 유리렌즈와 프라스틱렌즈로 나누어지며 제가 말씀드리는것은 프라스틱렌즈를 기준으로합니다.
또한 아래 분류에 따른 렌즈는 국내 렌즈제조회사에서는 대부분 생산 판매되고 있으므로 그특징이나 가격은 대동소이 함을 알려드립니다.

<렌즈제조회사에 따른 분류>

1.국산렌즈
1.케미렌즈 2.알프스렌즈 3.소모렌즈 4.대명렌즈 5.한미렌즈 6.에실로코리아 7.기타

2.수입렌즈
1.호야렌즈 2. 니콘렌즈 3.펜탁스렌즈 4.자이스렌즈 5.솔라렌즈 6.기타


<인덱스에 따른 분류>

1. 인덱스1.498 (가장 기본적인 렌즈이며 안경점에서 보통 압축이 안된
렌즈라고합니다.하드멀티드.수막)
2. 인덱스 1.56 (일명 중굴절렌즈 한번압축이라고하죠. 하드멀티.수막)
3. 인덱스 1.61(일명 고굴절 두번압축이라고하고 UV차단 하드멀티,수막)
4. 인데스 1.67(일명 초고굴절렌즈 세번압축.UV차단하드멀티.수막멀티)
5. 인덱스 1.74(초고굴절렌즈 수입품만판매 UV차단 하드멀티 수막)

* 하드멀티- 렌즈의 강도를 강화시키기위해 약품을 사용해 렌즈표면에 한겹의 막을
입히는것
* 수막 - 렌즈표면에 물기가 잘 제거하기위해 코팅처리하는것.
* UV차단 - 태양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광선을 차단하는기능 UV-400까지 차단

<설계상의 특징>

1.구면렌즈 2.비구면 렌즈

구면렌즈에서 발생하는 비점수차와 구면수차를 개선하여 보다 왜곡현상이 적게 만든 렌즈가 비구면렌즈입니다. 인덱스에 따라 구면렌즈와 비구면렌즈는 거의 모두 생산,판매되고있습니다.

<특수렌즈>
1.누진다초점렌즈 2.이중초점렌즈 3.색약렌즈 4.조광렌즈 5.변색렌즈 6.기타렌즈

<코팅색깔에 따른 렌즈의 분류>

1. 그린렌즈-보통의 대부분의 렌즈
2. 블루코팅렌즈-호야가 대표적이며 일부 국내렌즈.현재 생산,판매중
3. 퍼플코팅렌즈(보라색코팅.현재 거의 생산,판매중단상태)
4. 골드코팅렌즈(금색코팅.현재 거의 생산,판매 중단상태)

<코팅방법에 따른분류>

1. 일반그린코팅
2. 전자파차단코팅(전자파차단을목적으로함)
3. 밀러코팅(스포츠고글이나 선그라스용으로 사용.투과율이 떨어지므로 장시간
사용시 눈에 피로가 올수있음)
4. 초발수코팅(가장 최근에 출시된것으로 발유성기능을 추가하여 렌즈를 닦을때
발생하는 오염의 제거와 흠집발생을 최소화하기위해 사용)

대충 정리하면 이정도이고 더욱 자세한 분류는 문의바랍니다.
렌즈의 가격이 의미가 별로 없는것이 현재 소비자가격이 명시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렌즈의 특성상 같은 렌즈라 하더라도 다른 기능이 추가됨에 따라 렌즈의 가격은 항상 변할수 있으므로 가격을 말씀 드리기는 곤란합니다.
님이 안경을 맞추기위해서 필요한 정보로 보기엔 조금 원하시는 정보의 양이 많은것갔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면 쪽지주시기 바랍니다.
안경을 맞추기 위해 필요하시다면 위에 적힌 내용을 보시고 기능을 잘 선택하셔서 그러한 렌즈를 안경원에 말씀하시면 안경원에서 님에 맞는 안경렌즈를 골라 주리라고 생각합니다

----------------------------------------

1번압축 이구 2번압축이라고 하는것은 안경원에서 손님들의 이해를 편하게 하기 위해

애기하는 것이고 인덱스에 의한 구별이 더 확실합니다..

1.50 -> 1.56 -> 1.61 -> 1.67 -> 1.71 -> 1.74

인덱스가 올라갈수록 커질수록 안경렌즈는 일반적으로 얇아집니다.

일반적으로 3번압축이라함은 1.67 이구요~ 그런식이면 1.74는 다섯번 압축이죠

그리고 얇은 것을 원하신다면 구면이냐 비구면이냐 따라서

일반적으로 비구면 렌즈가 같은 인덱스에서 얇습니다..

그보다 얇은 렌즈를 하실거면 같은 인덱스에서 내면비구면이 얇고요

그보다 더 얇은 렌즈를 쓰실려면 양면비구면이 당근 더 얇게찌요~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는 렌즈 중 가장 얇은 것은 1.74양면비구면렌즈입니다.

수입품인데 가격은 상당히 나갈거구요~

님이 말씀 하시는 흠집이 안 나는 렌즈에 대해서 간단히..

주문 안하시고 보통 하실수 있는건 1.61구면 렌즈입니다..

더 좋은 것을 원하시면 주문하셔야 하는 것이고 이런 종류의 렌즈를 하시면 물론 흠집

은 덜 납니다. 그리구 안경알 닦을때 편하구요~초발수기능렌즈라고도 하죠

국산렌즈와 호야렌즈와 일단 비교하실려면 인데스가 정확히 같은 것인지부터 알아야 할

듯한대요~ 보통 같은 인덱스에서 만원 차이라면 조금 이해가 안가네요~

같은 종류로 제일광학에서 나온...

인덱스 1.61 블루색코팅 UV 100%차단 구면렌즈두 있습니다..CLEBU (끌레뷰)렌즈라고

합니다.

그리고, 3번압축(인덱스 1.67)이상의 렌즈는 공장에 주문하셔서 하면 됩니다..

즐거운 하루~~~

----------------------------


안경테


국내 브랜드라.....반도에 ...앙드레김, 모야. 켄지아.레노마 있구요

상리 코리아 에 SAiNTiEE

경일 산업 에 덤프, 티마, 마라토너, 골든 아이, 다모

동광 옵티칼 에 발만

국제 안경산업에 란체티

화경 산업사에 벨로체, 까르방, 제노바

정도 옵티칼에 페라스

진양 엔터프라이즈에 에밀레

인터룩에 인터룩

뉴스타 광학에 시선

한민옵티칼에 돌모루

일신에 마스터스, 조르지오, 페리, 로카스, 하비스, 셀리니, 오조, 메가 이치로, 카트블, 스누피

대광에 란체티 미찌꼬 런던, 카라, 카리스마, 엔비오, 해리포터, 소비노, 오투

알파신동양에 오떼르,

애니씨에 오지스

안성광학에 비비드, 다소니, 오노너,맨체스타, 패리토트, 마리오발렌티노, 프라쎄

지엘21에 류마. 아스텔

포엠아이에 안찌.

삼성광학 MOOL

옵티그마에 미니마.

훈성 옵티칼에 로잘빈

뉴이화옵티칼에 체리쉬 리젠시 노블레스 노트라.....

이상 국내 안경테 업테 브랜드 였습니다


안경테는 여기 있는 걸로 사세요

괜히 없는 거 중국싸구려 일수도 있고

불안불안합니다

2007/04/01 11:35 2007/04/01 1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