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YHZ

우왕!! 그래도 노무현 전 대통령의 유가족들에겐 분노가치밀어오를뿐이다!!! 지들 사욕 챙길줄은 알았어도 노전대통령이 지들 죄 끌어안고 서거하실줄은 몰랐겠지...쳇.

클리아르

분노의 표출대상을 좀 잘못잡고 있는것 같구나...

ALYHZ

뭐 분노의 방향이 잘못되긴 했지만, 결국 노무현 전 대통령의 마음에 상처입힌것은 수십년간 싸워온 돌대가리들이 아니라 몇 년 새 변해버린 자신의 식솔들 때문이란 생각은 변하지 않을듯...

클리아르

사람 생각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거니까...

Posted
Filed under 잡담
2000년부터 시작해 온 홈페이지 짓거리도 벌써 10년차에 들어서고 보면 사실 특별한 감상도 들지 않는다, 어차피 이전 포스팅에서 과거의 이야기를 주저리주저리 풀었기도 하고.

사실 오늘 포스팅을 한 건 앞으로의 Silphion System의 방향성에 대해 생각해보기 위해서다. 어차피 기본골자는 그때그때 내가 꼴린 정보나 감상을 올리는 것 뿐이지만 어쨌든 좀 구체적인 노선을 정리해 볼 필요는 있을 것 같다.


블로그를 하면서 느끼는 건, 이제 카운터 수라는 건 거의 의미가 없어졌다는 거다. 카운터를 늘릴려면 자극적인 제목으로 포스팅을 하거나 mp3, 혹은 애니메이션 동영상이나 자막파일, 소프트웨어 크랙을 올리면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간다. 또한 카운팅 자체도 과거에 비교하면 봇등으로 인한 허수가 많아 숫자 그 자체를 순수하게 받아들이기는 힘들게 되었다.

무슨 소리냐? 카운터를 올리기 위해 포스팅을 하지는 않을 거라는 얘기다.


사실은 게임이나 애니 최신정보를 올려볼까 하는 생각도 있었는데 그게 무슨 의미가 있겠나 싶은 생각이 들어서 관둬버렸다. 어차피 그런 정보를 제공하는 포탈이 쎄고 쎘는데 내가 굳이 그런 행위를 하는데 시간을 낭비하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기 때문이다. 굳이 따지자면 내 홈페이지는 아무래도 내가 필요한 정보, 특히 종이로 기록하기 힘든 URL이나 이미지를 링크하기 위한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그런 1회성 기사를 일일이 여기다 다시 갖다붙이는 것도 귀찮고 또 그건 그거대로 시간낭비, 용량낭비로 이어진다. 그런 건 그냥 구글 리더에서 읽고 지나가면 될 일이다.

다시말해 나는 내가 필요한데 정리가 안되어 있는 데이터를 구축하기위한 데이터베이스로서의 성격으로 홈페이지를 운영할 것이라는 말이다.

그게 뭔가? 너무 내가 올리고 싶은 정보만 골라 블로그를 꾸미는 것 아닌가? 보러오는 사람이 읽고싶은 정보를 올려야 하는 것 아닌가?

아니다. 그럴 필요는 없다. 내가 모든 정보를 올려야 될 필요는 없다. 나의 부족한 조각은 다른 블로그에서 반드시 메꿔주도록 이 네트는 구성되어 있다. 내가 올리고 싶은 정보만을 올리는 무수한 사람들이 모여 완벽한 웹의 조각이 완성되는 것이므로 나는 그저 내 맘대로 하면 된다.


카운터가 한참 올라가고 있을 때는 구글 애드센스를 써서 돈 좀 벌어볼까 하는 생각도 있었는데, 때려치웠다. 막상 해보니 블로그로 돈을 벌려면 일단 포스팅이 많아야 한다. 그것도 그냥 어디서 아무렇게나 스크랩 해 온 정보가 아니라 자기가 꼼꼼하게 가공해 낸 '질 좋은 ' 포스팅이 많아야 한다.
나는 블로그에 그정도로 시간을 많이 쓰진 않는다. 잘 보면 주인장의 난잡한 감상글이나 어쩌구저쩌구하는 잡설이 별로 없는게 이 블로그의 특징이다. 대부분 링크로 다 때우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단순히 귀찮아서 감상없이 링크만 붙이는 것도 있긴한데 그것보다는 '블로그' 라는 수단에 그리 많은 시간을 쓰지는 않기 때문이라고 봐야 한다. 오프라인 일기장에는 한시간 이상 들여서 글을 쓰는 일이 잦으니까. 그렇게 쓰다가 다른 사람에게도 읽게하고 싶다 하는 글이 여기에 올라오는거지 모니터 보고 몇시간이고 앉아서 길쭉한 포스팅을 붙이는 건 내 취향이 아니다.
하여튼 내 스타일로는 블로깅으로 돈을 벌 순 없다.

게다가 나는 이 블로그로 돈을 벌고싶지도 않다. 넷상에서이긴 하지만 세상에 대해 내 목소리를 커다랗게 내어 주는 단 하나의 확성기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이녀석이 작동하는 댓가로 돈을 받는다는 사실은 그 행위가 돈으로 평가되는 것 같아 싫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무언가 다른 방식으로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하고 생각해서 하고 있는것이 아래 활동이다.

나의 블로그는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나



블로그 리퍼러기록을 보면 사람들이 제일 많이 보는 글은 epsxe랑 ds공략, 논문양식에 관한 글인데, 내 생각에 Silphion System에서 가장 가치가 있다고 생각 되는 건 아래 글이라고 생각한다.
http://silphion.net/273
http://silphion.net/258



사실 이 블로그는 아직 중간점검을 할 단계는 아니다. 지금은 그냥 관성으로 붙은 속도를 가지고 그냥 계속 달리는 시기이다. 특별히 이런 글을 쓸 필요도 없었지만 그래도 점하나 찍어놓는 건 어떻겠나 싶어 그냥 써 봤다. 위에서 어떻게 할것이다는 노선을 천명하긴 했지만 이런건 크게 중요한 건 아니다. 하다가 보면 마음이 바뀔수도 있고 아예 다른식으로 갈 수도 있다. 생각하고 있는것도 있긴 하지만 그건 또 다른 기회에.
2009/05/30 13:03 2009/05/30 13:03
Posted
Filed under 잡다한정보/정치&사회
▶◀ 국민장 일정계획 ▶◀

▶ 발인(봉하마을회관) 05:00

▶ 봉하 출발 05:40

▶ 영결식(경복궁) 11:00~12:15

▶ 운구행렬(경복궁동문~서울시청광장) 12:15~13:00

▶ 노제(서울시청광장) 13:00~13:30

▶ 운구행렬(서울시청광장~서울역) 13:30~14:00

▶ 서울 출발 14:00

▶ 수원 연화장 15:30~17:00

▶ 봉하 도착 17:00~21:00




▶◀ 영결식장 가는 방법

각 지역별 또는 단체별로 참여하셔야 합니다.

봉하마을에서 출발하는 차편은 마련되지 못했습니다.

영결식장의 극심한 혼잡이 예상되니 고려하시어 보다 신중한 시간계획을 세우시기 바랍니다.




▶◀ 봉하마을 발인제에 함께 해 주십시오.

노란 종이배를 만듭니다.

그 배를 님이 탈 것입니다.

그 배의 노를 함께 저읍시다.



▶◀ 경복궁 영결식에 함께 해 주십시오.

님이 계시던 앞뜰에서 성장을 하십니다.

빛이 나십니다.

그 빛에 우리 혼이 밝아집니다.




▶◀ 서울시청 앞 광장 노제에 함께 해 주십시오.

님이 잠시 걸음을 멈추십니다.

차를 한잔 하십니다.

그 향에 우리 몸이 촉촉해 집니다.




▶◀ 수원 연화장 승천제에 함께 해 주십시오.

님이 나래를 맘껏 펄럭이십니다.

신선한 바람이 입니다.

그 바람에 우리 얼이 맑아집니다.




▶◀ 봉하마을 맞이제에 함께 해 주십시오.

바알간 촛불이 켜집니다.

그 불에 님이 걸을 것입니다.

그 불에 우리 길도 밝아집니다.




※ 각 지역별 노사모 식구들, 각 단체별 노사모 형제들은 모두 함께 해 주십시오.




※ 29일 봉하 발인제에 함께 하실 분들 중 남밀양/동창원 IC를 활용하시는 분 들은 진영공설운동장에, 진례 IC를 활용하시는 분들은 도자박물관(클레이아크) 주차장을 확보해 두었으니 이곳에 주차를 하시고 셔틀버스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2009년 5월 27일

노사모 사무국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9/05/28 12:40 2009/05/28 12:40
Posted
Filed under Games/NDS
나는 아이돌마스터 게임을 해 본적은 없지만, 어쨌든 정보가 떠서 포스팅.

상표명을 등록했다느니, 잡지에 오기의 형식으로 DS발매에 대한 떡밥은 이전부터 계속 나오고 있었지만 공식발표는 이게 처음이 아닌가 싶다.

타이틀은

「アイドルマスター ディアリースターズ」

로 아이마스의 신프로젝트 [2nd VIsion]의 첫 타이틀이라고 한다.

진행은 프롤로그 -> 에피소드(서브이벤트 포함) -> 에피소드(서브이벤트 포함) -> 엔딩의 형식이 될 듯하며 등장아이돌은 3명인 모양. 이름으로 보아 이중 료는 리츠코의 동생일 수도 있을 것 같다.

이미지 포함. 글씨가 너무 작아 읽기는 힘들다...(<-읽을 생각도 없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9/05/27 13:09 2009/05/27 13:09
Posted
Filed under 잡담

23일 토요일은 대학동기 류진경의 결혼식으로 아침부터 강남 고속터미널에 갔다.
그리고 황망하게도 노무현 전 대통령이 돌아가셨다는 얘기를 전해들었다.
심지어는 그 방법이 절벽에서 뛰어내리는 형태의 자살이었다는 내용에 이르러서는 말문이 막혀 정말이냐고 되묻는 한정된 반응만을 언제까지고 보일 수 밖에는 없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
대통령직을 벗어던지고 봉하마을로 내려와 '야~ 기분좋~다!' 고 외쳤던 사람이 과연 자신에게 '대통령님'이라는 거창한 칭호가 붙는 것을 기꺼워 했을까. 그렇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본다.
그렇지만 그를 높이지 않는다면 도데체 이 나라에서 누굴 높여야 한단 말인가?

노무현'님'이라는 호칭이라면 그는 동의할까?
동의하지 않는다 해도 어쩔 수 없다. 나는 당신의 호칭에 최소한의 존칭이라도 붙이지 않으면 머리가 이상해져 버릴 정도로 당신을 존경하기 때문이다.

특히나 땅바닥에 늘러붙은 시커먼 껌딱지들에조차 선생님, 교수님, 박사님 하는 존칭을 붙이길 전혀 꺼려하지 않는 정신적 미숙아 혹은 정신적 파산자들이 풍기는 썩은내가 진동하는 이 세상에서 노무현이라는 사람에 대한 존경을 표하지 않는다면 그 악취에 취해 금방이라도 내가 졸도해 버릴 것 같은 심정이기 때문이다.

나는 노무현님을 존경했고 그를 시대의 어르신이었다 평가하고 있었기에 그를 잃은 내 세계는 지금 격심한 충격에 빠져있다.
2주일 전. 급작스럽게 들이닥친 엄마의 죽음조차 아직 삼키지도 못한 상황에서 장영희 서강대교수님과 노무현 전 대한민국 대통령의 죽음까지 같이 받아들여야 하는 내 처지가 너무너무 불쌍하다.

어쨌든 '그들'이 받들어 모시는 전지전능한 의미로서의 신이라는 게 없다는 건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건만 이번 일은 그 공상(空想)을 더욱 견고하게 만들어 주었다.

전두환도 살아있고 노태우도 살아있고 강만수도 살아있고 전여옥도 살아있고 부시도 살아있고 쥐박이도 살아있는데
노무현님은 자살을 '강요'당했고 도저히 맞설 수조차 없는 끝없이 거대한 절망과 암흑에 밀린 그는 그것을 받아들였다.

여기저기 타살설이 떠돌긴 하지만 어쨌든 그는 자살을 '강요'당했을지언정 그것을 스스로의 의지로 '선택'은 했으리라 생각한다.
보이지 않는 투명한 감옥에 갇혀서 자기가 만들어 낸 모든 것들을 부정당하고, 자기가 사랑한 모든 사람들이 고통받고, 자기가 믿었던 가치가 산산조각나며, 그 상황이 시간이 경과되어갈 수록 더욱 악화(惡化)될 일 밖에 남지 않았다는 현상과 직면한 자존심 강한 사람이 고를 수 있는 선택지라는게 과연 무엇이었을까.

나는 그의 자살을, 인정할 수는 없지만, 이해한다.

인간이 고려할 수 있는 모든 방위(方位)로부터 받은 스트레스로 인해 시야가 극도로 좁아진 그에게,
방아쇠는 그리 큰 것이 아니어도 그 발동(發動)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었을 것임에 틀림없다.


쥐박이가 얼마나 미웠을까.

취임하자마자 한 짓거리가 정부조직 개편 - 말이 개편이지 사실상 조직을 통째로 들어내고 아예 다른 걸 갖다 심어버린 저 무식한 적출(摘出)과 이식(移植). 그나마도 노무신(神)의 흔적을 지우려고 그런 짓거리를 행해놓고는 잘 돌아가지 않으니까 나중에 은근슬쩍 원래의 조직을 복귀시키는 멍청하고도 한치앞도 보지못하는 쥐의 행각이 얼마나 한심하게 느껴졌을까.

참여정부동안 잘 끌어와서 이제 계약서에 도장만 찍으면 될 정도로 진전시켜 놓은 수많은 대형사업들과 계약들을 '노무신이 했다'는 이유만으로 취소시키고 걸레짝을 만드는 짓거리를 보면서 얼마나 통탄(痛嘆)을 했을까.

그렇게도 욕을 먹고 누더기가 될지언정 통과시켜 최소한의 안전장치(安全裝置)로서 기능하길 바랐던 부동산을 위시(爲始)한 수많은 정책들이 정권을 넘겨주자마자 뿌리째 뽑혀나가고 상상도 못할만치 극악(極惡)한 것들로 바뀌는 -심지어 자신이 아래에 두고 쓰던 관료들조차 그 짓에 합세하여 개지랄떠는 현상을 어떤 심정으로 바라보았을까.

썩은내가 나는 고인물같이 되어버린 정부조직으로는 도저히 불가능하겠다 싶어 만든 과거사, 5.18, 인권위원회 등의 수많은 위원회들이 폐지되고, 축소되어 결국에는 불구(不具)가 되는 과정을 지켜보며 얼마나 눈물을 속으로 삼켰을까.

쥐박이가 '전직대통령을 예우하는 문화를 만들겠다'고 능청떠는 말을 믿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사람이라면...'하고 그래도 지켜본 자신의 기대를 철저히 배신하고 난도질하고 짓밟고 사지를 찢어버릴듯이 들어덤비는 저 씨발놈이 얼마나 미웠을까.

적법한 절차에 따라 시행한 기록물반출에 거품물고 지랄떨면서도 어쨌든 지는 항상 뒤에 숨어서 유감이라며 찍찍거리는 저 쥐새끼가 얼마나 가증스러웠을까.


그런 쥐박이의 미친 행위를 보좌하고 수행하는 행위를 마치 자발적 노예처럼 실행했던, 혹은 해야 했던 청와대 사람들이 얼마나 안타깝고 불쌍했을까.

그 과정의 중심에서 쥐박이에겐 유리하게, 자신에게는 한없이 불리하도록 담론(談論)의 확대재생산에 앞장선 조중동을 위시한, 무가지보다 더욱 그 가치가 떨어지는 쓰레기 신문들과 하루종일 홈쇼핑전파만 주구장창 쏘아대는 케이블채널보다도 저급한 KBS, SBS들 방송국의 견고한 동맹에 얼마나 큰 절망감을 느꼈을까.

그런 정권의 나팔수들이 매초(每秒)마다 불어대는 독기서린 나팔에도 불구하고 그래도 내 사람이 그랬을리 없다하고 믿던 보좌관이, 의원이, 친구가, 형님이, 그리고 아내마저 결백하지만은 않았다는 사실에 직면해야 했을 때 얼마나 비탄해했을까.

그 먼지를 털어내기 위해 마치 일제시대 순사가 독립군을 고문하듯이 자기가 사랑하고 믿음을 준 사람들을 더럽고 치사하고 비열하고 치졸하며 또한 고통스럽게 괴롭히는 모습을 그 눈에 담고 그 귀로 들어야 하는 비참하고 잔인한 현실을 어떻게 견뎌낼 수 있었을까.

그리고,

자신이 혼을 다해 지난 5년동안 쏟아넣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도데체 무엇 하나 성장한 데가 없는 저 국민이라는 이름의 미숙아들이 한데 입을모아 조중동이 만들어낸 공격논리를 그대로 받아 증폭시켜 귀청이 떨어져 나갈듯한 소음으로 한반도를 들썩이는 작태(作態)에 얼마나 마음으로부터 커다란 배신감을 느끼고 또 눈물을 흘렸을까.


대한민국에 민주주의의 불씨를 밝힌 상징적 인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을 꼽을 수 있다면,
계급문화가 아예 그 유전자 속에 새겨져 있는 거대한 병영국가 대한민국에서 권위주의와 뒤틀린 계급사회의 부조리함을 타파하려고 한 인물로는 노무현 전 대통령님을 말할 수 밖에는 없다.

권위라는 건 걷어찰 것 밖에 그 효용성이 없는거라는 나의 소신을 대한민국 대통령의 위치에서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겼고 또한 그 소신을, 수 많은 풍파(風波)를 맞아가며 온 몸을 던져 관철하고 지켜냈던 사람.

그래서 나는 노무현님을 존경한다.
그래서 나는 노무현님을 위해 울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에서 권위주의와 계급주의의 망령을 걷어내고자 했던 그의 뼈와 살을 깎아내는 노력은 극한까지 늘어난 스프링이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려는 운동과 완벽하게 동일한 속도로 무위(無爲)로 돌아가고 말았다.

하지만 근조(謹弔) 라는 말은 노무현 전 대통령님께 붙여야 할 말이 아니다. 서거(逝去)라는 말 조차 권위를 걷어차던 그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단어일 뿐이다.

그는 죽지조차 않았다.
이다지도 그를 기억하고 그의 죽음을 슬퍼하는 사람들이 전국 분향소에 끝없이 긴 줄을 늘어뜨리고 있다. 언젠가는 하나둘씩 그를 잊어가는 사람들도 나타나겠지만 그의 유지를 받들어 대한민국에서 친일파를 청소하고 권위주의를 걷어차 버릴 사람도 또한 나타날 것이다.

그렇다면 그는 죽은것이 아니다.
그는 우리들의 마음속에
또한 나의 마음속에
언제까지고 살아있을 것이다.
내가 죽을 때까지.
내가 그의 얘기를 해 준 나의 손자가 죽을 때까지.
그 손자의 손자가 또한 그 명을 다할 때까지.

관 앞에 서서 눈물 짤 필요는 없다.
그는 거기에 있지 않다.
그가 지키려고 했던 것이 내 마음속에 살아 숨쉴 수 있다면 근조라는 단어를 꺼낼 필요는 없다.


오히려 근조를 붙여야 할 대상은 따로 있다.
친일파 쥐박이와 한나라당,그리고 그의 수족들. 또한 그들에 동조하는 우둔한 국민들이 스스로를 무서운 속도로 침식하고 갉아먹고 있는지조차 깨닫지 못하고 있는 대한민국이야말로 근조해야 할 대상이다.

대한민국이라는 격(格)이 그 기능을 멈춘지는 벌써 1년도 2개월이나 지났지만 자신을 회복시켜주려는 의사(醫師
)를 목졸라 죽임으로 인해 실질적 뇌사판정을 받아버린 대한민국의 영정(影幀)에 나는 착잡한 심정으로 검은 리본을 매달 수 밖에는 없다.



謹弔 大韓民國

2009/05/25 21:23 2009/05/25 21:23
Posted
Filed under 잡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직 이 사건에 대해 글을 쓰지는 않겠다. 좀 더 정확한 정보가 모인 후에 정리하려고 한다.


지금은 그저 내가 좋아했던 그 사람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는 사실만을 슬퍼할 뿐이다...

2009/05/23 16:20 2009/05/23 16:20
뉴익

그림 제작이라.. ㅡㅛㅡ
근데 해즈 낫씽 투 두 위드 디스프로젝트는 너무한거아니냐 ;ㅇ;

클리아르

이바닥은 다 그런거야...

Posted
Filed under 잡담
내가 상당히 싫어하는것 중의 하나가 RT들이 교내에서 큰소리로 거수경례하고 그걸 거만하게 받는 꼬락서니를 보는거다.

어차피 훈련생들 주제에 무슨 거기에 서열이 존재한다고 아랫놈들은 '우리도 후배받으면 이렇게 시켜야지' 하면서 큰소리로 거수경례붙이고 윗놈들은 아직 소위 계급장도 못 받은 것들이 손바닥만 까닥거리면서 지나가는 걸 보고 있지면 아주 속에서 천불이 나는 것 같다.

강부장의 설명에 의하면 어쨌든 RT훈련생의 기간도 호봉으로 친다고 하니 굳이 서열이 존재한다고 논리를 방어하려면 그럴수도 있겠지만 내가 까고싶은 건 그 치들이 너무나도 간단하게 권위에 복종하는 태도를 보이는거다. 어차피 그 치들이 그러는거는 이미 전통으로 굳어져 버려서 누가 깐다고 경례를 하고 안하고의 영역을 이미 넘어버린 상태이니 내가 무슨 행동의 변화를 바라는 것은 아니다.
그저 권위에 대한 맹목적 복종을 역겹게 여기는 나로서는 아직 나이도 새파랗게 어린 것들이 저런 구역질나는 짓거리를 좋다고 하고 있는걸 보고 있으려니 뱃속으로부터 짜증이 스멀스멀 올라와서 미칠 것 같기 때문이다.

권위는 계급장으로부터 생기지 않는다. 그 사람이 가진 지혜와 오오라로부터 생긴다. 그 오오라가 상대방을 따뜻하게 감싸줄 수 있을 때 권위는 자연스럽게 생겨난다.

그래서 내가 선배라 불리는 걸 싫어하는거기도 하다.

대학에서 붙는 선배라는 호칭을 가진 것들이 그들의 후배에 비해 나은 점은 학교 주변 식당은 어디가 맛있는가 수준의 지식을 조금 더 많이 가지고 있다는 것 뿐이다.

그들은 선배라고 불릴 자격이 없다.

이전에 최소 5년이상 나이차이가 나지 않는 이상 나이를 보고 선후배를 결정하지 말라고 한 적이 있고 그 말은 지금도 유효하다. 적어도 관성에 의한 경험만으로 타자(他者)의 위에 서기 위해서는 최소한 5년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바다. 심지어 5년조차 부족하다고 느껴지는 사람까지 존재한다.



저 높이 솟은 커다란 건물이 내뿜는 위엄에,

도저히 납득할 수 조차 없는 갖다붙인 의미를 덕지덕지 붙이고 있는 대학교 마크가 가지고 있는 위엄에,

선배라는 작자, 상관이라는 작자들이, 가지고 있다고 믿어지지만 실은 가지고 있지 않은 위엄에,

내가 알고있지 못한 것을 상대방이 알고 있을 때 느껴지는, 그렇지만 개인의 노력으로 얼마든지 취득할 수 있는 지식의 피로(披露)로부터 느껴지는 위엄에,

관(官), 실(室), 청(廳) 이라는 단어가 내포하는 근거없는 위엄에,

스스로가 사물을 대할 때 자발적(自發的)으로 발동(發動)하는, 의미없는 외경심(畏敬心)에,


저항하라, 납득하지말고 무릎 꿇지도 마라. 있는 힘껏 걷어 차 버려라.
2009/05/17 23:43 2009/05/17 23:43
Posted
Filed under 애니&라디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HOBIBOX - [2009] P.S.すりーさん ドラマCD;
 01. インターミッション #1;
 02. 第一話 どうして歌うの?;
 03. インターミッション #2;
 04. 第二話 プロというもの;
 05. インターミッション #3;
 06. 第三話 おなかの底から声をだそう;
 07. アフリカ ~Africa~;
 08. もしもP.S.すりーさんが格闘ゲームのなったら?;
 09. 積みゲーの神様のおはなし;
 10. 出演声優によるおまけコメント

*시디관련 정보는 아래
http://www.hobirecords.com/ps3/
2009/05/17 19:01 2009/05/17 19:01
Posted
Filed under 잡다한정보
  채소  과일  어패류
 1월  우엉, 연근, 당근   귤, 레몬   도미,복, 고등어
 2월  쑥갓,시금치, 고비, 봄동, 참취, 순무, 양파, 달래   사과, 귤, 레몬  가자미,복
 3월  봄동, 돌미나리, 달래, 냉이, 씀바귀, 고들빼기   딸기, 금귤 ,사과  대합, 실치회, 조기
 4월  양상추, 껍질콩, 머위, 죽순, 취, 쑥, 상추, 봄동, 두릅, 그린아스파라거스  딸기,사과  삼치,쭈꾸미, 실치
 5월  양배추, 고구마순, 완두, 미나리, 참취, 도라지, 파, 상추, 양파, 마늘, 더덕, 마늘종   딸기, 앵두  농어,갑오징어, 아구
 6월  샐러리, 껍질콩, 오이, 청둥호박, 양파, 근대, 부추, 감자   토마토, 참외, 매실   숭어,민어, 멍게
 7월  부추, 양상추, 가지, 피망, 애호박, 노각, 열무   수박, 딸기, 참외, 산딸기, 자두, 아보카도  장어
 8월  오이, 풋고추, 열무수, 양배추, 깻잎, 감자, 고구마순,옥수수    멜론, 복숭아, 포도, 수박  꽃게
 9월  고구마, 풋콩, 토란, 느타리버섯, 당근, 붉은고추, 감자, 표고버섯  배, 사과, 포도, 석류, 무화과   전어
 10월  송이버섯, 고추, 팥, 무, 느타리버섯, 양송이버섯, 고들빼기   감, 밤, 대추   갈치
 11월  브로콜리, 배추, 무, 연근, 당근, 우엉, 파, 늙은호박  배, 사과, 귤, 키위   11~12월 회는 거의
대부분 상태가
좋습니다.
 12월   콜리플라워, 산마   귤, 바나나   


출처 : 정윤재의 정리노트
2009/05/16 20:02 2009/05/16 20:02
Posted
Filed under 잡다한정보/정치&사회
오늘 청와대 국민소통비서관실에서 아고라에 이런 글을 올렸다.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003&articleId=2517177

이젠 정말 상대하기도 짜증나지만 이번기회에 자료를 확실히 정리해 놓을 필요성이 있어서 정리해 놓기로 하자.

*이명박 대통령의 재산현황(출처 : 대한민국 전자관보)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보면 알겠지만 다 땅이고 서초-강남에 밀집되어 있다.

다른 도표를 보자.(출처 : 박근혜 선거캠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상세 보유현황은 다음과 같다
전국 7개 시도 85만9천2백43평, 시가 2천3백여억원 추정

<서울> : 총 2천2백81평

-김윤옥(이명박 처) : 강남구 106평 대지
-김재정(이명박 처남) : 강남구 2백89평 대지
-이명박 : 서초구-강남구 1천1백69평 대지
-이상득(이명박 형) : 서초구 4백41평 전
-이상득 : 성북구 2백76평 대지+도로

<경기> 16만7천3백50평

-김재정 : 화성시 1천평 잡종지
-김재정 : 가평군 8백64평 전답
-이상득 : 이천시 1만4천1백60평 임야
-이상득 : 가평군 7백67평 임야
-이지형(이상득 아들) : 이천시 14만5천4백63평 임야-전
-최신자(이상득 처) : 이천시 5천96평 전답

<강원> : 1천2백34평

-김재정 : 고성군 1천2백34평 임야

<경북> : 18만4천4백14평

-김재정 : 군위군 6만2천8백50평 산
-김재정 : 영주시 10만1천1백88평 산
-이상득 : 울진군 5천3백97평 임야
-이상득 : 울진군 1백72평 대지
-이상은(이명박 형) : 포항시 1만1백10평 임야
-이상은 : 경주시 4천6백97평 전답

<대전> : 8백2평

-김재정 : 유성구 8백2평 산

<충북> : 50만1천3백42평

-김재정 : 옥천군 50만1천3백42평

<제주> : 1천8백20평

-이상은 : 서귀포 1펀8백20평 과수원



이것은 한반도 대운하 계획도이다. 아까 분홍색 점의 위치를 잘 기억해 보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9/05/05 11:51 2009/05/05 11:51
dondon

뭐하고사라임마 ....뭐야 ..이명박 ..아직도 욕하냐 ...아놔 ..ㅋ ㅑㅋ ㅑㅋ ㅑ..~~~
힘들하힘들어 ...좀 쉬면서해라 ..ㅋ ㅑㅋ ㅑㅋ ㅑ~~`
근데 뭐하고지내 ....좀 살만하냐 한국은 ...아 ..힘들다 여기도 ..죽겟어 ..ㅋㅋㅋ
근데 ...뭐하고사는데 ..니 블로그는 존내 하믄서 ..내싸이는 안와 ...잡넘 ..ㅋㅋㅋ
좀 안부좀 전하고 .....니 홈피 까묵겟다 ....
암튼 임마 ..힘내고 건강하고 ..지금 뭐하는지 모르겟는데 ...
얌마 좀 하믄 ...연락좀 하믄서 살어임마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암튼 ...경훈 쌍둥이 아부지가 ..좀 놀러오랜다 ..ㅋㅋㅋㅋㅋㅋㅋㅋ
빨랑와임마 ..ㅋㅋ 그럼 ...~~~

오늘날 보자 ..캬 ㅋ ㅑ..~~~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고 ....
힘내임마~@!!!!!!!!!!!!!1

dondon

뭐야 임마 그런일 잇었음 진작연락해야지 ....암튼 어머니 일은 ...내가 뭐라고 해줄말이 없다 ..
앞으로도 ...희망을 잃지 말고 ...임마 ...

그리고 ..동경대 입학은 축하한다 ....조만간 일본함 가야겟는데 ...
내가 보기에는 거기서 학교졸업하고 ...거기서 사는게 좋을듯싶다 ..
한국은 글럿어 ..^^!!! 나중에 잘되면 다시들어가자 ..ㅋㅋ


내가 안부는 전해드릴께 ...그리고 ..사장님 사모님 가게팔고 한국갓는데 ..
내가 연락처를 몰라서 못알켜주겟다 ...^^!!!
그리고 ..케언즈는 일본에서 졸업하면 와 임마 ..나도 거기서 좀 살게 ...
아나도 케언즈 가고싶어죽겟따 ...^^!!

암튼 ..잘지내고 ..힘내고 ...알자나 우리 ...
희망하나가지고 살아가는 ....바퀴벌레보다 ...징그러운거~
앞으로좋은일만있기를 ..자주 안부전해라 ........!!

Posted
Filed under 읽은것들/영상

lazzor music! from hypatia on Vimeo

출처 : http://hacklab.to/archives/another-musical-variation/

이곳에 올라온 댓글을 번역해 보았다.

FAQ가 필요할 것 같아서...:

Q: 뭐여 이건?
A: 레이저 컷팅머신이 연주하고 있음.

Q: 이거 진짜?
A: 진짜.

Q: 진짜로 진짜?
A: 진짜.

Q: 이 기계가 진짜 소릴 내는거냐 아님 걍 노래에 맞춰 움직이는거냐?
A: 지가 소리를 내는거임.

Q: 이게 어떻게 가능?
A: 스텝퍼모터가 특정한 스피드로 움직이면서 음계를 연주함.

Q: 스텝퍼모터가 뭐임?
A: 아주 정확한 스텝으로 움직이는 모터.

Q: 어떻게 컨트롤?
A: G-code로 작동하는, EMC2라고 불리는 CNC 소프트웨어. G-code는 Ruby 코드를 이용해서 내가 만들었는데 여기서 구할 수 있다:
http://github.com/jedediah/lasermuzak/tree/master

Q: 내가 듣고있는게 두 개의 다른 트랙이냐?
A: Yes.

Q: 그럼 따로 녹화해서 겹친거냐?
A: 전혀 편집하지 않았음.

Q: 그럼 모터 한개로 어떻게 두 개 트랙을 연주했냐?
A: 테이블 아래위로 움직이는 모터가 있는데 그게 bass를 담당한다. 왼쪽/오른쪽 모터는 너무 조용해서 쓰지 않았다.

Q: 왜 테이블이 움직이는게 안보이지?
A: 엄청 느리게 움직이거덩 (2000 steps/inch). 여기서 볼 수 있다:
http://vimeo.com/4028427

Q: 혹시 틀린 음표가 들어가있나?
A: 그렇진 않은데 모터가 낼수있는 한계를 넘는 부분은 좀 이상하게 들린다.

Q: 너 혹시 시간이 남아도니?
A: 그렇진 않다.

Q: 너 이거 일하는 시간에 한거냐?
A: 난 백수임.

Q: 레이저는 어디서 났냐?
A: 여기를 읽어봐라:
http://www.andrewkilpatrick.org/blog/?page_id=914

Q: 말소리나 mp3를 연주할 수도 있나?
A: 스텝퍼는 간단한 음악효과를 낼 수 있을 정도인 2.5khz까지만 연주할 수 있다. 보이스코일로 써 볼 순 있겠지만 아마 작동하지 않을거다.

Q: 레이저를 키면 어떻게 될까?
A: 직각으로 짤르겠지.

Q: 누가 또 이런 짓거리를 했니?
A: 꽤 많아.

Q: 그럼 넌 이걸 왜 했니?
A: 기계가 움직이는 소리를 처음 들었을 때 우리는 이걸로 노래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고, 뭐 재미도 있었어.

Q: 다른건 더 없냐?
A: ㅇㅇ.

*젤다


*슈퍼마리오
 

*테트리스


*스캐너로 한 스타워즈 메인테마(볼륨을 높이고 보자)

*테슬라코일로 연주한 슈퍼마리오(...양키들은 왜 이렇게 슈퍼마리오를 좋아하는겨?)
Twin Musical Tesla Coils playing Mario Bros @ Yahoo! Video

2009/05/04 23:23 2009/05/04 23:23
Posted
Filed under 연구

노벨상 딸려면 이정도 연구는 해야한다.


...?!



P.S 사진과 함께 보고싶다면 출처 로 가 보자.

Year

Laureate[A]

Country[B]

Rationale[C]

1901

Wilhelm Conrad Röntgen

Germany

"[for] the discovery of the remarkable rays subsequently named after him"[8]

1902

Hendrik Lorentz

Netherlands

"[for] their researches into the influence of magnetism upon radiation phenomena"[9]

Pieter Zeeman

Netherlands

1903

Antoine Henri Becquerel

France

"[for] his discovery of spontaneous radioactivity"[10]

Pierre Curie

France

"[for] their joint researches on the radiation phenomena discovered by Professor Henri Becquerel"[10]

Marie Curie

France

1904

John William Strutt

United Kingdom

"for his investigations of the densities of the most important gases and for his discovery of argon in connection with these studies"[11]

1905

Philipp Eduard Anton von Lenard

Germany

"for his work on cathode rays"[12]

1906

 

Joseph John Thomson

United Kingdom

"[for] his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the conduction of electricity by gases"[13]

1907

 

Albert Abraham Michelson

United States

"for his optical precision instruments and the spectroscopic and metrological investigations carried out with their aid"[14]

1908

Gabriel Lippmann

France

"for his method of reproducing colours photographically based on the phenomenon of interference"[15]

1909

Guglielmo Marconi

Italy

"[for] their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wireless telegraphy"[16]

 

Karl Ferdinand Braun

Germany

1910

Johannes Diderik van der Waals

Netherlands

"for his work on the equation of state for gases and liquids"[17]

1911

Wilhelm Wien

Germany

"for his discoveries regarding the laws governing the radiation of heat"[18]

1912

Nils Gustaf Dalén

Sweden

"for his invention of automatic valves designe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gas accumulators in lighthouses and buoys"[19]

1913

Heike Kamerlingh-Onnes

Netherlands

"for his investigations on the properties of matter at low temperatures which led, inter alia, to the production of liquid helium"[20]

1914

 

Max von Laue

Germany

"For his discovery of the diffraction of X-rays by crystals"[21]

1915

 

William Henry Bragg

United Kingdom

"For their services in the analysis of crystal structure by means of X-rays"[22]

William Lawrence Bragg

United Kingdom

1916

Not awarded

1917

Charles Glover Barkla

United Kingdom

"For his discovery of the characteristic Röntgen radiation of the elements"[23]

1918

Max Planck

Germany

"[for] the services he rendered to the advancement of Physics by his discovery of energy quanta"[24]

1919

Johannes Stark

Germany

"for his discovery of the Doppler effect in canal rays and the splitting of spectral lines in electric fields"[25]

1920

 

Charles Édouard Guillaume

Switzerland

"[for] the service he has rendered to precision measurements in Physics by his discovery of anomalies in nickel steel alloys"[26]

1921

Albert Einstein

Germany
Switzerland

"for his services to Theoretical Physics, and especially for his discovery of the law of the photoelectric effect"[27]

1922

Niels Bohr

Denmark

"for his services in the investigation of the structure of atoms and of the radiation emanating from them"[28]

1923

Robert Andrews Millikan

United States

"for his work on the elementary charge of electricity and on the photoelectric effect"[29]

1924

 

Manne Siegbahn

Sweden

"for his discoveries and research in the field of X-ray spectroscopy"[30]

1925

James Franck

Germany

"for their discovery of the laws governing the impact of an electron upon an atom"[31]

 

Gustav Hertz

Germany

1926

Jean Baptiste Perrin

France

"for his work on the discontinuous structure of matter, and especially for his discovery of sedimentation equilibrium"[32]

1927

Arthur Holly Compton

United States

"for his discovery of the effect named after him"[33]

Charles Thomson Rees Wilson

United Kingdom

"for his method of making the paths of electrically charged particles visible by condensation of vapour"[33]

1928

Owen Willans Richardson

United Kingdom

"for his work on the thermionic phenomenon and especially for the discovery of the law named after him"[34]

1929

Prince Louis-Victor Pierre Raymond de Broglie

France

"for his discovery of the wave nature of electrons"[35]

1930

 

Chandrasekhara Venkata Raman

India

"for his work on the scattering of light and for the discovery of the effect named after him"[36]

1931

Not awarded

1932

Werner Heisenberg

Germany

"for the creation of quantum mechanics, the application of which has, inter alia, led to the discovery of the allotropic forms of hydrogen"[37]

1933

Erwin Schrödinger

Austria

"for the discovery of new productive forms of atomic theory"[38]

Paul Dirac

United Kingdom

1934

Not awarded

1935

 

James Chadwick

United Kingdom

"for the discovery of the neutron"[39]

1936

Victor Francis Hess

Austria

"for his discovery of cosmic radiation"[40]

Carl David Anderson

United States

"for his discovery of the positron"[40]

1937

 

Clinton Joseph Davisson

United States

"for their experimental discovery of the diffraction of electrons by crystals"[41]

 

George Paget Thomson

United Kingdom

1938

Enrico Fermi

Italy

"for his demonstrations of the existence of new radioactive elements produced by neutron irradiation, and for his related discovery of nuclear reactions brought about by slow neutrons"[42]

1939

Ernest Lawrence

United States

"for the invention and development of the cyclotron and for results obtained with it, especially with regard to artificial radioactive elements"[43]

1940

Not awarded

1941

Not awarded

1942

Not awarded

1943

 

Otto Stern

United States

"for hi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molecular ray method and his discovery of the magnetic moment of the proton"[44]

1944

 

Isidor Isaac Rabi

United States

"for his resonance method for recording the magnetic properties of atomic nuclei"[45]

1945

Wolfgang Pauli

Austria

"for the discovery of the Exclusion Principle, also called the Pauli principle"[46]

1946

 

Percy Williams Bridgman

United States

"for the invention of an apparatus to produce extremely high pressures, and for the discoveries he made there within the field of high pressure physics"[47]

1947

Edward Victor Appleton

United Kingdom

"for his investigations of the physics of the upper atmosphere especially for the discovery of the so-called Appleton layer"[48]

1948

 

Patrick Maynard Stuart Blackett

United Kingdom

"for his development of the Wilson cloud chamber method, and his discoveries therewith in the fields of nuclear physics and cosmic radiation"[49]

1949

Hideki Yukawa

Japan

"for his prediction of the existence of mesons on the basis of theoretical work on nuclear forces"[50]

1950

 

Cecil Frank Powell

United Kingdom

"for his development of the photographic method of studying nuclear processes and his discoveries regarding mesons made with this method"[51]

1951

 

John Douglas Cockcroft

United Kingdom

"for their pioneer work on the transmutation of atomic nuclei by artificially accelerated atomic particles"[52]

 

Ernest Thomas Sinton Walton

Ireland

1952

Felix Bloch

United States

"for their development of new methods for nuclear magnetic precision measurements and discoveries in connection therewith"[53]

 

Edward Mills Purcell

United States

1953

 

Frits Zernike

Netherlands

"for his demonstration of the phase contrast method, especially for his invention of the phase contrast microscope"[54]

1954

 

Max Born

United Kingdom

"for his fundamental research in quantum mechanics, especially for his statistical interpretation of the wavefunction"[55]

 

Walther Bothe

West Germany

"for the coincidence method and his discoveries made therewith"[55]

1955

 

Willis Eugene Lamb

United States

"for his discoveries concerning the fine structure of the hydrogen spectrum"[56]

 

Polykarp Kusch

United States

"for his precision determination of the magnetic moment of the electron"[56]

1956

 

John Bardeen

United States

"for their researches on semiconductors and their discovery of the transistor effect"[57]

 

Walter Houser Brattain

United States

William Bradford Shockley

United States

1957

Tsung-Dao Lee

Republic of China

"for their penetrating investigation of the so-called parity laws which has led to important discoveries regarding the elementary particles"[58]

Chen Ning Yang

Republic of China

1958

 

Pavel Alekseyevich Cherenkov

Soviet Union

"for the discovery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Cherenkov effect"[59]

Il'ya Frank

Soviet Union

Igor Yevgenyevich Tamm

Soviet Union

1959

Owen Chamberlain

United States

"for their discovery of the antiproton"[60]

Emilio Gino Segrè

Italy

1960

Donald Arthur Glaser

United States

"for the invention of the bubble chamber"[61]

1961

 

Robert Hofstadter

United States

"for his pioneering studies of electron scattering in atomic nuclei and for his thereby achieved discoveries concerning the structure of the nucleons"[62]

Rudolf Ludwig Mössbauer

West Germany

"for his researches concerning the resonance absorption of gamma radiation and his discovery in this connection of the effect which bears his name"[62]

1962

 

Lev Davidovich Landau

Soviet Union

"for his pioneering theories for condensed matter, especially liquid helium"[63]

1963

 

Eugene Paul Wigner

United States

"for his contributions to the theory of the atomic nucleus and the elementary particles, particularly through the discovery and application of fundamental symmetry principles"[64]

 

Maria Goeppert-Mayer

United States

"for their discoveries concerning nuclear shell structure"[64]

J. Hans D. Jensen

West Germany

1964

 

Nicolay Gennadiyevich Basov

Soviet Union

"for fundamental work in the field of quantum electronics, which has led to the construction of oscillators and amplifiers based on the maser-laser principle"[65]

Aleksandr Prokhorov

Soviet Union

 

Charles Hard Townes

United States

1965

Richard Phillips Feynman

United States

"for their fundamental work in quantum electrodynamics, with deep-ploughing consequences for the physics of elementary particles"[66]

 

Julian Schwinger

United States

 

Sin-Itiro Tomonaga

Japan

1966

 

Alfred Kastler

France

"for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optical methods for studying Hertzian resonances in atoms"[67]

1967

Hans Albrecht Bethe

United States

"for his contributions to the theory of nuclear reactions, especially his discoveries concerning the energy production in stars"[68]

1968

Luis Walter Alvarez

United States

"for his decisive contributions to elementary particle physics, in particular the discovery of a large number of resonance states, made possible through his development of the technique of using hydrogen bubble chamber and data analysis"[69]

1969

Murray Gell-Mann

United States

"for his contributions and discoveries concerning the classification of elementary particles and their interactions"[70]

1970

 

Hannes Olof Gösta Alfvén

Sweden

"for fundamental work and discoveries in magneto-hydrodynamics with fruitful applications in different parts of plasma physics"[71]

 

Louis Eugène Félix Néel

France

"for fundamental work and discoveries concerning antiferromagnetism and ferrimagnetism which have led to important applications in solid state physics"[71]

1971

 

Dennis Gabor

United Kingdom

"for his invention and development of the holographic method"[72]

1972

 

John Bardeen

United States

"for their jointly developed theory of superconductivity, usually called the BCS-theory"[73]

 

Leon Neil Cooper

United States

 

John Robert Schrieffer

United States

1973

 

Leo Esaki

Japan

"for their experimental discoveries regarding tunneling phenomena in semiconductors and superconductors, respectively"[74]

Ivar Giaever

United States

 

Brian David Josephson

United Kingdom

"for his theoretical predictions of the properties of a supercurrent through a tunnel barrier, in particular those phenomena which are generally known as the Josephson effect"[74]

1974

 

Martin Ryle

United Kingdom

"for their pioneering research in radio astrophysics: Ryle for his observations and inventions, in particular of the aperture synthesis technique, and Hewish for his decisive role in the discovery of pulsars"[75]

Antony Hewish

United Kingdom

1975

 

Aage Niels Bohr

Denmark

"for the discovery of the connection between collective motion and particle motion in atomic nuclei and the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the structure of the atomic nucleus based on this connection"[76]

Ben Roy Mottelson

Denmark

Leo James Rainwater

United States

1976

Burton Richter

United States

"for their pioneering work in the discovery of a heavy elementary particle of a new kind"[77]

Samuel Chao Chung Ting

United States

1977

Philip Warren Anderson

United States

"for their fundamental theoretical investigations of the electronic structure of magnetic and disordered systems"[78]

 

Nevill Francis Mott

United Kingdom

 

John Hasbrouck Van Vleck

United States

1978

 

Pyotr Leonidovich Kapitsa

Soviet Union

"for his basic inventions and discoveries in the area of low-temperature physics"[79]

Arno Allan Penzias

United States

"for their discovery of cosmic microwave background radiation"[79]

 

Robert Woodrow Wilson

United States

1979

Sheldon Lee Glashow

United States

"for their contributions to the theory of the unified weak and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elementary particles, including, inter alia, the prediction of the weak neutral current"[80]

 

Abdus Salam

Pakistan

Steven Weinberg

United States

1980

James Watson Cronin

United States

"for the discovery of violations of fundamental symmetry principles in the decay of neutral K-mesons"[81]

 

Val Logsdon Fitch

United States

1981

 

Nicolaas Bloembergen

United States

"for their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laser spectroscopy"[82]

Arthur Leonard Schawlow

United States

 

Kai Manne Börje Siegbahn

Sweden

"for hi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high-resolution electron spectroscopy"[82]

1982

 

Kenneth G. Wilson

United States

"for his theory for critical phenomena in connection with phase transitions"[83]

1983

 

Subrahmanyan Chandrasekhar

United States

"for his theoretical studies of the physical processes of importance to the structure and evolution of the stars"[84]

 

William Alfred Fowler

United States

"for his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of the nuclear reactions of importance in the formation of the chemical elements in the universe"[84]

1984

Carlo Rubbia

Italy

"for their decisive contributions to the large project, which led to the discovery of the field particles W and Z, communicators of weak interaction"[85]

 

Simon van der Meer

Netherlands

1985

Klaus von Klitzing

West Germany

"for the discovery of the quantized Hall effect"[86]

1986

 

Ernst Ruska

West Germany

"for his fundamental work in electron optics, and for the design of the first electron microscope"[87]

Gerd Binnig

West Germany

"for their design of the scanning tunneling microscope"[87]

Heinrich Rohrer

Switzerland

1987

 

Johannes Georg Bednorz

West Germany

"for their important break-through in the discovery of superconductivity in ceramic materials"[88]

Karl Alexander Müller

Switzerland

1988

Leon Max Lederman

United States

"for the neutrino beam method and the demonstration of the doublet structure of the leptons through the discovery of the muon neutrino"[89]

 

Melvin Schwartz

United States

Jack Steinberger

United States

1989

 

Norman Foster Ramsey

United States

"for the invention of the separated oscillatory fields method and its use in the hydrogen maser and other atomic clocks"[90]

 

Hans Georg Dehmelt

United Stat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ion trap technique"[90]

Wolfgang Paul

West Germany

1990

 

Jerome I. Friedman

United States

"for their pioneering investigations concerning deep inelastic scattering of electrons on protons and bound neutrons, which have been of essential importan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quark model in particle physics"[91]

Henry Way Kendall

United States

Richard E. Taylor

Canada

1991

Pierre-Gilles de Gennes

France

"for discovering that methods developed for studying order phenomena in simple systems can be generalized to more complex forms of matter, in particular to liquid crystals and polymers"[92]

1992

 

Georges Charpak

France

"for his invention and development of particle detectors, in particular the multiwire proportional chamber"[93]

1993

 

Russell Alan Hulse

United States

"for the discovery of a new type of pulsar, a discovery that has opened up new possibilities for the study of gravitation"[94]

 

Joseph Hooton Taylor, Jr.

United States

1994

 

Bertram Brockhouse

Canada

"for the development of neutron spectroscopy" and "for pioneering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neutron scattering techniques for studies of condensed matter"[95]

Clifford Glenwood Shull

United Stat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utron diffraction technique" and "for pioneering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neutron scattering techniques for studies of condensed matter"[95]

1995

Martin Lewis Perl

United States

"for the discovery of the tau lepton" and "for pioneering experimental contributions to lepton physics"[96]

Frederick Reines

United States

"for the detection of the neutrino" and "for pioneering experimental contributions to lepton physics"[96]

1996

 

David Morris Lee

United States

"for their discovery of superfluidity in helium-3"[97]

Douglas D. Osheroff

United States

 

Robert Coleman Richardson

United States

1997

Steven Chu

United States

"for development of methods to cool and trap atoms with laser light"[98]

Claude Cohen-Tannoudji

France

William Daniel Phillips

United States

1998

Robert B. Laughlin

United States

"for their discovery of a new form of quantum fluid with fractionally charged excitations"[99]

Horst Ludwig Störmer

Germany

 

Daniel Chee Tsui

United States

1999

Gerardus 't Hooft

Netherlands

"for elucidating the quantum structure of electroweak interactions in physics"[100]

 

Martinus J. G. Veltman

Netherlands

2000

Zhores Ivanovich Alferov

Russia

"for developing semiconductor heterostructures used in high-speed- and optoelectronics"[101]

 

Herbert Kroemer

Germany

 

Jack St. Clair Kilby

United States

"for his part in the invention of the integrated circuit"[101]

2001

Eric Allin Cornell

United States

"for the achievement of Bose-Einstein condensation in dilute gases of alkali atoms, and for early fundamental studies of the properties of the condensates"[102]

Carl Edwin Wieman

United States

Wolfgang Ketterle

Germany

2002

 

Raymond Davis, Jr.

United States

"for pioneering contributions to astrophysics, in particular for the detection of cosmic neutrinos"[103]

Masatoshi Koshiba

Japan

Riccardo Giacconi

United States

"for pioneering contributions to astrophysics, which have led to the discovery of cosmic X-ray sources"[103]

2003

Alexei Alexeyevich Abrikosov

Russia
United States

"for pioneering contributions to the theory of superconductors and superfluids"[104]

 

Vitaly Lazarevich Ginzburg

Russia

Anthony James Leggett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2004

David J. Gross

United States

"for the discovery of asymptotic freedom in the theory of the strong interaction"[105]

 

H. David Politzer

United States

Frank Wilczek

United States

2005

Roy J. Glauber

United States

"for his contribution to the quantum theory of optical coherence"[106]

 

John L. Hall

United States

"for their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laser-based precision spectroscopy, including the optical frequency comb technique"[106]

Theodor W. Hänsch

Germany

2006

John C. Mather

United States

"for their discovery of the blackbody form and anisotropy of the cosmic microwave background radiation"[107]

George F. Smoot

United States

2007

Albert Fert

France

"for the discovery of giant magnetoresistance"[108]

Peter Grünberg

Germany

2008

Makoto Kobayashi

Japan

"for the discovery of the origin of the broken symmetry which predicts the existence of at least three families of quarks in nature"[109]

Toshihide Maskawa

Japan

Yoichiro Nambu

United States

"for the discovery of the mechanism of spontaneous broken symmetry in subatomic physics"[109]

2009/05/04 22:43 2009/05/04 22:43
Posted
Filed under 기기&Item
Bass를 너무 크게잡지 않고 보컬이랑 배경음이 최대한 깨끗하게 들리도록 해 봤다. 그래도 T2음질이 역시 뛰어나지는 않구나...

50Hz 0
200Hz 4
1kHz -1
3kHz 10
14kHz 9
   
BBE 4
Mach3Bass 6
MP Enhance ON
3D Surround 3

2009/05/01 13:31 2009/05/01 1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