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흑맥주
사용자 삽입 이미지

キリン - 一番絞りSTOUT (기린 - 이치방시보리 스타우트)보다는 거품 질이 낫다. 향기는 일반적인 라거보다 조금 더 진한 구수한 향이 나는 정도이지만 맛은 괜찮다. 신맛도 깔끔하게 없애진 못했지만 상당히 억제되어 있는 편. 하면발효 효모를 사용하는 슈바르츠 타입으로 분류된다.

サントリー - ザ・プレミアムモルツ黒ビール (산토리 - 더 프리미엄 몰츠 흑맥주)은 기간한정이기 때문에 편의점에서 상시 구입할 수 있는 흑맥주중에선 상품(上品). 다만 라쿠텐을 자유자재로 이용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메리트가 별로 없는 녀석.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beeradvocate.com/beer/profile/284/11490
http://www.ratebeer.com/beer/sapporo-yebisu-black-beer/29266/

*에비스 더 블랙 홈페이지
http://www.sapporobeer.jp/yebisu/theblack/
2011/03/09 23:15 2011/03/09 23:15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흑맥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치방시보리는 이전에도 설명했지만 가장 처음 짜낸 맥즙(퍼스트 워트)을 가리키며 이치방시보리 스타우트는 퍼스트 워트만으로 만들어진 스타우트를 말한다. 구운 맥아에 카라멜 맥아를 첨가했다.

사진으로 봐도 알겠지만 거품의 질은 그리 좋은 편은 아니다. 구운 맥아 특유의 구수한 향미와 맛이 나타나지만 상당히 강한 신맛이 그걸 전체적으로 상쇄시켜버리고 있다. 바디감은 거의 없는 편이지만 비열처리 덕분인지 신선도는 괜찮은 편. 알콜 5%.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beeradvocate.com/beer/profile/292/39541
http://www.ratebeer.com/beer/kirin-ichibanshibori-stout/78552/

*이치방시보리 스타우트 홈페이지
http://www.kirin.co.jp/brands/ichibanstout/index.html
2011/03/09 22:21 2011/03/09 22:21
Posted
Filed under 잡다한정보

출처 : 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qid=2jb4N

계촌법(남), 내종관(여), 외종관(외가)




계촌법


     1.직계 가족(直系 家族)

 5촌

                   

현조부(玄祖父)

                   

|

                   

 4촌


 6촌

고조부(高祖父)

 

종고조(從高祖)

|

 

|

 3촌


 5촌

 

 7촌

증조부(曾祖父)

 

종증조(從曾祖)

 

재종증조(再從)

|

 

|

 

|

 2촌


 4촌

 

 6촌

 

 8촌

조부(祖父)

 

종조(從祖)

 

재종조(再從祖)

 

3종조(三從祖)

|

 

|

 

|

 

|

 1촌


 3촌

 

 5촌

 

 7촌

 

 9촌

부(父)

 

백숙부(伯叔父)

 

종백숙부(從伯)

 

재종백숙부(再從)

 

3종백숙부(三從

|

 

|

 

|

 

|

 

|

0촌


 2촌

 

 4촌

 

 6촌

 

 8촌

 

10촌

나(己)

 

형,제(兄,弟)

 

종형제(從兄弟)

 

재종형제(再從)

 

3종형제(三從)

 

4종형제(四從)

|

 

|

 

|

 

|

 

|

 

|

 1촌

 

 3촌

 

 5촌

 

 7촌

 

 9촌

 

11촌

아들(子)

 

질(姪)

 

종질(從姪)

 

재종질(再從姪)

 

3종질(三從姪)

 

4종질(四從姪)

|

 

|

 

|

 

|

 

|

   

 2촌

 

 4촌

 

 6촌

 

 8촌

 

10촌

   

손자(孫)

 

종손(從孫)

 

재종손(再從孫)

 

3종손(三從孫)

 

4종손(四從孫)

   


     2.내종간(內從間)

 4촌

               

고조(高祖)

               

|

               

 3촌


 5촌

증조(曾祖)

 

증대고모(曾大姑母)

|

 

|

 2촌


 4촌

 

 6촌

조(祖)

 

대고모(大姑母)

 

내재종조(內再從祖)

|

 

|

 

|

 1촌


 3촌

 

 5촌

 

 7촌

부(父)

 

고모(姑母)

 

내종숙(內從叔)

 

내재종숙(內再從叔)

|

 

|

 

|

 

|

0촌


 2촌

 

 4촌

 

 6촌

 

 8촌

나(己)

 

자매(姉妹)

 

내종형제(內從兄弟)

 

내재종형제(內再從)

 

내3종형제(內三從 )

|

 

|

 

|

 

|

 

|

 1촌

 

 3촌

 

 5촌

 

 7촌

 

 9촌

딸(女)

 

생질(甥姪)

 

내종질(內從姪)

 

내재종질(內再從姪)

 

내3종질(內三從姪)

|

 

|

 

|

 

|

 

|

 2촌

 

 4촌

 

 6촌

 

 8촌

 

10촌

손녀(孫女)

 

이손(離孫)

 

내재종손(內再從孫)

 

내3종손(內三從孫)

 

내4종손(內四從孫)



     3.외종간(外從間)

 

 4촌

           
 

외고조(外高祖)

           
 

|

           
 

 3촌


 5촌

 

외증조(外曾祖)

 

외종증조(外從曾祖)

 

|

 

|

 

 2촌


 4촌

 

 6촌

 

외조 (外祖)

 

외종조(外從祖)

 

외재종조(外再從祖)

 

|

 

|

 

|

 3촌


 1촌


 3촌

 

 5촌

 

 7촌

이모(姨母)

 

모(母)

 

외숙(外叔)

 

외종숙 (外從叔)

 

외재종숙 (外再從叔)

|

 

|

 

|

 

|

 

|

 4촌

 

 0촌

 

 4촌

 

 6촌

 

 8촌

이종형제 (姨母)

 

나(己)

 

외종형제 (外從)

 

외재종형제 (外再從)

 

외3종형제(外三從)

|

 

|

 

|

 

|

 5촌

 

 5촌

 

 7촌

 

 9촌

이종질 (姨從姪)

 

외종질(外從姪)

 

외재종질(外再從姪)

 

외3종질(外三從姪)

가족호칭과 촌수


대상 내가 부를 때 나를 지칭할 때 내가 남에게 말할 때 남이 나에게 말할때
조부 [생존시] 할아버지, 할아버님, 조부주
[사후] 현조고
[생존시] 저, 소손, 불효손
[사후] 고손, 효손
[생존시] 조부, 왕부, 노조부
[사후] 조고, 선왕부
[생존시] 조부장, 왕부장, 왕존장
[사후] 왕대인
조모 [생존시] 할머니, 할머님, 조모주
[사후] 현조비
[생존시] 저, 소손, 불효손
[사후] 애손, 효손
[생존시] 조모, 왕모, 노조모
[사후] 조비, 선왕모
[생존시] 왕대부인, 존왕대부인
[사후] 선왕대부인
[생존시] 아버지, 아버님, 부주
[사후] 현고
[생존시] 저, 소자, 불효자
[사후] 고자, 효자
[생존시] 가친, 엄친, 노친
[사후] 선고, 선친
[생존시] 춘부장, 춘장, 춘당
[사후] 대인, 선고장
[생존시] 어머니, 어머님, 자주
[사후] 현비
[생존시] 저, 소자, 불효자
[사후] 애자, 효자
[생존시] 자친, 자정
[사후] 선비
[생존시] 자당, 훤당
[사후] 대부인, 선자당
부모
동시
[생존시] 부모님, 양위분
[사후] 부모님, 양위분
[생존시] 저, 소자, 불효자
[사후] 고애자, 효자
[생존시] 양친
[사후] 선고비 양위
[생존시] 양당
[사후] 선대인 양위
남편 [생존시] 당신, 여보, 서방님, 군자
[사후] 현벽
[생존시] 저, 나, 졸처, 우처
[사후] 주부
[생존시] 남편, 주인, 바깥양반, 가군, 가부, (어른에게)사랑, 저
[사후] 망부
[생존시] 현군, 양군자, 부군, 주인어른
[사후] 선영군자
아내 [생존시] 당신, 여보, 마누라, 부인
[사후] 망실, 고실
[생존시] 저, 졸부
[사후] 부
[생존시] 내자, 안사람, 형처, 실인, (어른에게)제댁, 안사람
[사후] 망처
[생존시] 부인, 영부인, 합부인, 현합
[사후] 고영부인
아들 이름이나 별명, 애, 돈아 애비, 나, 여 자식, 가아, 가존 자제, 영식, (큰아들)영윤
이름이나 별명, 애, 여아 애미, 나, 여 딸, 여아, 여식, 가교 따님, 영애, 영교
손자 이름이나 별명, 손아 나, 할아버지, 조부, 여 손아, 손녀, 가손 영포, 영손, 현손
형, 형님, (시)아주버님, 형주 저, 나, 동생, 아우, 사제 사형, 큰형, 작은형 큰형, 작은형
형수 아주머니, 형수, 형님 저, 생수제 형수씨, 큰형수, 작은형수 영형수씨
이름이나 별명, 도련님, 서방님 나, 형, 사형 아우, 동생, 사제, 가제, 시동생 제씨, 영제씨
제수 제수씨, 동서, 자네 생, 나 제수, 계수 영제수씨, 영계수씨
누나 누나, 누님, 언니, 형님, 자주 저, 나, 동생, 사제 자씨, 매씨 영자씨
누나
남편
자부, 자형, 형부 저, 처남, 처제    
누이
동생
이름이나 별명, 사매, 작은아씨, ㅇㅇ서방댁 나, 오빠, 오라비, 사형 내누이, 사매 영매씨
누이동생남편 제부, 매제 나, 처남, 처형    
시누이남편 서방님 처남댁 시누이남편 시누이남편
백숙부 큰아버지, 백부주, 중부주, 숙부주 저, 나, 조카, 사질, 유자, 종자 사백부(큰), 사중부(둘쨰), 사숙부(세쨰), 계부(막내) 백완장, 중완장, 완장
백숙모 큰어머니, 백무주, 중무주, 숙무주 저, 나, 조카, 사질, 유자, 종자 사백모(큰), 사중모(둘쨰), 사숙모(세쨰), 계모(막내) 백모부인, 중모부인, 숙모부인
고모 아주머니, 고모님, 고모주 저, 나 , 가질 비고모 존고모부인
고모부 아저씨, 고모부님, 고숙주 저, 부질 비고숙 존고숙장
당숙
부모
아저씨, 아주머니, 당숙, 당숙모님 저, 종질, 당질 비종숙, 비종숙모 종완장, 존당숙모부인

외가


대상 내가 부를 때 나를 지칭할 때 내가 남에게 말할 때 남이 나에게 말할때
외조부 외할아버지, 외조부, 외조부주 저, 외손, 저손 외왕부 외왕존장, 외왕대장
외조모 외할머니, 외조모, 외조모주 저, 외손, 저손 외조모 외왕대부인
외숙, 외숙모 아저씨, 외숙, 내구주, 표숙모주 저, 생질, 표질 비외숙, 비표숙 귀외숙, 귀표숙
이모 아주머니, 이모, 이모주 저, 이질 비이모 귀이모

처가


대상 내가 부를 때 나를 지칭할 때 내가 남에게 말할 때 남이 나에게 말할때
장인 장인어른, 빙장어른, 외구주 저, 외생 비빙장 귀악장
장모 장모님, 빙모님, 외고주 저, 외생 비빙모 존빙모부인
사위 ㅇㅇ서방, 이름부름 나, 여빙고 사위, 서아, 가서 서랑, 현윤



이상~~ 헤롱헤롱@.@님이 작성한 글입니다.^^

2011/03/09 11:13 2011/03/09 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