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라거
오늘은 공부도 안되고 해서 때려치고 맥주나 먹어야겠다 해서 편의점에 들렀다.

일단은 이전부터 마시려고 생각하고 있었던 아키라쿠. 가을 한정으로 나오는건데 색이 붉고 향도 짙어서 가을을 마신다는 느낌을 들게 해 준다. 발포주인만큼 맛에 그다지 무게감은 없지만 향으로 맛이 커버되고 있는 신기한 제품.

http://www.suntory.co.jp/beer/akiraku/index.html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게 뭔가를 테마로 걸고 나온 제품이 실제 그걸 느끼게 할 정도로 뽑은 녀석은 에비스 ASUKA CRUISE 이후 처음인듯.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맛 자체는 별거 없지만 마치 바다를 가르며 나아가는 크루즈 위에 있는 듯한 상쾌함을 주는 녀석.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저번주에 마셨던 기린의 가을한정생산 맥주 아키아지가 그리 인상적이지 못했기 때문에 아키라쿠도 사실 별로 기대는 안했는데 생각보다 괜찮았다. 사서 쟁여두어야 할 정도는 아니지만 발매되었을 때 집어들면 손해는 없다.

http://www.kirin.co.jp/brands/akiaji/index.html

오늘 마신 또 하나는 아사히의 The Master. 이건 이전에 마셨을 때 맛있었다는 이미지가 안 남아있었는데 모 사이트에 갔더니 1위에 링크되어있는것이 도무지 이해가 안 되서 내가 잘못 알았나 해서 다시 한 번 도전해봤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얼래? 상당히 괜찮다. 월드 비어 챔피언쉽 2009에서 Pilsner 부문 금메달을 수상했다고 하는데 이전에는 못 느꼈던 맛이 확실히 느껴진다. 초장기숙성만큼 묵직한 감은 없지만 적절한 무게는 가지고 있으면서 나름대로 부드럽고 향도 맛을 해칠만큼 진하지 않으면서도 나름의 개성을 유지하고 있다. 잔에 따랐을 때 일반 맥주랑 똑같은 색깔이라 별로 기대 안했는데 괜찮았음. 이것저것 마시다 보니 맥주보는 눈도 늘어난 건지... 아무래도 초장기숙성보다 저평가 했던 산토리의 프리미엄 몰츠도 다시 한번 마셔봐야 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아사히도 열심히 하면 되잖아!

http://www.asahibeer.co.jp/the_master/

다음으로 내가 노리고 있는건 에비스가 120주년 기념으로 발매하는 타쿠미 에비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터넷응모에 당첨된 사람만 마실 수 있는 비매품으로 호평이 대단하다. 양조기술자가 효모와 대화하면서 만들었다고 한다...
http://www.sapporobeer.jp/yebisu/takumiyebisucp/index.html

뭐 잘 모르겠지만, 그래도 어느정도 수량은 풀리지 않을까 하며 기대중. 안 풀리면 미워할꺼야~
2010/09/04 00:14 2010/09/04 00:14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기타정보
아사히 맥주가 소개하는 맥주 제조공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좀 더 자세한 설명은 아래를 참조

맥주 제조 공정 19단계 - 3줄 요약 첨부



맥주는 BC4000년 경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부터 만들어졌다고 한다. 보리를 건조하여 분쇄하고 그것으로 빵을 구워 낸 뒤 그 빵을 부수고 물을 가하여 자연발효 시켜 맥주를 만들어내었다고.


맥주는 크게 라거(Lager)와 에일(Ale) 두 종류로 구분하는데 분류 기준은 발효에 사용되는 효모와 발효시의 온도이다.

라거 : 발효 과정 중 밑으로 가라앉는 성격을 가진 하면발효 효모를 사용해 저온(약 7~15도)에서 만든 맥주
에일 : 전통적인 양조 방식으로 제조한 것으로 발효 과정 중 위로 떠오르는 성격을 가진 상면발효 효모를 사용해 실내온도(약 18~25도)에서 만든 맥주
http://user.chollian.net/~seagull4/beer.htm#jong


처음에는 모든 맥주를 에일 방식으로 만들었지만 15세기에 들어서 양조업자들이 여름에도 먹고살기위해 저온에서 발효하는 법을 개발하다가 라거방식이 생겼다고 한다.
http://www.bosa.co.kr/umap/reporterstory_view.asp?board_pk=21776&page=2&what_board=49

라거와 에일의 좀 더 자세한 설명은 여기를 참조

현시대의 맥주 라거(Lager)


에일(Ale)? 에일이 대체 뭐지?


라거는 Pale과 Dark 두 가지로 다시 분류되며 그 분류에 따른 여러가지 라거가 존재한다

Pale lager (Pilsner, Helles, Dortmunder Export)
Dark lager (Bock, Dunkels, Schwarzbiers, Märzen, Baltic porters)
http://en.wikipedia.org/wiki/Lager

이 곳을 참조하는 것도 좋을 듯.

[라거] 라거의 종류



에일의 경우 워낙 커스텀이 많아 분류가 좀 복잡하다. 기준이 다른 경우도 있고... 여기서는 위 블로그에 소개된 내용을 인용하기로 한다. 물론 위키를 참조해도 된다. 어차피 종류가 너무 많아 다 안다는 건 힘드므로 좋아하는 종류 몇개 정도만 기억하고 있으면 될 것 같다.

에일은 상면발효하는 맥주들로, 그 종류에는 '벨기에 에일', '영국(아일랜드) 에일', '독일식 밀맥주(바이스비어)', '미국의 실험적 양조가들이 만들어낸 독특한 에일들 (ex. 호박(펌킨)에일, 크림에일 등등), 그리고 독일의 알트(alt) & 쾰른 쾰슈비어 등이 있습니다. 여기서 '영국(아일랜드) 에일' 과 '벨기에 에일' 은 또 여러가지 종류로 나뉘어지는데.. 영국에일에는 비터, 골든에일, 포터, 스타우트, 올드에일, 발리와인, IPA(인디안 페일에일), 스코티쉬 에일, 브라운 에일등등이 있고, '벨기에 에일' 에는 트라피스트, 애비 에일, 블론드 에일, 람빅, 세송, 벨지안 화이트등이 있습니다. 좀 더 세부적인 정보는 이기중님의 도서 '유럽맥주 견문록' 나, 아니면 제 블로그에 소개되는 영국 & 벨기에에일을 관심있게 읽으시면 이해하기 쉬울겁니다.


가끔씩 드라이 혹은 아이스 라는 이름이 붙은 맥주가 있는데 그 정의는 다음과 같다.

드라이 맥주는 단맛이 적고 담백한 맛을 내는 맥주로서 일반맥주와 달리 당분을 분해하는 능력이 강한 효모를 쓰거나 제조공정을 조작하여 맥주에 남아 있는 당을 최소화한 맥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89년에 처음 시판되었다. 슈퍼드라이는 단맛을 거의 완전히 제거한 맥주로 일반 맥주에 비해 알코올 도수가 1도 가량 높다고 한다.


디허스크 맥주는 맥아의 껍질을 벗기는 공정을 한 번 더 거친 맥주로서 맥아껍질에 있는 탄닌이나 에구미 등 쓴맛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제거했기 때문에 맛이 깨끗한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92년에 처음 선을 보였다.


아이스 맥주는 갖가지 잡미를 제거한 순수한 맛이 특징이다. 이 맛을 내기 위해서 숙성의 마지막 단계에서 맥주를 영하 3-5도의 탱크에서 3일 정도 더 숙성시켜 맥주맛을 거칠게 하는 탄닌과 프로타인 등의 잡미를 내는 성분을 살얼음과 함께 걷어내는 양조법을 사용한다.

http://www.kalia.or.kr/drink/k_drink_04.html?b_cata_sub_idx=5&b_idx=56

모 대학 학생들이 작성한 PPT파일. 참조해도 좋을 듯.

http://cafe.tongwon.ac.kr/home/down/cafe_down_file.html?code=hotel1&tb=5&id=367&get_name=_B8_C6_C1_D6-_C7_D0_BB_FD_BF_EB.ppt

2010/08/29 12:58 2010/08/29 12:58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흑맥주
キリン 一番搾り スタウト : 대실망. 알콜이 전혀 조화되고 있지 않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サッポロ エビス ザ ブラック : 그럭저럭 스타우트라는 느낌은 든다. 맛도 진하고 향도 진하기 때문에 이것만 놓고 보면 그런대로 괜찮은 수준이긴 하지만 기네스에 비하면 부드러움이 좀 떨어지기 때문에 평가는 중.
사용자 삽입 이미지
GUINNESS DRAUGHT : 훌륭하다. 향도 좋고 엄청나게 진하며 거품이 매우 미세하다. 질소가 충전된 위젯 볼이라는걸 넣어서 언제나 제대로 된 거품을 만끽할 수 있게 해 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GUINNESS EXTRA STOUT : 기네스라는 이름을 부끄럽지 않게 하는 괜찮은 물건. 에비스 블랙보다 조금은 더 위에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サントリー ザ プレミアム モルツ 黒 :  몰랐는데, 돌아다니다보니 프리미엄 몰츠도 흑맥주가 있단다. 한정생산이라 현재 단품구입은 불가능하고 프리미엄 몰츠 셋트를 사면 1/3은 흑맥주 구성이 된다고 한다. 아무래도 이걸 살 수밖에 없을 듯... 벌써 재고가 없으니 살거면 빨리 사야될 것 같다.
http://catalog.rakuten.co.jp/rms/sd/catalog/item/sv0tid059r0593000025666/
사용자 삽입 이미지
アサヒ黒生 : 아사히도 흑맥주가 있다. 다만 솔직히 말해서 아사히는 슈퍼드라이같이 무난한 맥주는 그럭저럭 만들어도 진짜 맛을 추구하는 맛있는 맥주는 만들지 못하는 것 같다. 굳이 찾아서 마실것 까진 없고 지나다니다 눈에 띄면 한번 사봐야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0/08/29 00:33 2010/08/29 00:33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라거
일본와서 생긴 즐거움의 하나는 여러가지 종류의 맥주를 맛볼 수 있다는 것인데 그 중에서도 내가 맛있다고 느끼는 것이 에비스의 초장기숙성이라는 녀석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렇게 생겼다...

나는 거의 매주 돈키호테에 가서 새로운 맥주가 나오면 사와서 맛을 보는데 이전에는 못 보던 새로운 녀석이 있길래 집어온 이 초장기숙성. 에비스 120주년기념으로 발매했다고.

에비스의 맥주가 원래 다른 회사 맥주들보다 오래 숙성을 시키는데 이 초장기숙성은 그거의 두배를 숙성시켰다고 한다. 정확히는 여기를 참조하면 좋을 듯.

맛은, 상당하다. 발포주야 그렇다 쳐도 왠만큼 가격이 나가는 맥주에서조차도 가끔씩 느껴지는 보리와 알콜의 부조화가 이녀석에서는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뭐랄까... 보리물이랑 알콜이 따로따로 느껴진다는 느낌이 보통 맥주에서는 일반적인데 여기에서는 그런 느낌이 전혀 없이 서로가 완벽하게 섞여있다. 알콜 농도가 6%나 됨에도 불구하고 이정도로 완벽한 하모니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 놀라울 뿐. 완벽한 소맥의 맛을 자랑하는 카스레드가 7%였던가 아마...

향도 상당히 진하고 깊은데다 전체적으로 상당한 중량감이 느껴진다.

다만 숙성을 오래시켜서 그런건지 어쩐건지 몰라도 매년 한정된 수량만을 낸다. 2004년부터 매년 발매하고 있는데 금년은 30만 박스.

언제 떨어질지 몰라 박스로 사 버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내 낙은 이런것밖에 없다...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beeradvocate.com/beer/profile/284/22620

*에비스 초장기숙성 구입하기
http://www.coneco.net/PriceList.asp?COM_ID=1090501121

*에비스 초장기숙성 공식 홈페이지
http://www.sapporobeer.jp/product/yebisu/jyukusei/
2010/07/31 13:27 2010/07/31 13:27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기타정보
アサヒビール茨城工場
http://www.asahibeer.co.jp/factory/brewery/ibaraki/index.html
http://www.asahibeer.co.jp/restaurant/azuma/

キリン横浜ビアビレッジ
http://www.kirin.co.jp/about/brewery/factory/yokohama/index.html

ヱビスビール記念館
http://www.sapporobeer.jp/brewery/y_museum/

サッポロビール千葉工場
http://www.sapporobeer.jp/brewery/chiba/index.html

サントリー武蔵野ビール工場
http://www.suntory.co.jp/factory/musashino/inspection/index.html
2010/07/19 01:22 2010/07/19 01:22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기타정보
나는 소주보단 맥주를 많이 마시는 편이다. 한국에 있을때는 하이트의 하이트 프리미엄이랑 맥스를 맛있게 마시고는 했는데 이상하게 인터넷에서 하이트 프리미엄의 사진을 찾으려니 보이질 않는다. 녹색 라벨이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동네 한정이었던건가-_-?
(지금보니 하이트 프리미엄이 아니라 하이트 프라임이었다. 하이트 프라임은 현재 프라임 맥스로 대체되어 더이상 생산되지 않음)

하여튼, 맥주를 마셨던 건 맥주를 즐기자, 도 있었지만 아무래도 소주는 좀 무거워서 다음날 영향을 미치는데 어쨌든 알콜은 섭취하고 싶고해서 그냥 맥주라도 마시자. 는 기분으로 마셨기 때문에 굳이 메이커에 따른 맛 비교를 하면서 먹지는 않았다. 딱 먹어보면 혀를 휘감아도는 맥아의 부드러움 이런게 아니라 이건 김이 빠졌구나... 뭐 이런정도였다.

일본에 와서도 그런 습관은 여전해서 맥주 대신 발포주를 마시고 있다. 발포주란 発泡酒 라고 쓰며 핫뽀슈라고 읽는데 발포주는 주원료인 맥아가 25%미만인 술이다. (맥주가 되려면 맥아가 67%이상 되어야 한다)

일본 주세법에 따르면 맥아사용 비율에 따라 세금이 달라지는데

50%~         :㎘당 222,000엔
25%~50%   :㎘당 152,700엔
~25%         :㎘당 105,000엔

이므로 세금을 줄이기 위해 맥아를 25% 미만으로 묶고 대맥이나 소맥같은 다른 원료를 넣어서 맛을 낸 것이 발포주이다. 일반적으로 350㎖ 맥주 한캔이 250엔 부근에서 형성되어 있는데 반해 발포주는 100엔 언저리에서 가격이 형성되어 가벼운 마음으로 집어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간단하게 말해 맛을 음미할 거 없이 부담없는 가격으로 마실 수 있는 맥주라는 말이다.

그래서 작년에 일본 온 이후로도 계속 발포주만 마셨다. 심심하니까 종류도 계속 바꿔가면서 마셔봤다.
산토리의 金麦, 삿뽀로의 麦とホップ 같은건 먹을만 하긴 했는데 뭐 그렇게 맛있다는 느낌이 특별히 들진 않았다.

그런데 이번에 에비스 맥주기념관에 갈 일이 있어서 에비스 크리미 탑 이라는 스타우트를 마셔봤는데 우선 거품부터해서 확실히 발포주랑은 넘을 수 없는 차이가 느껴지더라. 마시면서 기네스를 떠올린다는 사람들도 있길래 검색해 봤더니 기네스랑 계약이 끝나서 자체 제작한 스타우트 제품이라고 한다.

어쨌든,

솔직히 아사히 슈퍼드라이는 목넘김이 너무 부드러워서 먹고난 뒤 목이 따가워지는 걸 즐기는 나로서는 오히려 목넘김이 부드럽지 않은 발포주를 더 잘 마셨었는데 진짜로 나한테 맞는 맛있는 맥주를 먹고나니 이제부터는 좀 맛있는 맥주도 같이 먹어줘야겠다는 생각이 들더라.

오늘 포스팅한거는 이말 할려고 한거나 마찬가지임.


*맥주 가격비교 사이트
http://www.coneco.net/SpecList/05011010/

*맥주 시음기 올리는 곳
http://beernomikurabe.seesaa.net/


이건 한번 읽어보자
http://bbs.ecnavi.jp/cat_336/thread_3302/
2010/03/25 11:52 2010/03/25 1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