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에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처음 마셔보는 람빅. 람빅은 맥주효모를 인위적으로 넣어 양조하는 일반 맥주와 달리 공중에 떠 다니는 야생효모를 잡아 원료로 사용하는 독특한 맥주이다. 람빅이라는 이름은 벨기에 브뤼셀 근처에 있는 램비크에서 유래되었으며 람빅이라는 명칭은 브뤼셀에서 만들어지는 람빅에 한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곳에서 만들어지는 람빅은 람빅 스타일이라고밖에 사용할 수 없다. 마치 필스너를 못써서 필스라는 명칭을 쓰는 것과 비슷한 경우.
람빅에도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오늘 마신 것은 람빅의 기본이 되는 괴즈(Geuze) 스타일. 괴즈는 만든지 얼마 안된 미숙성 람빅과 숙성된 람빅을 섞어 병속에서 다시 발효시키는 스타일로 보통 7:3 정도의 비율을 유지한다고 한다.
야생효모를 이용하므로 숙성이 오래걸리는데 좋은 람빅은 세번의 여름을 거친다고 하며 숙성이 오래 될 수록 특유의 신 맛이 더욱 진해진다고 한다. 오늘의 괴즈는 2007-2008 시즌 생산품.

맥아함유율이 54.1%로 낮으며 남는 부분을 밀이 점유하고 있는데 밀맥주는 아니지만 효모와 함께 뿌연 색감을 만들어낸다.

코르크 마개를 따자마자 와락 풍겨나오는 새콤한 과일향. 스파클링 와인을 떠올르게 하는 경쾌한 탄산의 소리와 잔 바닥에서부터 끝없이 올라오는 풍부한 기포. 거품은 조밀하지 않지만 아주 점도있게 말려올라온다.

일단 입에 대면 우선 강렬한 신 맛이 과일향과 함께 몰려오는데 맛이 화이트 와인에 상당히 닮아있다. 일단 신 맛에 놀란 혀가 어느정도 익숙해지고 나면 진짜 람빅의 세계가 시작된다. 람빅은 신맛이 강한 것도 있지만 맛과 향이 아주 오묘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적은 양씩 한모금 단위로 마셔야 제대로 음미할 수 있다. 맥주가 자유롭게 입속에서 뛰어놀고 나면 단맛이 입안을 닦아준 뒤 향긋한 향과 함께 깨끗하게 사라지며 마무리된다. 알콜 7%지만 알콜은 거의 인식되지 않는 아주아주 재밌는 맥주. 모르는 사람한테 커스터마이즈 된(부연 색 때문에) 스파클링 화이트 와인이라고 하면 일단 믿을 정도로 맥주라고 믿어지지 않는 맛. 맛이 전형적이지 않은 트라피스트 맥주는 명함도 못내밀 정도로 특이하다.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beeradvocate.com/beer/profile/47/13159
http://www.ratebeer.com/beer/boon-oude-geuze/4631/

*괴즈 분 홈페이지
http://www.boon.be/?c=/bieren/oudegeuzeboon/&l=nl
*괴즈 위키
http://en.wikipedia.org/wiki/Gueuze
2011/05/18 00:03 2011/05/18 00:03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기타정보
심심해서 레이트비어에서 놀다가 Best Beers of Japan 2011 이라는 항목이 있어서

http://www.ratebeer.com/RateBeerBest/table_2011.asp?title=Best+Beers+of+Japan+2011&file=japan_beer_2011.csv

들어가 봤더니 내가 상당히 맛있게 마셨던 도쿄블랙조차 9위에 랭크되어 있고 처음 들어보는 키우치양조랑 베어드 비어라는 곳이 골드를 독점하고 있더라.

*키우치양조
http://kodawari.cc/

*베어드 비어
http://bairdbeer.com/

그럼 어떻게 한다? 구입해야지!

*맥주 구입은 굿비어
http://www.rakuten.ne.jp/gold/goodbeer/
2011/05/17 20:28 2011/05/17 20:28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IPA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방맥주회사에서 IPA도 만들고... 일본은 아시아에서는 정말 양조문화가 발달한 나라라는 걸 실감한다.

병을 따면 향긋한 곡물의 향이 밀려올라온다. 거품은 거친것 같으면서도 조밀하게 쌓이며 부드러운 편. 효모가 남아있어 뿌연 기미를 띤 적당히 진한 호박색.

장르는 IPA이지만 본격 IPA는 아니고 마시기 쉽게 쓴 맛을 커트하고 단만을 강조했다. 쓴 맛은 처음 입에 댄순간 살짝 느껴지고 단맛에 밀려서 서서히 스러진다. 끝맛으로는 쓴맛이 아니라 단맛이 남지만 처음 입속에서 느껴지는 쓴 맛으로 아, IPA이긴 하구나 하는 걸 알 수는 있다. IPA치고는 6%로 높지 않은 알콜 도수. 실제 느낌도 가벼운 편이다. 요즘 나오는 IPA는 오리지널보다 많이 약해졌다고 하는데 이게 그런 부류중의 하나인 것 같다. 입문용으로는 괜찮을지도 모르겠다. 이건 이것 나름대로 재미있는 맥주. 본격 IPA는 발상지인 영국보다도 오히려 미국쪽이 더 낫다고 하는 듯.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www.ratebeer.com/beer/minamishinshu-ipa/88117/

*미나미신슈 비어 홈페이지
http://www.ms-beer.co.jp/index.html
2011/05/15 22:14 2011/05/15 22:14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에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치 와인을 떠올리게 하는 짙은 포도향이 코를 자극한다. 거품은 거칠고 빨리 없어지는 편인데다 촉감도 부드럽진 않은데 이 맥주는 거품을 즐기는 맥주는 아니다. 거품을 헤치고 맥주가 입 속으로 들어가자마자 골을 흔들 정도로 풍부하게 퍼져나가는 포도향 아로마. 거기에 탄산이 거의 없고 도수가 높아 시종일관 와인을 마시고 있다는 느낌을 들게 한다. 엄청난 양의 효모가 그대로 살아 맥주속을 자유롭게 떠돌아다니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며 9%에 이르는 높은 알콜은 마시는 순간 크~ 하는 한숨을 내뱉게 한다.

트라피스트 맥주는 내가 선호하는 타입의 맥주는 아니지만 쉬메이 블루는 어쨌든 트라피스트 맥주로서는 완벽하다.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beeradvocate.com/beer/profile/215/2512
http://www.ratebeer.com/beer/chimay-bleue-blue--grande-reserve/53/

*쉬메이 블루
http://www.chimay.com/en/chimay-bleue.html?IDD=130&IDC=287

*쉬메이 브루어리 위키
http://en.wikipedia.org/wiki/Chimay_Brewery
2011/05/14 22:21 2011/05/14 22:21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IPA
사용자 삽입 이미지

베어 리퍼블릭 브루어리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마이크로 브루어리로, 위키피디아에는 실려있지 않더라. 비어 어드보케이트에서는 상당히 높은 A-의 평가를 받고 있다.

학교 근처에 있는 펍에 호밀 맥주가 나왔다고 해서 가봤더니 있던게 바로 이 홉 랏 라이로, 호밀이 18% 들어가 있다고 한다. 이전에 마셨던 호밀맥주 (모리오카산 맥주 베어렌 Rye)가 상당히 맛있었기 때문에 이 호밀맥주는 어떤 맛일까 하고 집어들었다.

색은 검정색이 가미된 짙은 앰버색. 거품은, 생맥버프를 받은것도 있지만 매우 부드럽다. 마치 크림을 마시는 느낌으로 크리미 탑에 꿀리지 않을 정도로 부드럽다.
열대과일을 떠올리게 하는 상콤한 향이 인상적으로 크게 퍼지지는 않지만 잔 주위에서 은은하게 감돌며 입에 머금는 순간 입 속에서 화사하게 피어난다. 종류는 IPA로 알콜이 8%나 되는데 촉감이 극히 부드럽고 향도 좋고 맛도 좋아 3/4 이상 마실 때까지 알콜 자체는 크게 느껴지지 않지만 다 마실때쯤 살짝 취기가 올라오는거 보면 확실히 8%급이긴 하다. 입에 착 달라붙을 정도로 바디감도 있다.
IPA답게 뒷맛으로 오는 쓴 맛이 인상적인데 향이 화사해서 쓴 맛도 덩달아 화사하게 느껴지며 여운이 길게 남는다. 아주 잘 만든 작품. 다만 역시 IPA이기 때문에 내가 추천하는 맥주 포스팅엔 올리기가 좀 그렇군... 차라리 맛있는 IPA 항목을 만들어야겠다.

다만 한가지 단점을 꼽자면 개인적으로는 호밀맥주를 기대한 거였는데 호밀의 느낌은 거의 없다는 점. 뭐 실제 함량은 18%로 그리 높지 않기 때문에 이건 단점이라고 하긴 좀 그럴수도 있겠다.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ratebeer 100점의 위엄.
http://beeradvocate.com/beer/profile/610/3158
http://www.ratebeer.com/beer/bear-republic-hop-rod-rye-ale/8048/

*홉 랏 라이
http://www.bearrepublic.com/ourbeers.php

*베어 리퍼블릭의 제품은 다음 사이트에서 구입가능
http://item.rakuten.co.jp/goodbeer/c/0000000205/
2011/05/14 21:46 2011/05/14 21:46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흑맥주
일본에는 그냥 슈퍼에서도 에일 맥주를 파는데 그중 유명한 것 중에 요나요나 에일 이라는 게 있다. 도쿄 블랙은 이걸 만드는 야호 브류잉이라는 곳에서 생산하는 흑맥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단 색이 끝내준다. 먹물을 풀어놓은듯이 완벽한 검정색으로 잔이 칠흑같이 물든다.
한입 입에 가져가면, 블랙 커피를 마시고 있는게 아닌가 착각할 정도로 진한 맛이 혀를 감아돈다. 맥주가 아주 신선해서 쓴 맛과 향이 아주 강렬하게 살아있기 때문에 굳이 비교하자면 아메리카노라기보단 농축시킨 에스프레소라는 느낌조차 들 정도다.

거품 입자는 거칠지만 조밀하게 쌓이며 촉감도 부드럽다. 단맛은 아주 깊숙한 곳까지 커트해버려서 쓴맛이 더더욱 강렬하게 느껴지면서도 상당히 부드럽다. 알콜은 5%인데 분해도 잘 되어있는데다 쓴 맛이 강해서 크게 느껴지지는 않지만 밸런스가 탄탄하게 잡혀 있다. 어른의 흑맥주. 마셔두면 손해는 없다.

영국에일의 한 종류인 포터로, 포터는 옛날에 짐꾼들이 즐겨 마시던 맥주였는데 이거에서 쓴 맛을 더 강하게 한 것이 스타우트 되겠다. 현재는 포터랑 스타우트는 거의 구별하지 않는다.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beeradvocate.com/beer/profile/3553/27506
http://www.ratebeer.com/beer/yo-ho-tokyo-black-porter/62785/

*라쿠텐에 입점한 야호 브류잉의 도쿄 블랙 판매페이지
http://item.rakuten.co.jp/yonayona/c/0000000121
2011/05/12 23:20 2011/05/12 23:20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라거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현재 일본 메이저 맥주시장의 프리미엄급 판매를 휩쓸고 있는 산토리의 효자종목 더 프리미엄 몰츠. 산토리는 원래 자기들이 팔던 위스키 이름이었는데 이걸 회사명으로 가져다 쓴 것으로, 창업자 토리이 신지로씨의 토리에다가 태양을 의미하는 SUN을 앞에다 붙인 것이다. SUNTORY면 우리나라식으로 따지면 선토리여야 할것 같은데 일본은 SUN을 산이라고 읽기 때문에 정확한 발음은 산토리이다.

1989년엔 몰츠 슈퍼 프리미엄이라는 이름으로 한정판매만 하던 물건이었는데 2001년부터 일반판매를 시작한 뒤, 2003년에 더 프리미엄 몰츠로 이름을 변경했다. 타입은 German Pilsener.

아로마 홉을 사용했는데 향이 넓게 퍼지는 편은 아니지만 어쨌든 일반 호프집 맥주와는 비교할 수 없는 고급스러운 향. 색은 맑은 황금색으로 전형적인 필스너의 색상이며 거품이 조밀하게 쌓인다. 천연수의 효과일까, 입안에서의 감촉은 맥주분자가 전체적으로 잘 정렬되어 있다는 느낌을 주며 향으로는 잘 알수 없는 아로마 홉은 입속에서는 풍부하게 느껴진다. 끝마무리로 입 전체를 훓고 올라오는 맥아의 고소한 향도 인상적. 일반 맥주에 들어가는 맥아의 1.2배, 홉은 2배의 양을 사용했다고 하니 전체적으로 감도가 진해지는 것도 이해할 만 하다.
숙성을 오래시킨 덕분인지 알콜이 5.5%인데도 불구하고 거의 느낄 수 없을 정도로 잘 분해되어 있는데다 신맛도 완벽하게 제거되어 있으며 아로마 홉의 향이 술을 마시고 있다는 기분을 완화시켜줘서 술술 넘어가는 문제가 있다. 필스너 우르켈급 맥주에 대항할 수 있을 정도로 잘 만든 일본식 필스너.

우리나라에서는 OB의 자회사인 한국스페셜티맥주라는 곳에서 정식수입을 한다.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DC14&newsid=01574406593195568&DCD=A00204&OutLnkChk=Y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beeradvocate.com/beer/profile/865/8128
http://www.ratebeer.com/beer/suntory-premium-malts/15747/

*더 프리미엄 몰츠 공식 홈페이지
http://www.suntory.co.jp/beer/premium/

*위키 페이지
http://ja.wikipedia.org/wiki/%E3%82%B6%E3%83%BB%E3%83%97%E3%83%AC%E3%83%9F%E3%82%A2%E3%83%A0%E3%83%BB%E3%83%A2%E3%83%AB%E3%83%84

*프리미엄몰츠 생맥 마실수 있는 곳 (일본)
http://gsearch.gnavi.co.jp/freeword/search.php?area=110&type=032&company=%E6%A0%AA%E5%BC%8F%E4%BC%9A%E7%A4%BE%E3%81%90%E3%82%8B%E3%81%AA%E3%81%B3&key=%E3%83%97%E3%83%AC%E3%83%9F%E3%82%A2%E3%83%A0%E3%83%A2%E3%83%AB%E3%83%84
2011/05/10 23:29 2011/05/10 23:29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라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외팅거 브루어리는 무려 1333년에 세워진 양조장이라고 한다.

Imperial Pilsner 혹은 Strong Pale Lager로 분류된다. 임페리얼 필스너는 일반 필스너보다 몰트맛과 쓴 맛이 강한 스타일이라고 한다. 같은 임페리얼 필스너로 The Boston Beer Company 「Samuel Adams」 가 있다.

골든 에일을 떠올리게 하는 밝은 황금빛. 거품은 조밀하게 쌓이는 편으로 입에 닿을때의 촉감도 부드러운 편. 향은 파인애플에 닮은 달콤한 향. 도수는 8.5%로 높은 편인데 그런것 치고는 단맛이 강해서 그리 부담스럽게 느껴지진 않는다. 이걸 위해서 설탕을 넣은건지도 모르겠다. 이상한 건 다른데서는 다 8.9%로 리뷰를 하고 있는데 어째서인지 내가 구입한 건 8.5%짜리다...

다만 알콜이 깔끔하게 녹아들어가 있지는 않기 때문에 어느정도 준비는 하고 마시는게 놀라지는 않을 듯. 알콜 도수가 높은 것 치고는 바디감이 부족해서 만약 향이 안받쳐주었을 경우 소맥이 되어버렸을 가능성이 있었지만 어느정도 밸런스는 잡고 있다,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www.ratebeer.com/beer/oettinger-super-forte/60058/

*외팅거 홈페이지
http://www.oettinger-bier.de/w3c/w3cFrame.html

*외팅어 위키
http://en.wikipedia.org/wiki/Oettinger_Beer
2011/05/09 23:58 2011/05/09 23:58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흑맥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신슈(信州)는 현재 나가노현의 옛날 지명이다. 나가노현 고마가타케라는 곳에서 만들어지는 지방맥주.
둥켈바이첸으로 분류되어 있는데 일단 따면 구운 맥아의 고소한 향이 전체 향을 압도하고 있으며 색은 마치 슈발츠를 떠올리게 하는 짙은 흑색. 맛에서도 바이첸의 향긋함과 부드러움은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굳이 비율을 따지자면 90대 10 정도. 아주 희미하게 밀맥주의 느낌이 나긴 하지만 둥켈바이첸이라 붙이기는 좀 힘들듯. 거품은 거친편이며 향이 전체적으로 풍부하지는 않은 편. 알콜은 6%인데 체감은 조금 더 높게 느껴진다. 분류는 흑맥주로 하기로 한다.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www.ratebeer.com/beer/minamishinshu-dunkel-weizen/74749/

*미나미신슈 비어 홈페이지
http://www.ms-beer.co.jp/index.html
2011/05/08 19:54 2011/05/08 19:54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IPA
사용자 삽입 이미지

미국 오레곤주에서 양조되는 세가지 몰트와 세가지 홉을 사용한 IPA. 생맥인만큼 거품은 상당히 조밀하다. 앰버 맥주를 닮은 붉은색으로 향긋하면서도 상쾌한 홉의 향이 풍부하게 올라오며 그 향이 맛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IPA인만큼 쓴 맛도 맛의 상당 부분을 점유하고 있는데 자유롭게 뛰어 노는 향긋한 맛을 정리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당히 복잡한 맛을 가지면서도 입속에서 부드럽게 넘어가는 맛이 일품. 알콜 6.1%.

이전에 마셨던  Maui Brewing 「Lorenzini 6th Sense IPA」도 그렇지만 개인적으로 이렇게 향이 풍부한 IPA가 상당히 맘에 든다. 다만 개인적으로 맛있는 장르이고 맛으로 볼 때 호불호가 아주 명확할 것 같아 추천목록에는 넣지 않겠다.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beeradvocate.com/beer/profile/1075/10784
http://www.ratebeer.com/beer/caldera-ipa/22106/

*칼데라 홈페이지
http://www.calderabrewing.com/Page.asp?NavID=4
2011/05/08 19:32 2011/05/08 19:32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IPA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나요나 에일로 유명한 야호 브류잉에서 제조하는 인도의 푸른 괴물. Indian Pale Ale. IPA는 18세기말 영국이 식민지를 운영할 때 인도로 나간 영국사람들이 에일은 마시고 싶은데 (당시 잘 마신 에일은 포터였다고 한다) 금방 맛이 변해버리는 문제가 있으니까 알콜 도수를 높이고 방부효과가 뛰어난 홉을 많이 넣어서 먼 거리의 항해에도 견딜 수 있게 한 것이라고 한다. 항해도중 시어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나무통에도 홉을 들이부었다고 한다. 홉이 많은 만큼 쓴 맛이 강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죽여준다. 알콜 7%로 높은 도수에 홉이 가져오는 진한 쓴맛이 어울려 도저히 에일이라고는 믿어지지 않는 바디감을 자랑한다. 코를 톡 쏘는 향기도 인상적으로 일반적으로 맥주의 향과 맛은 전혀 관계가 없는데 이놈은 향을 그대로 마시고 있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향과 맛이 닮았다. 색은 살짝 진한 적갈색.

거품은 비교적 거칠게 쌓이는 편이지만 맥주 자체의 입안에서의 촉감은 상당히 부드러운 편. 캔을 개봉하는 순간 마치 엑스포트를 연상시키는 향긋하면서도 알싸한 홉의 풍부한 향기가 올라온다. 한모금 입에 머금으면 강렬하면서도 신선한 홉의 쓴 맛이 처음부터 끝까지 입속을 지배하며 꿀꺽하고 삼긴 후에도 한동안 입속에서 홉의 향기와 함께 오랫동안 남아 여운을 느끼게 한다. 단맛과 후루티한 향이 쓴맛을 상당부분 완화해주고 있어 무작정 쓴맛만도 아닌 어른의 맥주.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beeradvocate.com/beer/profile/3553/47892
http://www.ratebeer.com/beer/yo-ho-aooni/89299/

*인도의 푸른괴물 구매페이지
http://item.rakuten.co.jp/yonayona/c/0000000127/
2011/05/04 13:12 2011/05/04 13:12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에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즘 내가 몸이 안좋아서 그런가.. 조금 높은 도수는 몸이 잘 안받는다. 이렇게 몸이 완전하지 못할때는 리뷰를 하면 안되지만 술을 계속 쌓이게 놔둘 수는 없는 일이니까..

이전에도 소개했지만 카루이자와고원 비어는 맛이 정해진 게 아니라 매년 다른 타입의 맥주를 넣어서 출시하는 시즈널 맥주로 2011년도판은 벨지언 다크 타입이다.

흑맥아 특유의 고소한 향에 미묘하게 밀맥주의 바나나향이 섞여나는 것 같기도 하다. 거품은 거칠고 금방 사라지며 색은 마치 보리차와 같은 옅은 갈색. 알콜이 6%로 그렇게 높은편은 아닌데 마시는 순간 알콜이 입속과 코를 자극한 뒤 비로소 맥주가 흘러들어온다. 바깥에서 느끼는 향의 양보다 입 안에 머금었을때의 향이 풍부하게 느껴지며 그 부분이 맛도 같이 커버해 주고 있다. 전체적인 맛의 마무리는 끈질기지 않고 담백한 편.

*카루이자와고원 비어 시즈널 2011
http://item.rakuten.co.jp/yonayona/c/0000000163/
2011/05/03 22:47 2011/05/03 22:47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에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병을 딴 순간 맛을 엄청 기대하게 만드는 밀맥주 특유의 달콤하고 향긋한 향이 풍성하게 올라온다. 거품은 조밀하게 쌓이는 편이며 색은 마치 그라데이션처럼 위는 진하고 아래는 옅은 노란색이 부드럽게 깔린다. 촉감은 상당히 부드러운 편이고 알콜 5.3%에 양이 많아 조금은 알딸딸한 감도 느낄 수 있다. 향긋하고 달콤한 밀맥주의 전형적인 맛을 한모금 진하게 음미하고 나면 진한 알코올이 와락하고 몰려와 깜짝 놀라게 만든다.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www.ratebeer.com/beer/arcobrau-weissbier-hell/16254/

*아르코브로이 바이스비어 헬
http://www.arcobraeu.de/produkte/weissbier-hell
2011/05/03 00:29 2011/05/03 00:29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에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즘 새 밀맥주가 계속 보이고 있는데 시기상으로 따져봤을때 작년 겨울에 심은 겨울밀을 수확해서 만든게 아닌가 싶다.

에치고란 니이가타의 옛날 이름. 에치고비어는 원래 니혼슈를 만들던 우에하라 양조가 1994년 맥주양조면허를 취득한 뒤 생산한 가장 첫번째 지방맥주이다. 2000년에 맥주부문을 분사하여 브루봉이라는 니이가타의 과자회사의 지원을 받아 에치고비어 주식회사가 되었다.

밀맥주 특유의 향긋한 바닐라향을 가지고 있는데 재밌는것은 후루티하면서도 전체적으로 향이 진해서 무거운 느낌이 들게 한다. 효모를 살리지 않았는지 뿌연정도는 그리 강하지 않다. 오히려 밀맥주치고는 맑다고 느껴질 정도이고 거품은 조밀한 편. 맛은 신선한게 괜찮긴한데 끝맛에서 생알콜이 살아나면서 풍미를 해치고 있다. 알콜 5%인건 상관없는데 알콜이 잘 분해되지 않은 듯 하다.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beeradvocate.com/beer/profile/5046/10654
http://www.ratebeer.com/beer/echigo-weizen/51906/

*에치고 비어 홈페이지
http://www.echigo-beer.jp/

*에치고 비어 위키
http://ja.wikipedia.org/wiki/%E3%82%A8%E3%83%81%E3%82%B4%E3%83%93%E3%83%BC%E3%83%AB
2011/05/01 23:15 2011/05/01 23:15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기타정보
출처 : http://www.beerguide.com.au/forums/index.php?/topic/532-beer-serving-temperature-guide/


Beer is a strange beast, as too are us as drinkers. In the world of beer there are many different styles and associated with the confusion between styles is the question of 'what is the correct serving temperature'.

There is no one answer to this question - but there are rules of thumb that one can apply in order to experience the best out of a particular beer (or style). Of course individual drinkers will have their own preference, and you'll also have people who will scoff at you for suggesting a beer should be anything other than ice-cold so please do not take this as a hard and fast rule, but rather our suggestion on what we believe will provide the best results.

There are two things you must understand first before we get to the temperature recommendations, and they are:

1. Beer does not need to be served very cold (or ice-cold). Many macro-brewers will want you to believe otherwise and indeed their own advertising cements this fac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at colder temperatures your tongues taste receptors are inhibited. Once 'numbed' many flavours in the beer are neutralised and any complexitity within the beer is lost. This isn't a problem with most macro beers as they are relatively simple beers, hence the reason the idea of an ice-cold beer came about.

2. Serving beer at room temperature is not a good thing, unless you happen to live in a colder country where room temperature is between 4-12 degrees. In Australia this is rare and you need to think outside the square should a drinker mention anything about room temps.

Guidelines:

The best results are when you serve your beer between ice-cold and cellaring temp (note, the replacement of room with cellar to avoid confusion). Two quick checks will help prevent the need to whip out a temperature chart when drinking and they are:

- If the colour is light you typically serve these at the cooler range of temperatures;
- If the colour is dark and the body of the beer heavy allow the beer to warm up a little before drinking;
- In between sit things like Pale Ales, Pilsners, Fruit driven Beers etc.

Very cold (0-4C): Pale Lager, Malt Liquor, Golden Ale, Cream Ale, Low Alcohol, Cider.

Cold (4-7C): Hefe weizen, Kristal weizen, Kolsch, Premium Lager, Pilsner, Classic German Pilsner, Fruit Beer, brewpub-style Golden Ale, European Strong Lager, Berliner Weisse, Belgian White, American Dark Lager, Fruit Lambics and Gueuzes, Duvel-types

Cool (8-12C): American & Australian Pale Ale, Amber Ale, Dunkelweizen, Sweet Stout, Stout, Dry Stout, Porter, English-style Golden Ale, unsweetened Fruit Lambics and Gueuzes, Faro, Belgian Ale, Bohemian Pilsner, Dunkel, Dortmunder/Helles, Vienna, Schwarzbier, Smoked, Altbier, Tripel, Irish Ale, French or Spanish-style Cider

Cellar (12-14C): Bitter, Premium Bitter, Brown Ale, India Pale Ale, English Pale Ale, English Strong Ale, Old Ale, Saison, Unblended Lambic, Flemish Sour Ale, Biere de Garde, Baltic Porter, Abbey Dubbel, Belgian Strong Ale, Weizen Bock, Bock, Foreign Stout, Zwickel/Keller/Landbier, Scottish Ale, Scotch Ale, Strong Ale, Mild, English-style Cider

Warm (14-16C): Barley Wine, Abt/Quadrupel, Imperial Stout, Imperial/Double IPA, Doppelbock, Eisbock, Mead

Hot (70C): Dark, spiced winter ales. *Very Rare in Australia

Like yourselves I really enjoy a nice cold beer on a hot summers day. This guide isn't here to tell you to stop such a practice, heaven forbid, but rather plan your beer based on when, how and why you are drinking.

If you plan on having a 'coldie' or two after mowing the lawn (for example) then throw a few Pale Lagers, or Low Alcohol beers in the fridge or esky ready for when you're done. This way you'll have all the enjoyment of a cold beer without masking or numbing out the complexity of a more complex beer - and in the process wondering why you paid twice the price for a stubbie of similar tasting beer.
However if you want to drink a nice complex Beglian Strong Dark Ale perhaps wait till dinner or even after dinner when you are willing to allow the beer to warm a little to release the complex aromas and flavours.

Beer is like Wine, Cheese or any form of cuisine. In order to experience the flavours and experience the creator originally intended you may have to adjust your way of thinking slightly. Hopefully this article has dispelled a few mis-conceptions regarding Beer serving temperatures as well as perhaps educating you a little. Of course as always we'd love to hear your thoughts should you agree, disagree or just have questions about the whys and hows.
2011/04/20 21:36 2011/04/20 21:36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라거
사용자 삽입 이미지

1615년 네덜란드 Groenlo에 설립된 양조장. 현재는 SABMiller 그룹의 일원이 되었다.

다른 용도로 쓰기에 아주 안성맞춤인 병이 인상적인 그롤쉬([ɣrɔls]).

스타일은 유로 페일라거로, 기본적으로는 뮌헨의 헬레스와 비슷하지만 페일라거의 성공을 받아들여 유럽각국에서 만들어낸 종류이다. 다종다양한 홉의 향과 쓴 맛이 강하게 나타난다.

전체적인 인상은 일반적인 필스너인데 홉 향이 강하게 나타나며 그 중에서도 spicy한 향과 맛이 엄청나게 진하다. spicy란 이런 것이다라는 전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자극이 강한 라거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취향에 맞을지도. 알콜 5%.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beeradvocate.com/beer/profile/506/1426
http://www.ratebeer.com/beer/grolsch-premium-lager--pilsner/715/

*그롤쉬 홈페이지
http://www.grolsch.co.uk/grolsch_beer_new.html

*그롤쉬 브루어리 위키
http://en.wikipedia.org/wiki/Grolsch_Brewery
2011/04/20 10:57 2011/04/20 10:57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라거
사용자 삽입 이미지

XXXX는 호주 퀸즐랜드주의 밀튼, 브리즈번에서 양조되는 맥주 브랜드이다. 퀸즐랜드 주 전역에 걸쳐 생맥으로 마실 수 있다.

케언즈에 살때 가장 즐겨마신게 이 포엑스로 지금 생각해보면 포엑스의 뭘 마셨는지는 모르겠다. 아마 비터였겠지. 개인적으로는 VB보다 포엑스를 더 즐겼는데 쓴 맛이 강해서 그랬던 것 같기도 하다.

이름은 엑스포트 라거라고 쓰여 있는데 엑스포트 타입이라 그런게 아니라 수출용이라 엑스포트라 쓴 것 같다. 내가보기에 맛은 엑스포트까지는 아니고 비터라고 하면 딱 맞는다. 굳이 엑스포트 타입이라 우길려면 호주식 엑스포트라고 하면 되겠다. 개인적으로 보기엔 쓴 맛이 강조된 로컬라이즈드 필스너. 향은 인상적이지 않으며 거품은 조밀하게 쌓이지 않는데 엔젤링이 발생한다. 쓴맛과 함께 마무리로 홉의 향이 은은하게 올라오기 때문에 물같은 우리나라 호프집 맥주에 비하면 하늘과 땅 차이라 할 수 있다. 사탕수수가 들어갔는데 아마도 옥수수전분의 역할을 하는 듯. 이것도 제조하는 대륙의 차이인가? 다만 포엑스 엑스포트 자체도 전체적인 수준은 그냥 괜찮은 호프집 맥주임.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www.ratebeer.com/beer/castlemaine-xxxx-export-lager/134999/

*포엑스 홈페이지
http://www.xxxx.com.au/

*포엑스 위키
http://en.wikipedia.org/wiki/XXXX
2011/04/19 00:24 2011/04/19 00:24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에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1887년, 뉘른베르크 동북쪽에 위치한 Bayreuth(바이로이트)라는 마을에서 마이셀 형제가 만든 맥주 Maisel’s Weisse.

거품은 거친편이며 색은 뿌연 황금색. 특징적인 것은 일반적으로 밀맥주에서 살리지 않는 홉의 쓴 맛이 살아있다는 것이다. 향에서도 평범한 밀맥주의 바나나향 속에 코를 자극하는 쓴 홉의 향이 미묘하게 감돌고 있으며 한모금 머금으면 가벼운 밀맥의 맛을 살짝 쓴맛으로 끝마무리하고 있는데 이것이 또 밸런스를 아주 훌륭하게 잡고 있다. 탄산을 살린것이 이런 특징과 맞아들어가면서 알콜 5.2%인데도 의식하지 않고 깔끔하게 마실 수 있다. 상당히 잘 만든편에 속한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beeradvocate.com/beer/profile/585/2637
http://www.ratebeer.com/beer/maisels-weisse-original/4560/

*마이젤 오리지널
http://www.maisel.com/maisels_weisse/maisels_weisse_original_19.html
2011/04/18 21:06 2011/04/18 21:06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에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런던 프라이드는 이전에 한번 리뷰한 적이 있다.

Fuller's 「런던 프라이드」

풀러스는 웨스트 런던 치스윅이라는 곳에 위치한 브루어리이다. 약 350년 전 그리핀 브루어리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고.

전체적인 특징은 그리 다른 점이 없고 후루티한 향을 아주 진하게 느낄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거품은 조밀하게 쌓이는 편이며 탄산이 어느정도 존재감을 발휘하고 있어 탄산음료를 마시는 기분으로 마실 수도 있다. 병입해서 안정된 때문인지 신맛은 거의 느껴지지 않으며 마무리가 달콤하게 끝난다. 색은 아름다운 앰버 색이며 향이 맛을 지배하는데다 마무리 맛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과일 맛으로도 느껴질 수 있는 맥주. 알콜 4.7%.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beeradvocate.com/beer/profile/71/222
http://www.ratebeer.com/beer/fullers-london-pride-pasteurised/288/

*풀러스 브루어리 위키
http://en.wikipedia.org/wiki/Fuller%27s_Brewery

*런던 프라이드
http://www.fullers.co.uk/rte.asp?id=47

2011/04/17 23:37 2011/04/17 23:37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라거
사용자 삽입 이미지


벨코포포빅키 (발음이 맞나 모르겠다만...)는 프라하 근처에 있는 도시로 양조장은 1874년에 세워졌다고 한다. 1995년에 필스너 우르켈 브루어리와 합병된다.

제조사명(필젠스키 프레즈드로이)을 믿고 집어든 물건. 거품이 상당히 조밀하게 쌓이는 편이며 유지시간도 길다.색은 살짝 붉은감이 도는 황금색.향은 우르켈을 떠올리게 하는 달콤한 향. 아무래도 회사가 같아서 맛이 닮아진것도 있는 것 같다.
입속에서 돌릴때의 느낌이 상당히 부드러우며 신맛이 전혀 없으며 전체적으로 달달한 맛에 끝맛을 아주 미묘한 쓴맛으로 기분좋게 마무리해준다. 알콜 4.8%로 주말 저녁에 어울리는 맥주.
솔직히 리뷰용으로 500ml 맥주는 양이 부담스럽지만 맛있게 마신 물건.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beeradvocate.com/beer/profile/448/45385
http://www.ratebeer.com/beer/kozel-premium-lager-12o/4692/

*위키페이지
http://en.wikipedia.org/wiki/Velkopopovick%C3%BD_Kozel

*코젤 프리미엄
http://www.kozel.cz/en/products/premium.html
2011/04/17 00:36 2011/04/17 00:36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흑맥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르코브로이는 http://blog.naver.com/wabardunkel/50103456652 에 따르면 1567년 독일 남부 무스지방에 설립된 양조장이라고 한다.

거품은 보기엔 조밀하지 않은데 입에 닿는 느낌은 부드러운 편으로, 깨끗하게는 아니지만 엔젤링도 뜰 정도이다. 향은 일반 둥켈에서 나타나는 씁쓸한 향기에 희미하지만 과일향이 덧붙여져 조화롭게 올라온다. 색은 진한 콜라정도로 살짝 투명한 편이지만 못만든 둥켈에서 나타나는 묽은 맛은 전혀 없다. 알콜은 5.1%로 약간의 점도도 느껴지는데 이거 덕분에 엔젤링이 뜨는거 아닌가 싶기도 하다. 상당히 캐주얼하면서도 둥켈의 느낌은 잘 살리고 있기 때문에 집어들면 후회하지 않을 선택이라 할 수 있을 것 같다. 상당히 괜찮은 녀석.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www.ratebeer.com/beer/arcobrau-schloss-dunkel/53745/

*슐러스 둥켈 페이지
http://www.arcobraeu.de/produkte/schloss-dunkel
2011/04/16 00:23 2011/04/16 00:23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라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름은 엑스포트인데 분류는 그냥 페일 라거 정도로 구분되는 듯 하다. 실제 맛도 엑스포트라기보다는 필스너 타입으로 여겨진다.
처음 병을 따면 진한 향기가 밀려올라온다. 거품은 조밀하게 쌓이는 편이며 색은 밝은 황금색. 쌀이 들어간 덕분인지 호프집 맥주 치고 맛은 고소한 편. 옥수수전분을 넣느니 쌀 쪽이 더 나은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맛있는 필스너가 얼마든지 많기 때문에 이걸 굳이 마셔야 할 이유는 없다.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beeradvocate.com/beer/profile/8646/21709
http://www.ratebeer.com/beer/saigon-export/13158/

*사이공 엑스포트
http://www.sabeco.com.vn/newscontent.aspx?cateid=395&contentid=631
2011/04/15 15:12 2011/04/15 15:12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기타정보
随時更新、順序は無順

*パブ

82新宿西口大ガード
@82ALEHOUSE 東京都新宿区西新宿7-10-20第二日新ビル B1F

Tail's ALE HOUSE 本郷
@Tails_Hongo 東京都文京区本郷3-16-5スカイコート本郷東大第三101

城戸
@70beersontap 東京都墨田区両国

beerpub_bamboo
@beerpub_bamboo 東京都

アボット&ブラン
@abbots_blanc TOKYO

フランツィスカーナー日本橋
@franziskaner284 東京都中央区日本橋

GOSHIKI roppongi
@GOSHIKIroppongi 東京都港区

銀座ビアパブ ブルドッグ BULLDOG
@ginzabulldog 東京都中央区銀座西3-1

地ビールハウス 蔵くら
@kanda_kurakura 東京都千代田区鍛冶町1-4-6-3F

Hemel
@Hemel0322 東京都渋谷区道玄坂

GARGERY (ガージェリー)
@GARGERY_BEER 東京小金井から全国へ

オクトーバーフェスト
@oktoberfest1810

神楽坂 ラ・カシェット
@La_cachette_ 東京都新宿区神楽坂

ビーボ!ビアバー池袋
@vivo_ikebukuro 東池袋

ベル・オーブ デリリウムカフェ すがわら
@belgaube 東京都港区

Beer Saurus 池袋店
@beersaurus 東京都豊島区西池袋1-38-5 セイコービル3F

BillyBarew's新宿
@BBBB_shinjuku


*醸造会社

よなよなの里/よなよなエール醸造所
@yohobrewing 長野県軽井沢町

嶌田洋一
@baerenbier 岩手県盛岡市


*流通会社

ベルギービールJapan
@belgianbeerjp 愛知県名古屋市


*情報提供

日本ビアジャーナリスト協会
@beer_jbja

ビアフェス公式ツイッター
@beerfes 
2011/04/15 12:32 2011/04/15 12:32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라거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장 인상적인건 역시 탄산이다. 따서 따르는 순간 아주 경쾌한 소리를 내는 모습이 인상적.

나머지는 굳이 평이 필요없는 일반적인 호프집 맥주. 알콜 5%. 드라이 맥주인 만큼 아사히 수퍼드라이랑 닮은 것 같기도 한데 굳이 따지자면 콘스타치의 달콤하면서 고소한 맛은 많이 완화되어 있다는 차이가 있다. 단순히 드라이 공법만 사용한 줄 알았는데 찾아보니 드라이 이스트라는 걸 썼다고 한다. 가격대 성능비를 따지자면 굳이 수퍼드라이를 마실 필요는 없다고 할 수 있을 정도는 됨.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www.ratebeer.com/beer/hite-d-dry-finish/136165/

*드라이 피니시 홈페이지
http://www.dry-finish.com/hited.html

*드라이 피니시 d 탄생의 비밀 - 하이트 맥주 MI 최재익 팀장님 인터뷰
http://www.beer2day.com/610
2011/04/12 01:38 2011/04/12 01:38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에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이엔슈테판 브루어리는 무려 768년부터 양조를 시작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양조장이라고 한다. 독일 바바리아 지방에 위치.

헤페바이스비어 둥켈은 말 그대로 효모를 살린 밀맥주 + 흑맥주라는 말로, 밀 맥아랑 구운 보리맥아를 사용해 양조한 맥주이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밀맥주와 흑맥주의 특징을 모두 가지는데 그런 이유에서 밸런스를 잡는게 상당히 중요하다. 둥켈바이첸으로도 부른다.

거품은 부드럽게 쌓이며 감촉도 부드러운 편. 검은 색에 뿌연 밀맥주의 특징이 더해져 뿌연 흑색이 되어있다. 흑맥주의 구수한 향과 밀맥주 특유의 바나나 향이 섞인 오묘한 향. 맛은 아주 미묘하게 밀맥주쪽으로 치우쳐 있다. 굳이 말하자면 밀맥주 베이스에 흑맥주를 더했다는 느낌. 생으로 섞었다는 난폭한 형태가 아니라 제조단계에서 그렇게 만든 것 같다는 느낌이다. 다만 그런 이유에서 흑맥주에서 즐길 수 있는 무게감은 거의 없다. 알콜 5.3%.

처음 마셔본 바이스비어 둥켈. 솔직히 나는 바이스비어 둥켈을 여러가지 의미로 기대하고 있었는데 기대치에 못미쳤다. 개인적으로는 둥켈의 쓴 맛을 조금 더 강조해주었으면 싶었지만... 맛은 바이스비어쪽이 더 강했으므로 분류는 에일로 해 두겠다.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beeradvocate.com/beer/profile/252/808
http://www.ratebeer.com/beer/weihenstephaner-hefeweissbier-dunkel/4583/

*바이엔슈테판 홈페이지
http://www.brauerei-weihenstephan.de/index2.html?lang=eng

*바이엔슈테판 위키
http://en.wikipedia.org/wiki/Weihenstephan_Abbey
2011/04/11 23:59 2011/04/11 23:59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라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첫인상, 맛, 향, 감촉 등 모든것이 이전에 소개했던 논알콜 맥주음료와 닮아있다. 아주 맛없다는 뜻. 식이섬유를 도데체 왜 넣은거야?

거품은 평범하며 색은 일반적인 황금색. 향에서는 맥주라는 느낌이 크게 나타나지 않는다. 문제는 맛인데, 탄산 섞은 보리물을 마시는 기분이다. 끝맛이 기분나쁜 시큼함으로 마무리 되며 알콜이 4%나 되므로 기분나쁘게 취할 수 있다. 맥아 함유량을 추측하건데 제대로 된 라거 같지도 않은 발포주 수준.

*하이트 S
http://english.hite.com/h_brand/html/brand_beer04.asp
2011/04/09 22:03 2011/04/09 22:03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흑맥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걸 일본이 아니라 한국에서 마시게 될 줄이야...
뮌헨 타입이라 쓰여 있으며
http://beer2.net/asahi-kuronama.html
여기에 의하면 슈발츠라고 한다.

거품이 아주 부드럽게 쌓인다. 입에 닿는 촉감은 거친 편. 고소하고 달콤한 향이 풍부하게 퍼진다. 색은 옅은 편. 쓴맛이 강조된 편이지만 탄산이 강조되어 있으며 맥주 자체를 진하게 뽑지는 않았기 때문에 가볍게 마실 수 있다. 알콜 5%. 콘스타치를 넣는건 이전에도 설명했지만 아사히의 특징이라고 보아야 할 듯.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beeradvocate.com/beer/profile/716/3969
http://www.ratebeer.com/beer/asahi-black-kuronama/6792/

*아사히 흑생
http://www.asahibeer.co.jp/kuronama/
2011/04/07 22:37 2011/04/07 22:37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라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전에 아사히가 기술계약해서 발매한 뢰벤브로이를 리뷰한 적이 있었는데, 결론적으로는 맛이 없었다는 내용이었다.

아사히 「뢰벤브로이」

근데 오리지널 뢰벤브로이는 전혀 다른 맛이더라. 안그래도 안좋았던 아사히 이미지가 이번 일로 더 나빠졌다...

뢰벤브로이는 뮌헨에 있는 양조장으로 lion's brew 라는 뜻이랜다. 1383년 The Lion's Inn 이라는 여관에서 양조된 이후 이런 이름이 되었다는 듯. 안호이저 부시 인베브 그룹 소유.

헬레스 타입으로 헬레스란 독일어로 light coloured 라는 뜻인데, 둥클레스에 대조되는 장르라고 한다. 필스너를 뮌헨식으로 양조한 것.

너무 밝지도 않고 너무 어둡지도 않은 아름다운 황금색을 가지며 곡물 자체에서 흘러나오는 달콤한 향과 달콤한 맛이 인상적이다. 단맛을 기분좋게 마무리해 주는 약간의 신맛이 조화롭게 섞여 있으며 알콜은 5.2%이지만 탄산이 강렬하지 않아 약간의 무게감을 느끼면서 기분좋게 마실 수 있는 맥주. 거품은 그리 인상적이진 않다.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beeradvocate.com/beer/profile/95/280
http://www.ratebeer.com/beer/lowenbrau-original/4792/

*뢰벤브로이 오리지널
http://www.loewenbraeu.de/de-de/loewenfuetterung/loewenbraeu-original.html

*뢰벤브로이 위키
http://en.wikipedia.org/wiki/L%C3%B6wenbr%C3%A4u
2011/04/07 20:51 2011/04/07 20:51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흑맥주
사용자 삽입 이미지


브레멘에 위치한 벡스 브루어리에서 양조되는 다크 라거 타입으로 벡스의 열쇠마크는 브레멘의 마크를 거울대칭한 것이라고 한다.

다크라거 특유의 묽은 맛과 연한 색감, 경박한 탄산을 가진다. 거품은 거친 편이며 쓴 맛은 진한 필스너 정도로 그리 강하지 않은 편. 향도 그리 강한편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인상이 안남는 맥주. 알콜 5%.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beeradvocate.com/beer/profile/32/1165
http://www.ratebeer.com/beer/becks-dark/705/

*벡스 홈페이지
http://www.becks.com/

*벡스 브루어리 위키
http://en.wikipedia.org/wiki/Beck%27s_Brewery
2011/04/05 23:05 2011/04/05 23:05
Posted
Filed under 맥주 Life/라거
사용자 삽입 이미지


Krombach is a suburb of Kreuztal near Siegen, a small city in a part of Germany called Siegerland, a part of North Rhine-Westphalia. The small town of Krombach is located at the foot of the Rothaargebirge.

지역발음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겠군...

황금색 필스너. 필스너 치고는 쓴 맛이 상당히 강한 편으로 개인적으로는 상당히 잘 만들어졌다고 생각되는 맥주. 카스류에 익숙해진 상태라면 써서 맛이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알콜이 4.8%로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바디감이 있다. 거품은 부드러운 편. 추천하는 맥주에 넣기에는 미묘하지만 괜찮은 편이다.


*맥주 리뷰 사이트의 평가
http://beeradvocate.com/beer/profile/566/1499
http://www.ratebeer.com/beer/krombacher-pils/3370/

*크롬바커 필스
http://www.krombacher.com/produkte/pils.php

*크롬바커 브루어리 위키페이지
http://en.wikipedia.org/wiki/Krombacher_Brauerei
2011/04/05 21:57 2011/04/05 2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