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Filed under 연구

내가 공부하는 책상은 이제 한국의 성균관대학교를 뛰어넘어 전세계를 날아다닌다.
소속은 더 이상 문제되지 않는다.


*MIT
http://ocw.mit.edu/OcwWeb/web/home/home/index.htm
Introductory Quantum Mechanics II
Submicrometer and Nanometer Technology
Listening, Speaking, and Pronunciation
Symmetry, Structure, and Tensor Properties of Materials
Differential Equations
Linear Algebra
Mathematical Methods for Engineers I
Mathematical Methods for Engineers II
Physics I: Classical Mechanics
Electricity and Magnetism
Physics III: Vibrations and Waves
Circuits and Electronics



*동경대
http://ocw.u-tokyo.ac.jp/category/courselist/#video
2005物質の科学 (小柴、佐藤、家、小宮山)
2007数理の世界 (加藤、薩摩、桂、室田、楠岡、古田)
電子基礎物理学 I (岡部洋一 教授)



*UC 버클리
http://webcast.berkeley.edu/courses.php
http://www.youtube.com/ucberkeley
Soft X-rays and Extreme Ultraviolet Radiation
The American Languages
Descriptive Introduction to Physics
Introductory Physics
Introductory Physics
Quantum Mechanics
Modern Physics: From The Atom to Big Science
Introduction to Statistics
Introduction to Statistics



*David Deutsch 교수의 양자정보 강의
http://www.quiprocone.org/Protected/DD_lectures.htm



*Ivan Deutsch 교수의 강의들
http://info.phys.unm.edu/~deutschgroup/DeutschClasses.html



*서강대학교 초전도연구단(초전도, 양자역학, 고체물리학)
http://eqml.sogang.ac.kr/supercon



*양자역학 강의

스탠포드 http://www.youtube.com/view_play_list?p=84C10A9CB1D13841
IIT http://www.youtube.com/view_play_list?p=0F530F3BAF8C6FCC
베테교수 http://bethe.cornell.edu/



*파인만 교수의 강의들
http://freescienceonline.blogspot.com/2008/12/richard-feynman-physics-video-lectures.html
http://research.microsoft.com/apps/tools/tuva/



*개인이 모은 강의
http://freescienceonline.blogspot.com/



*각 연구소들의 Physics Seminar
http://www.mit.edu/people/cabi/Links/physics_seminar_videos.htm



*서울대 수리과학부(기초수학강의)
http://media.math.snu.ac.kr/




*스탠포드(itunes를 설치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itunes를 설치하면 아이비리그의 강의를 들을 수 있다)
http://itunes.stanford.edu/



*플로리다대
http://cove.cecs.ucf.edu/




*OCW 컨소시움
http://www.ocwconsortium.org/index.php?option=com_content&task=view&id=12&Itemid=26

*일본 OCW 컨소시움
http://www.jocw.jp/index_j.htm

*OCW Finder
http://ocwfinder.com/


*Korean Open CourseWare -  KOCW
http://www.kocw.net/home/index.do

*성대 IP를 통해서 들어갈 수 있는 IEEE Xplore 강의
http://ieeexplore.ieee.org/modules/titles.jsp

*YouTube로 검색한 강의들
http://www.youtube.com/results?search_type=search_playlists&search_query=lecture&uni=1

*The Teaching Company(이건 좀 성질이 다르지만...)
http://www.teach12.com/

2011/10/06 20:30 2011/10/06 20:30
Posted
Filed under 연구
내생각에 물리가 어렵게 느껴지는 것은 우리나라교육과정에 그게 무엇인가 하고 '보여주는' 과정이 없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한다. 그저 교과서보고 칠판에 대충 삼각형좀 그리면서 어쩌구저쩌구 지껄인다음에 외계어같이 생긴 수식 몇개 주고 설명이 끝난다. 그리고 그 수식을 이용해서 문제를 풀라고 한다.

...

물론 이렇게 하지 않는 선생님도 계시다는거 안다. 그리고 나도 나름대로 그런 기초교육 받은지 오래되서 최근에는 전체적인 경향이 변했을지도 모른다. 그래도 나는 내 주장을 계속 고수할란다. 그리고 그 주장 위에서 이 포스팅도 계속 이어가기로 하겠다.


사실 내가 정말로 물리를 '제대로' 배웠구나 하고 느낀건 MIT 월터르윈 쌤이 가르치는 인터넷강의에서였다. 월터쌤은 일단 설명하기 전에 개략적 이미지를 잡아주고 수식을 유도한다음 그자리에서 바로 실험을 해 버린다. 이러니 머리에 안들어올 수가 있나?

Physics I: Classical Mechanics (고전물리)
Electricity and Magnetism (전자기학)
Physics III: Vibrations and Waves (파동학)

개인적으로는 양자역학강의도 있었으면 했지만 생각해보니 이건 실험으로 보여줄 수 있는게 한정되어 있으므로 재미없어서 안한것 같기도 하다.


...


물론 이 강의들을 들으면 그게 제일 좋다. 하지만 한 강의당 1시간 ~ 1시간 반인 강의가 수십강씩 있는 강의들을 다 듣기에는 상당히 벅찰 수 있다. 그리고 그냥 실험부분만 보면 된다. 고 하는 분도 있을 것이다. 그런 분들을 위해서 이 대단한 MIT에서는 실험부분만 따로 빼서 동영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MIT Physics Demonstrations




그런데 또 이렇게 보는것만으로는 성이 안찰 수도 있다. 웨이브관련 실험은 자바애플릿으로 만드는게 용이한지 상당히 유용한 사이트가 또 존재한다.

Math, Physics, and Engineering Applets

여러가지 애플릿에서 커스텀값을 집어넣으면서 현상의 변화를 직접 관찰할 수 있다.



비슷한 성격으로 콜로라도 대학에서 제공하는 Physics 2000 이라는 사이트가 있다.

Physics 2000




우리나라에도 경상대학교에서 제공하는 아주 유용한 사이트가 있다. 탑메뉴에서 '멀티미디어 자료' 부분을 보면된다.

http://physica.gsnu.ac.kr/




개념정의를 보고 싶을땐 HyperPhysics라는 곳이 있다. 위키피디아도 좋지만 내용이 너무 방대하고 전문적인 경우가 많은데 비해 이 곳은 설명이 간결하고 알기쉽게 되어있는 것 같다.

http://hyperphysics.phy-astr.gsu.edu/hbase/hframe.html
2011/10/06 20:29 2011/10/06 20:29
Posted
Filed under 읽은것들/RSS

Firefox 5 곧 나옵니다 - 06-13 15:30

6월달에 스크랩한걸 이제 올리네... 한달에 한 번은 RSS구독 포스팅 올려야겠다...--

(대부분의 경우) 샌디 브릿지 내장 GPU는 그림의 떡 - 06-13 14:50

그렇다는군요.

완전 사랑합니다. 고객님 ^^♥

구매확인은 바로바로 해줍시다

IE6, 이제는 헤어질 시간입니다 - 08-01 04:21

이 사이트 들어오는 분중에도 IE6를 쓰고 계시는 분이 상당히 계십니다.

정치인이 쓰는 책의 일곱가지 법칙

이름 알릴려고

아이폰으로 TV를 보는 모든 방법 4 - 09-09 15:27

아이폰은 없지만... 어쨌든.

최고의 TED앱 "TED Air" by OGQ - 09-09 00:16

스마트폰은 없지만... 어쨌든.

[후배들을 위한 편지] 7편. 한참을 뒤쳐져 더 이상 같은 경쟁을 할 수 없을 때가 온다. - 08-31 17:07

다른 시리즈도 꼭 읽어보세요.

박원순 변호사, 그는 누구인가?

이 글만 가지고는 부족하지만...

[아듀 후니]미적감각은 뛰어났지만 시민마음은 읽지 못했다.

아듀 꼬깔콘~

[아듀 후니] “서울시의 떼쓰기는 다섯 살 훈이 급!!”

머리가 중요합니다.

졸업 즈음에 -- 유학 생활에서 배운 것, 배우고 싶은 것 - 09-14 05:43

유학생이 아니라도 읽어보세요.

09/12/11 PHD comic: 'Professorial Density Function'

작가는 천재다!!

핸드폰에 의해 유입되는 정자계

전자파에 대해 조금 더 전문적으로 분석하였습니다.

LED 조명의 리스크

이런 문제도 있다는군요.

중요한 이정표를 통과한 양자 컴퓨터 칩

역시 실리콘이 치고나오는군... 최종적으로는 이쪽으로 갈 수밖에 없지 않을까 싶긴 하지만...

공급위기 희귀금속 52종 목록 발표돼

중국이 다 먹습니다 우걱우걱

라거 맥주의 기원

흐음..

텍스트큐브 1.7.7 ~ 1.9 리뷰 + 니들웍스/TNF 리더 신정규님 인터뷰 - 09-21

감사히 잘 쓰고 있습니다.

자전거 체인 : 연결,분리,구조,재단,마모도 검사,청소,윤활,체인라인까지 한방에 종결!

보물같은 포스팅.

새벽에 응급실에 갔는데 돈이 없을땐 이렇게 하세요!

알아두면 좋습니다.

세종대왕님 정말 진짜로 감사드립니다

넹넹

표정만 봐도 국방의 의무를 위해 노력하는 사진

ㅋㅋ

Nobel Lecture: Graphene: Materials in the Flatland

대세는 그라핀이다!!

'서울시인터넷TV' 를 아시나요?

이런것도 있었군요

일본산 수산물 5월 이후 방사성 세슘 5회 검출, 최대 97.9Bq/Kg

전수조사는 무리겠지만 그래도 신경좀 써주셈.

[중앙일보] 내 세금낭비 스톱_ 녹슬어가는 112억짜리 ‘한강 크루즈’

뭘 띄운다고?

PCSP v0.5.4

흐음...

북 스캔 - 09-29 20:42

디스플레이로 책 보는건 취향은 아니지만 필요하긴 하네요.

동아일보의 정정보도문. - 09-28 10:56

한마디로 뻔뻔
2011/10/06 16:16 2011/10/06 16:16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흑맥주
사용자 삽입 이미지

타입은 임페리얼 스타우트.

상당히 고급스런 쓴 향. 단순히 쓴 것만이 아니라 뒤쪽에 달콤한 향이 살짝 섞여서 부드럽게 완화되어 있다. 거품이 아주 찐득하게 쌓이며 비교적 부드러운 편이고 밀도가 높아서 입속에서 그대로 액체로 변한다. 칠흑같이 검은 색이 아름답게 느껴지며 밀도가 높은데도 불구하고 바디는 중상급으로 높은편은 아니다. 쓴 맛이 메인인데도 불구하고 전체 맛을 점령하고 있지는 않아 밸런스가 아주 잘 잡혀있다. 알콜 7.5%인데 체감은 조금 더 낮다. 쓴 맛이 아주 고급스럽다. 에스프레소라는 이름이 잘 어울리는 맥주. 이대로도 재밌지만 조금만 더 바디를 높였으면 더 재밌어졌을 듯.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beeradvocate.com/beer/profile/697/37836

http://www.ratebeer.com/beer/hitachino-nest-espresso-stout/71055/

*에스프레소 스타우트
http://www.craftbeers.jp/nest-espresso-stout.html

http://www.kodawari.cc/?jp_home/products/nestbeer.html

2011/10/06 10:28 2011/10/06 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