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Filed under 연구
*표준편차(SD : Standard Deviation)
표준편차(標準偏差)는자료의 산포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분산의 제곱근으로 정의되며 표준 편차가 작을수록 평균값에서 변량들의 거리가 가깝다. 일반적으로 모집단의 표준편차는 σ(시그마)로, 표본의 표준편차는 S(에스)로 나타낸다.
http://blog.naver.com/thegoldman/30067191786

=stdev(범위)



*상대표준편차(RSD : Relative Standard Deviation)
상대표준편차란 표준편차를 평균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한 수치로서 변동계수(CV : Coefficient of Variability)라고도 한다. 즉, 상대표준편차가 크다는 것은 표준편차가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는 의미이므로 산포도가 큼을 의미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산포도가 작음을 의미한다. 또한 상대표준편차는 단위가 없는 측도이므로 서로 다른 측정단위를 갖는 데이터 셋의 산포도 비교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stdev(범위)/average(범위)*100



*표준오차(SE : Standard Error)
각 표본들의 평균이 전체 평균과 얼마나 떨어져있는가를 알려줌.
표준편차 / √(표본 개수)
http://blog.naver.com/nlboman/22643979
http://blog.naver.com/nlboman/56166123

=stdev(범위)/sqrt(count(범위))
2010/01/15 17:15 2010/01/15 17:15
Posted
Filed under 잡담
난 2003년부터 지금까지 이메일 클라이언트로 윈도우 XP에 기본으로 탑재되어있는 아웃룩 익스프레스를 쓰고 있었다. 어차피 일정은 팜으로 관리하고 있었기에 굳이 일정관리기능까지 들어가서 비대해진 오피스 아웃룩을 쓰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아웃룩 익스프레스를 트레이로 보내버리는 HideOE 정도는 잘 깔아서 쓰고 있었지...


근데 이번에 들어간 연구실 컴퓨터가 비스타라서 아웃룩 익스프레스가 없고 윈도우메일이라는 넘이 들어있더라. 기본적으로는 아웃룩 익스프레스 엔진을 사용한 넘이라 임포트 되길래 집에서는 아웃룩 익스프레스 쓰면 호환되겠다 생각해서 그걸로 임포트 했더니

얼마전에 집 컴퓨터를 윈도우7 으로 바꿨더니 이번엔 윈도우메일조차 안들어있고 아예 웹계정으로 연결되게 바뀌어져 있어서 어쩔수 없이 이메일 클라이언트를, 뭐가 됐든간에 설치해야 할 지경에 이르렀다.


결과적으로는 썬더버드3을 선택하긴 했지만 오피스 아웃룩을 쓸까 썬더버드를 쓸까하다가 썬더버드로 온건 다음 기사를 읽었기 때문이 크다.

아웃룩을 회사에서 사용하면 안되는 7가지 이유



뭐 하여튼, 일단 써보니 가장 맘에 드는게 검색기능이다. 익스프레스에서 바로 넘어온 터라 아웃룩 검색기능도 이정도 가능하긴 할것같긴 하지만 어쨌든 썬더버드3의 검색기능은 만족스럽다. 속도도 물론 만족스럽다. 익스플로러를 쓰다가 파이어폭스로 넘어온 느낌을 그대로 느끼게 해 준다.

다만 윈도우메일이 아주 개같은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어서 임포트는 쫌 애먹었다.

ImportExportTools (MboxImport enhanced)


이걸 쓰니 어찌어찌 완벽하게 다 옮길수는 있었다. 플러그인도 여러가지 많은 모양인데 뭐 개인적으로는 트레이로 보내버리는 거나 하나 있으면 충분할 듯...
2010/01/15 15:45 2010/01/15 15:45
Posted
Filed under 잡다한정보/일본생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이에 애매하게 30일이 꼈다...

4/29 (木、녹색의 날)30(金)
5/1(土)2(日)3(月、헌법기념일)4(火、국민의 휴일)5(水、어린이날)
2010/01/15 11:57 2010/01/15 11:57
Posted
Filed under 연구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License 로 등록된 글이어서 그냥 스크랩 해 본다. 아주 당연한 얘기이긴 한데 그래도 한번 정도는 읽어볼 만한 가치가 있다.

출처 :
PLoS Computational Biology: Ten Simple Rules for Getting Published


Philip E. Bourne

Rule 1: Read many papers, and learn from both the good and the bad work of others.

It is never too early to become a critic. Journal clubs, where you critique a paper as a group, are excellent for having this kind of dialogue. Reading at least two papers a day in detail (not just in your area of research) and thinking about their quality will also help. Being well read has another potential major benefit—it facilitates a more objective view of one's own work. It is too easy after many late nights spent in front of a computer screen and/or laboratory bench to convince yourself that your work is the best invention since sliced bread. More than likely it is not, and your mentor is prone to falling into the same trap, hence rule 2.

Rule 2: The more objective you can be about your work, the better that work will ultimately become.

Alas, some scientists will never be objective about their own work, and will never make the best scientists—learn objectivity early, the editors and reviewers have.

Rule 3: Good editors and reviewers will be objective about your work.

The quality of the editorial board is an early indicator of the review process. Look at the masthead of the journal in which you plan to publish. Outstanding editors demand and get outstanding reviews. Put your energy into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manuscript before submission. Ideally, the reviews will improve your paper. But they will not get to imparting that advice if there are fundamental flaws.

Rule 4: If you do not write well in the English language, take lessons early; it will be invaluable later.

This is not just about grammar, but more importantly comprehension. The best papers are those in which complex ideas are expressed in a way that those who are less than immersed in the field can understand. Have you noticed that the most renowned scientists often give the most logical and simply stated yet stimulating lectures? This extends to their written work as well. Note that writing clearly is valuable, even if your ultimate career does not hinge on producing good scientific papers in English language journals. Submitted papers that are not clearly written in good English, unless the science is truly outstanding, are often rejected or at best slow to publish since they require extensive copyediting.

Rule 5: Learn to live with rejection.

A failure to be objective can make rejection harder to take, and you will be rejected. Scientific careers are full of rejection, even for the best scientists. The correct response to a paper being rejected or requiring major revision is to listen to the reviewers and respond in an objective, not subjective, manner. Reviews reflect how your paper is being judged—learn to live with it. If reviewers are unanimous about the poor quality of the paper, move on—in virtually all cases, they are right. If they request a major revision, do it and address every point they raise both in your cover letter and through obvious revisions to the text. Multiple rounds of revision are painful for all those concerned and slow the publishing process.

Rule 6: The ingredients of good science are obvious—novelty of research topic, comprehensive coverage of the relevant literature, good data, good analysis including strong statistical support, and a thought-provoking discussion. The ingredients of good science reporting are obvious—good organization, the appropriate use of tables and figures, the right length, writing to the intended audience—do not ignore the obvious.

Be objective about these ingredients when you review the first draft, and do not rely on your mentor. Get a candid opinion by having the paper read by colleagues without a vested interest in the work, including those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topic area.

Rule 7: Start writing the paper the day you have the idea of what questions to pursue.

Some would argue that this places too much emphasis on publishing, but it could also be argued that it helps define scope and facilitates hypothesis-driven science. The temptation of novice authors is to try to include everything they know in a paper. Your thesis is/was your kitchen sink. Your papers should be concise, and impart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in the least number of words. Be familiar with the guide to authors and follow it, the editors and reviewers do. Maintain a good bibliographic database as you go, and read the papers in it.

Rule 8: Become a reviewer early in your career.

Reviewing other papers will help you write better papers. To start, work with your mentors; have them give you papers they are reviewing and do the first cut at the review (most mentors will be happy to do this). Then, go through the final review that gets sent in by your mentor, and where allowed, as is true of this journal, look at the reviews others have written. This will provide an important perspective on the quality of your reviews and, hopefully, allow you to see your own work in a more objective way. You will also come to understand the review process and the quality of reviews, which is an important ingredient in deciding where to send your paper.

Rule 9: Decide early on where to try to publish your paper.

This will define the form and level of detail and assumed novelty of the work you are doing. Many journals have a presubmission enquiry system available—use it. Even before the paper is written, get a sense of the novelty of the work, and whether a specific journal will be interested.

Rule 10: Quality is everything.

It is better to publish one paper in a quality journal than multiple papers in lesser journals. Increasingly, it is harder to hide the impact of your papers; tools like Google Scholar and the ISI Web of Science are being used by tenure committees and employers to define metrics for the quality of your work. It used to be that just the journal name was used as a metric. In the digital world, everyone knows if a paper has little impact. Try to publish in journals that have high impact factors; chances are your paper will have high impact, too, if accepted.

When you are long gone, your scientific legacy is, in large part, the literature you left behind and the impact it represents. I hope these ten simple rules can help you leave behind something future generations of scientists will admire.
2010/01/12 14:12 2010/01/12 14:12
Posted
Filed under 음악감상실
들을때마다 느끼는거지만 사람의 성대에서 나오는것이라고는 도저히 믿겨지지 않는 하모니가 나를 전율하게 하는 리베라의 상투스...

찾아보면 버전은 여러가지 있지만 그래도 `아, 정말 부르는거구나`하는 실감이 느껴지는 동화상으로 첨부. 그래도 이건 사기야~~


캐논하고 조합한 버전. 펌링크가 공개되어 있지 않으므로 링크연결.

2010/01/08 12:18 2010/01/08 12:18
Posted
Filed under 읽은것들/RSS
구글리더 들어가서 볼려면 세월아 네월아 할거같아서 흥미로워서 제목만 찝어둔 논문들을 언제라도 볼수 있게 일단 포스팅.

The fundamental limit on the rate of quantum dynamics: the unified bound is tight. (arXiv:0905.3417v2 [quant-ph] UPDATED)


The idiots guide to Quantum Error Correction. (arXiv:0905.2794v2 [quant-ph] UPDATED)


Quantum entanglement



Bandwidth-tunable single photon source in an ion trap quantum network. (arXiv:0905.3725v2 [quant-ph] UPDATED)


The demon is in the details


Deterministic reordering of 40Ca+ ions in a linear segmented Paul trap. (arXiv:0906.5335v3 [quant-ph] UPDATED)


Cooling with a cavity


2010/01/07 11:20 2010/01/07 11:20
Posted
Filed under 읽은것들/RSS

[영상] 국회의원 소개와 축사에 지쳐버린 소녀시대

...

"민주"의 허상과 실상

진보지식인의 단점은 항상 100%를 추구한다는 점이다. 세상은 100%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지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2009 황당 정보 비공개! WORST 5

웃음이 나올수 있도록 가능한 밝게 쓴 글이지만 이건 웃고 넘길 일은 아니다.

물론 ’인터넷 링크는 저작권 침해가 아니다.’ 그러나… - 01-02 17:02

구글을 겨냥한 글. 내용 자체는 문제없지만 이런 글을 '네이버'에서 포스팅했다는 부분이 가소롭다. 네이버가 저작권을? 이라는 글을 쓰신 도아님께서 이 포스팅을 보면 어떤 반응을 보이실까?

연대 연구진, 차세대 노광(露光)기술 개발

얼마전에 배운 근접양광-표면플라즈몬 기술에 윤활제를 써서 기록속도를 높였다는 내용. 근접양광-표면플라즈몬은 나중에 시간이 나면 블로그에 정리해봐야겠다.

12th Annual SQuInT Workshop

그나마 좀 장치중심인듯. 나중에 PPT 올라오면 좀 읽어봐야겠다.


마이클 샌델-정의; 무엇이 마땅히 해야 할 올바른 일일까?

시간나면 동영상도 함 보자.

Colloquium: The Einstein-Podolsky-Rosen paradox: From concepts to applications

체크는 해두었지만 솔직히 읽을 엄두는 안난다. 시간도 없고...

나이보다 어려 보이면 오래 산다

그렇댄다.

한 문학교사의 비문학 독서기

RSS를 정리하면서 새롭게 추가한 크로스로드의 첫번째 체크 글.

사실 폰 좀 아는 사람들은 SKT핸드폰을 안쓴다.

도발적인 제목의 포스팅. 내용은 꽉 차있다.
2010/01/03 13:47 2010/01/03 13:47
Posted
Filed under 잡다한정보/일본생활

*등록관련

1. 외국인등록증
필요한 서류 : 외국인등록 신청서, 여권, 사진 2장(세로 4.5㎝×가로 3.5㎝)
외국인등록원표기재사항증명서 같이 신청할것(한장당 300엔)
Open Hour : 08:30 ~ 17:00

http://impeter.tistory.com/532
http://impeter.tistory.com/530
http://www.moj.go.jp/ONLINE/ALIENREGISTRATION/17-1.html


2. 인감
필요한 서류 : 신분증명서, 도장

http://impeter.tistory.com/864



3. 일본 건강보험
필요한 서류 : 합격증(혹은 재학증명서), 외국인등록증(혹은 외국인등록원표기재사항증명서), 학생증(굳이 필요없음)

3-1. 외국인 유학생 진료증명서 받기
필요한 서류 : 신청서, 증명사진(3x4)
대학창구를 통해서 등록신청

http://impeter.tistory.com/57



4. 은행계좌개설

필요한서류 : 외국인등록증명서, 인감(사인가능), 여권
현금카드도 같이 신청할것.

월~금요일까지 09:00~15:00
ATM 창구 08:45~19:00(토,일요일은 17:00까지)

우정공사(日本郵政公社), 미츠비시도쿄UFJ(三菱東京UFJ銀行), 미츠이스미토모(三井住友銀行), 미즈호(みずほ銀行), 리소나(りそな銀行)

残高10万円未満の場合

銀行名 人気投票 勝手格付 口座名・
サービス名

口座管理
手数料・
免除条件

ネット振込手数料
(※1)
ATM手数料 公式HP
同行宛て 他行宛て ネット海外送金 同行ATM 他行ATM
優遇
(※3)
コンビニ(※4) 海外ATM  
3万円
未満
3万円
以上
3万円
未満
3万円
以上
時間
時間

(※2)
セブン ローソン ファミマ ampm 国際カード(※5)  
みずほ銀行 4 マイレージ
クラブ
0円 105円 210円 210円 420円 × 0円 210円 ×  
三井住友銀行 7位 ★★ SMBCポイントパック 0円 105円 105円 210円 420円 × 0円 105円 郵貯ATM平日時間内無料  
三菱東京UFJ銀行 7位 ★★ メイン
バンク
0円 0円 0円 210円 315円 × 0円 105円 × ×  
りそな銀行 3位 ★★ TIMO 0円 0円 0円 100円 100円 × 0円 0円 × ×  
イーバンク銀行 9位 ★★   0円 0円 0円 160円 160円 × × × 郵貯ATM
1回迄0円
× × ×  
ジャパンネット銀行 11位     189円
(10万円)
52円 52円 168円 262円 × × × 1回迄
0円
× ×  
ソニー銀行 4位 ★★   0円 0円 0円 210円 210円 × × × 4回迄
0円
×  
新生銀行 2位 ★★★ パワーフレックス 0円 0円 0円 1回迄0円 1回迄0円 × 0円 0円 0円 × × × >公式HPへ
東京スター銀行 6位 ★★ スターワン 0円
'09/11迄
0円 0円 315円 315円 × 0円 8回迄0円
※残高の10%迄
×
住友信託銀行 9位 ユアパートナー 0円
0円 0円 210円 420円 × 0円 105円 × ×
住信SBIネット銀行 1位 ★★★   0円 0円 0円 3回迄0円 3回迄0円 × × × 郵貯
ATM0円
× × >公式HPへ


출처 : http://www.ginkou.info/modules/tinycontent/index.php?id=7


4-1. 씨티은행 국제현금카드 관련








6. 집계약

필요한 서류 : 보증인(보증회사, 학교보증 -> 유학생주택종합보상 이용), 인감(임대계약서, 화재보험, 성명서 등에 사용), 재직/재학증명서, 통장(수입증명, 집세 자동이체등), 신분증명서

 수도 / 가스 / 인터넷 / 전기


7. 일본운전면허신청

필요한 서류 : 한국운전면허증, 여권, 한국운전면허증 번역본, 외국인등록증, 사진



 

7-1 국내적성검사

필요한 서류 : 여권, 항공권, 면허증, 수수료 2000원

http://bkchurch.or.kr/003/003_01_04.htm
강남운전면허시험관리장

☞ 조기 적성검사 시 구비서류

- 여권, 비행기표(출국일자가 표기된 비행기표)
- 면허증
- 칼라사진 2매(3× 4cm, 탈모, 무 배경, 최근 6개월 이내 촬영)
- 수수료 15,000원
  (신체검사 5,000원 + 적성검사 판정 4,000원 + 면허증교부 6,000원)


☞ (적성검사 기간 전) 연기 신청 시 구비서류
- 여권, 비행기표(출국일자가 표기된 비행기표)
- 면허증
- 수수료 2,000원 
※ 연기신청을 하신 후에 (적성검사 기간이 경과해도)
   본인이 3개월 미만 국내 체류 시는 관계가 없으나,
   3개월 이상 체류 예정인 경우에는
   입국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연기 사유 확인서
   (출입국에 관한 사실증명서)를 지참하고,
   적성검사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 시험장 업무시간 (일요일 및 공휴일은 휴무)
평일(월~금) : 09:00 ~ 18:00, 토요일 : 09:00 ~ 13:00



7-2. 일본면허갱신
http://host.textcube.com/8
http://www.koreancenter.or.kr/community/board_view.aspx?menu_code=86&cate_code=CC005&content_num=1381

http://www.keishicho.metro.tokyo.jp/menkyo/menkyo/kousin/kousin02.htm



8. 신용카드
http://www.cyworld.com/carterkun_japan/2780323

우체국카드
http://www.jp-bank.japanpost.jp/kojin/tukau/card/credit/lineup/kj_tk_crd_cdt_lu_index.html
미츠비시UFJ카드
http://www.bk.mufg.jp/tsukau/credit/index.html
미쯔이스미토모카드
https://www.smbc-card.com/nyukai/card/index.jsp




9. 파스모

기명으로 신청, 학생할인으로 신청(통학증명서 필요)

http://blog.daum.net/uhak_net/6482327

PASMO와 SUICA의 차이점



10. 재입국허가증

필요한 서류 : 여권, 외국인등록증, 학생증(학생일 경우), 수수료(단수 3000엔, 복수 6000엔)
입국관리국에서 신청할 것.
http://www.moj.go.jp/ONLINE/IMMIGRATION/16-5.html
http://impeter.tistory.com/56

http://www.immi-moj.go.jp/info/index.html


11. 일본노동법

자격외활동 허가신청 필요. 학교를 통해 신청하거나 출입국관리소에 가서 직접 신청할것.

http://www.immi-moj.go.jp/korean/tetuduki/zairyuu/shikakugai.html
http://impeter.tistory.com/54



*구입관련

1. 컴퓨터
http://kakaku.com/pc/


2. 자전거
 MTB가게
http://bicycle.omakase-hp.com/

2-1. 자전거등록
http://blog.daum.net/africakitty/7196671
http://nettomo.jp/japantour/8072


3. 가구등
 이불, 밥상 or 테이블, 책상, 책장, 쿠션
http://cafe.daum.net/tokyorecycle


4. 전기제품
 밥통, 냉장고, 청소기, 가스렌지
 전자렌지, 세탁기, 전기장판
http://cafe.daum.net/japantokyo/2VI4/13


5. 그 외
 돼지코, 서지


6. 음식
 http://cafe.daum.net/japantokyo/V6V/433
2009/12/15 00:02 2009/12/15 00:02
Posted
Filed under 읽은것들/RSS

램디스크로 체험하는 파이어폭스 궁극의 속도

나중에 램 더 늘어나면 해봐야겠다

A 여사 이야기 :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

나도 오선생님한테 이 부분에서 배우는 게 많다. 연세가 벌써 70이신데 `배운다`는 걸 전혀 두려워하지 않는 저 에너지는 가끔씩 나조차 움츠러들게 만들 정도이다. 배우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자를 두려워하라.

Three myths about scientific peer review

이건 이전에 읽었던건데 포스팅을 했었는지 안했는지 몰라서 그냥 붙여넣음

언어천재가 말하는 영어 공부의 요령

꼭 영어에 국한된거라기보다는 언어자체에도 적용될 수 있지만 영어와같이 노래하는 듯한 언어를 배우는데에 더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듯.

금융권, 플랫폼 보다는 표준을 지켜라!

하라고 할 애들은 아니지만 어쨌든 뭐를 까야하는건지는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KAIST의 새로운 실험: KAIST에서 저널리즘과 PR을?

이걸 계기로 국내에서 `제대로 된` 과학기자가 나오기를 바란다.

[1차 보충] MB 친민생, 친서민정책 홍보 자료 : 2010 복지예산안

포스팅도 이미 했지만 좀 더 디테일하게 보고 싶다면 이 글을 참조할것.

TQC 2010 First Announcement

이론이지만 어쨌든 뜨긴 떴다. Zeilinger선생이 어떤 얘기를 할지 기대중. URL은 http://tqc2010.leeds.ac.uk/

QIP 2010 Speakers

이것도 나랑은 그다지 상관없지만 어쨌든 기록은 해 둔다. URL은 http://www.qip2010.ethz.ch/


처음으로 공개될 대중적인 양자컴퓨터
NIST에서 또 사고친 모양이다...

급여명세표 올려보자구!

뭐 이런 느낌이다... 정도로 보면 될 듯하다.

통계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을 톺아보자.

제목에 오타가 나 있다... PDF로도 볼수 있다. http://sts.ntis.go.kr/notice.jsp

영~ 어려워요

영어논문쓰기에 관한 논문... 시간내서 한번 읽어보기는 해야겠다. 아직 The Elements of Style조차 손도 못대고 있는 형편인데...
DOI는 이곳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_ob=ArticleURL&_udi=B6VDM-4X7FRM9-1&_user=10&_rdoc=1&_fmt=&_orig=search&_sort=d&_docanchor=&view=c&_acct=C000050221&_version=1&_urlVersion=0&_userid=10&md5=3cf581a219e67f4e45c945cf07e3ee33

김재호 - [배포/수정 금지] 정말 말그대로 "공정한" 어드미션이라는게 과연 가능한가? (35)

상당히 흥미로운 주제. 내용도 알차니 까지말것.


리영희 "한국사회, 우익 날개만 커져 걱정"

지식인과 지성인에 대한 주옥같은 설명을 주신 인터뷰. 원문을 첨부하니 읽어보도록 하자.
출처는 http://www.imbc.com/broad/radio/fm/look/interview/index.html

12/5(토) 우리가 피할 수 없는 운명의 길 - 리영희 한양대 명예교수 
 
 
작성자 : 시선집중[mbcfocus]  작성일 : 2009.12.06 01:41  조회:166  번호:3080 
 
 
 

   
 
 

  
☎ 손석희 / 진행  :

지난달이었던가요. 한 출판계에 눈길을 끄는 일이 하나 있었습니다. 정치, 사회부문 베스트셀러 목록에 <전환시대의 논리>가 올랐던 건데요. 물론 아주 잠시 머물긴 했습니다만 눈에 띄는 그런 일이었음엔 틀림없습니다. 아시는 것처럼 1974년에 출간돼서 1980년대 필독서였던 <전환시대의 논리> 이 책이 베스트셀러 목록에 올랐다는 사실 어떻게 해석해야 될까요. 내 책이 더 이상 읽힐 필요가 없어서 인쇄가 0원이 되는 날이 왔으면 좋겠다, 이런 바람을 들 피력해주셨던 <전환시대의 논리>의 리영희 선생님, 오늘 어렵게 만나뵙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어떤 생각을 가지고 계신지 근황은 어떠신지 오늘 ‘토요일에 만난 사람’ 시대의 양심, 행동하는 지식인으로 늘 많은 분들의 좌표가 돼 오고 계신 리영희 선생님을 모시고 얘기 나누겠습니다. 안녕하셨습니까? 선생님.




☎ 리영희 선생  :

네, 안녕하십니까?




☎ 손석희 / 진행  :

우선은 건강이 어떠신지 여쭤볼 수밖에 없네요. 어떠신지요. 괜찮으십니까?




☎ 리영희 선생  :

뭐 건강은 벌써 한 10년 전에 뇌출혈, 뭐 우리말로 중풍이 돼서 쓰러진 후에 기동을 잘 못하고 또 요새는 겨울이면 만성기관지염이 재발해서 고생하고 있죠.




☎ 손석희 / 진행  :

평소 내 책이 더 이상 읽힐 필요가 없어서 인쇄가 좀 0원이 되는 날이 왔으면 좋겠다, 인쇄가 한 푼도 안 들어오는 날이 왔으면 좋겠다 라고 말씀하셨는데,




☎ 리영희 선생  :

그렇습니다. 난 그러한 생각을 오래 전부터 한 까닭은 다소간 내 저서와 책들이나 써온 내용들이 시대를 조금씩 앞서갔다 보니까 많은 사람들이 그것으로서 깨우치고 그래서 더 이상 내 책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정도로 전반적으로 그런 의식의 수준이 올라왔으면 그럼 뭐 책 읽을 필요 없으니까 그런 걸 바랐는데 계속 책이 팔리는 거예요. 그래서 인쇄가 조금씩 또 들어오려고 그러는 모양인데,




☎ 손석희 / 진행  :

여전히 아무튼 책은 팔리고 있습니다. 특히나 얼마 전에는 잠깐이긴 했습니다만 베스트셀러 1위에 잠시 오르기도 하는 그런 상황도 됐는데 왜 글쎄요, 요즘에 <전환시대의 논리>가 왜 통할 수밖에 없느냐, 그 책이 또한 필요가 시대가 된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도 하시는지요? 




☎ 리영희 선생  :

글쎄, 그런 세월이 안 되길 바랐는데 그걸 보고 전진한 우리 사회의 모습을 보고 싶었는데 역시 또 후퇴하니까 그 책에 대해서 그런 의견들이 생겨나는가 봐요.




☎ 손석희 / 진행  :

예, 1950년대 중엽부터 많은 분들이 아시는 것처럼 언론인으로서 또 학자로서 또 사회비평가로서 국제문제전문가로서 왕성한 활동을 해오신바가 있습니다. 당시의 삶을 지성인에 해당하는 삶의 구간, 이렇게 칭하셨던데요. 혹시 지성인이라는 단어를 쓰신 특별한 이유가 있으십니까? 보통은 지식인이라는 단어도 쓰곤 하는데 혹시 차별을 두고 말씀하신 건지요? 




☎ 리영희 선생  :

뭐 그런 의미로 차별을 뒀죠. 그 지식인이라는 것은 흔히 요새는 기술적인 지식인, 또는 전업적인 지식인들이 많은 사회이다 보니까 사회공동체 우리 자기의 사회 전체에 대한 관심은 없이 오로지 그 고도의 기술 직업적 지식으로 사는 이 사람들을 지성인이라고 할 순 없단 말이에요. 지성인이라는 것은 역시 전체 개별적으로 살면서 또한 동시에 전체에 이론으로써 전체 생존과 복지와 운명까지도 자기의 것으로 생각하면서 판단하고 행동하는 그런 삶이야말로 지성인이다, 이렇게 생각했기 때문에 그랬죠.




☎ 손석희 / 진행  :

그것은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진보진영, 아니면 보수진영, 그것을 막론하고 말씀하신,




☎ 리영희 선생  :

난 뭐 진보진영이나 보수진영이나 그런 말, 단어를 좋아하지 않아요. 그냥 살아가는 방법, 패턴, 이런 것으로써 난 자기 자신을 어떻게 규정을 해서 무슨 주의, 이런 식의 표현을 싫어하기 때문에 물론 굳이 그렇다면 진보나 보수나 다 초월하고서 그래야죠.




☎ 손석희 / 진행  :

오래 된 책이긴 합니다만 <새는 좌우의 날개로 난다>라는 책을 쓰신 바가 있으십니다. 그래서 그때는 좌우로 또 이렇게 나눠서 말씀하셨는데




☎ 리영희 선생  :

우리사회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 한국사회에서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정치 철학이나 이런 데서 좌우 흔히 쓰니까 그런 의미에서 쓴 거죠.




☎ 손석희 / 진행  :

그러면 한국사회는 좌우의 날개로 날고 있다고 판단하고 계신지요. 혹시? 




☎ 리영희 선생  :

뭐, 지금이야 전혀 아니죠. 전혀 아니죠. 이게 어떻게 될 거냐가 걱정스러울 만큼 오른 쪽에, 즉 우익의 날개만이 커가고 함께 더불어 기능을 발휘해야 할 좌측의 날개는 왜소해지고 이른바 위축되고 그런 상황이라고 지금 봐야죠.




☎ 손석희 / 진행  :

그런 속에서도 여전히 이른바 진보진영 쪽, 그러니까 왼쪽의 날개라고 표현하실 수 있는 그 진영은 늘 그런 비판을 받아왔습니다만 늘 분열한다 라는 얘기도 들어오고 있습니다. 어떻게 해 나가야 된다고 생각하시는지요? 




☎ 리영희 선생  :

본래 세계 정치사를 보면 우익이라는 세력은 이해관계, 말하자면 먹을 걸 가지고 더 먹고 덜 먹고 하는 그것으로 분열해요. 소위 좌익이라는 세력은 먹을 걸 가지고서 싸우다가 분열하는 것은 아니고 오히려 이념, 이론의 세분화를 극단까지 몰고 가는 그런 나쁜 성향이 있어가지고 분열하고 자멸하는 그런 두 가지의 별도 대립하는 양상이거든요. 오히려 우익이라는 것이 가지는 그 폭력성이 있지만 그들이 하나가 되려는 모범을 좀 좌측이 채택하고 우측은 또 먹을 것을 쟁탈하는 데에서 생기는 그런 것을 이론적인 좌측의 행태에서 조금 배우고 이렇게 하면 쌍방이 다 이로울 거라고 생각합니다.




☎ 손석희 / 진행  :

지금 말씀하신 것은 큰 틀에서 말씀하신 건데요. 그게 작은 틀로 옮겨가려면 우리 현실 정치에 적용시켜서 말씀해주셔야 되는데 그 질문까진 제가 드리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 리영희 선생  :

네.




☎ 손석희 / 진행  :

70년대 대개 대학을 다닌 세대들한테 물어보면 선생님 사상에 특히 매료된 학생들 같은 경우에 ‘의식화의 은인’이라고 부르기도 했고요. 반대편에서는 또 이렇게 말씀드려 죄송합니다만 ‘의식화의 원흉’이다, 이렇게 또 부르기도 했습니다.




☎ 리영희 선생  :

그렇죠. 그건 오랜 세월 그래왔으니까 조금도 나 듣기에 거북스러운 거 없어요.




☎ 손석희 / 진행  :

그래서 7, 80년대에 굉장히 많은 젊은이들이 사실은 또 선생님께 영향을 받아서 민주화운동도 했고 또 감옥에도 다녀왔습니다.




☎ 리영희 선생  :

그랬죠.




☎ 손석희 / 진행  :

어떤 부채의식 같은 것은 혹시 없으십니까?




☎ 리영희 선생  :

있죠. 부채의식이 있죠. 난 개인적으로 그런 분들을 만날 때 늘 많은 것을 내가 죄를 지었구나 그런 생각을 해서 도덕적으로 인간적으로 굉장히 마음속으로 참 반성을 하는 거죠. 그러나 죄의식이라는 표현까지는 아니고 시대의 한 사회에서 한 시대가 변화를 요구할 때 일어나는 일반적 현상이에요. 그래서 나도 역시 그 속에서 시대가 운명적으로 요구하는 그 사회의 요구를 받아들인 거고 또 내 저서나 발언이나 사상에 공감해서 그런 어려움을 겪었던 젊은이들로 그 시대에 산 사람으로서 시민으로서 피할 수 없었던 운명의 길이라고 봐요.




☎ 손석희 / 진행  :

아마 앞장서서 가셨기 때문에 당시 그 젊은이들도 선생님께서 부채의식을 가지시라고 요구한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 같습니다만 고향이 북한이십니다. 평안북도 삭주군 대관이 고향이신데요. 누님이라든가 가족 만나시고 오신 게 제가 자료 보니까 98년에 다녀오셨고요.




☎ 리영희 선생  :

98년, 그렇죠.




☎ 손석희 / 진행  :

그러면 고향에는 혹시 지금 누님이 아직,




☎ 리영희 선생  :

아니, 가서 조카를 그쪽 당국자들이 어렵게 묻혀있는 무명의 농사꾼 조카를 찾아내 가지고 평양까지 데리고 와서 만났죠. 누님은 벌써 가셨고.




☎ 손석희 / 진행  :

그때 가셨을 때 누님 가족을 만나셨군요. 그럼. 누님을 만나신 건 아니었고요. 리영희 선생님 댁에서 인터뷰 하고 있기 때문에 뻐꾸기시계가, 정감 있네요. 이 소리가. 밤에도 혹시 이렇게 울리면 혹시 주무시는데 지장이 없으실까 모르겠네요.




☎ 리영희 선생  :

저 뻐꾸기가 아주 현명해서 해만 떨어지고 어두워지면 안 울어.




☎ 손석희 / 진행  :

(웃음)




☎ 리영희 선생  :

잘 만들었어요.




☎ 손석희 / 진행  :

정말 잘 만들었습니다. 제가 보기에도.




☎ 리영희 선생  :

어두우면 안 울어. (웃음)




☎ 손석희 / 진행  :

아무튼 요즘 남북관계도 조금 잘 안 풀리는 경향도 없지 않아 있고요. 특히나 남북관계에서 우리 한국정부가 취해야할 어떤 방향성, 이런 것은 어떻게 봐야 될까요? 




☎ 리영희 선생  :

미국은 이번에 보즈워스인가, 아마도 태도의 변화는 있을 거예요. 변화하는 태도의 변화... 지금 미국이 북한이 그동안 요구했던 평화협정체결, 정치회담 개최, 이런 요구에 대해서 50년 동안 거부해오던 것에 상당히 접근하려는 그런 표시가 있을 것 같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정부가 오히려 경직되고 북에 대한 우월감으로 잘못 한반도 상황을 오판하고 있지 않겠나, 걱정됩니다.




☎ 손석희 / 진행  :

알겠습니다. 리영희 선생님의 어떤 삶을 관통하는 신념이라고 할까요. 80평생을 지켜 오신 신념이라면 어떤 걸까요?




☎ 리영희 선생  :

흔히 얘기된 거지만 Simple Life, 검소한 생활과 High Thinking, 이념적으로 사고를 높이 가지는 그런 거죠. 구체적으로 어떤 거냐 설명하기 힘들지만 가령 흔히들 유행들이 많잖아요. 어느 정도 되면 골프 쳐야 하고 어느 정도 되면 뭘 해야 하고 그런 물적 세속적 자기방기를 거부하는 거죠. 나는. 그런 걸 다 치우고 검소하게 생활을 하면서 그래야 사고의 도덕적 논리적 수준의 높이를 순수하게 높여갈 수 있지 않나, 그런 생각이에요.




☎ 손석희 / 진행  :

알겠습니다. ‘토요일에 만난 사람’ 언론인 리영희 선생님과 함께 하고 계십니다. 선생님께서 자신의 삶을 되돌아볼 때 가장 반성하신 부분은 어떤 걸까요? 




☎ 리영희 선생  :

나는 공적인 문제에 있어선 그렇게 반성을 해야할만한 어떤 자기 부정을 해야  할만한 그런 일을 또 시도 해본일이 없으니까 그런데, 다만 내 개인의 가정생활에서 아내와 가족에게 하도 많은 고생을 시켰기 때문에 그런 문제에서는 내가 반성을 하죠.




☎ 손석희 / 진행  :

아홉 번 연행되셨고 다섯 번 구치소에 수감되셨고요. 재판도 물론 많이 받으셨고 언론계에서는 두 번 그만두셨어야 했고




☎ 리영희 선생  :

대학에 가서도 박정희 때 쫓겨났다가 박정희 죽고서 복직하고 전두환 이어서 들어오자 또 쫓겨났다가 전두환 말기에 복직해서 대학으로 돌아왔고, 그런 생활이다 보니까 나는 한국의 사회에 받아들여지지 않는, 사회에 받아들여지지 않는 게 아니라 그런 제도화된 세상에 받아들여지지 않는 완전 아웃사이더였던 셈이죠. 그러니까. 밤낮 쓴소리 하는 말이 권력자들의 비위나 거슬리고 함으로써 스스로 내가 그 체제 안에 머물길 거부했던 까닭으로 내 자신이 그런 고생을 많이 한 거죠.




☎ 손석희 / 진행  :

사모님께는 그래서 빚을 갚으셨다고 생각하십니까?




☎ 리영희 선생  :

그렇지 않아요. 사람이라는 게 이게 나이가 들수록 일생을 같이 한 사람의 젊었을 때 고생에 대해선 참 갚아질 수가 없어요. 아무리 해도.




☎ 손석희 / 진행  :

요즘은 갚으시면서 사시죠? 




☎ 리영희 선생  :

네, 그러려고 하면서 사는 겁니다. 요새는. 그런데 이제 비로소 가족과의 좋은생활이 되려고 할 때 이렇게 병이 들어서 쓰러졌으니 참 조금은 안타깝죠.




☎ 손석희 / 진행  :

뭔가를 조금 더 앞으로 한 가지라도 해보고 싶다 라고 생각하시는 건 없으신지요? 




☎ 리영희 선생  :

있죠. 내가 쓰러져서 반신불수가 된 것이 10년 됐고 좀 더 책을 볼 수 있고 쓸 수 있고 사상을 굴릴 수가 있었다면 사회적인 문제에 대해서 조금 더 보탤 수 있는 뭔가, 주로 저술이지만 할 텐데 이제 전혀 그런 것을 할 수 없게 됐기 때문에 굳이 가정을 앞세워서 ‘아, 그랬으면 됐을 걸’ 그런 생각도 안 해요.




☎ 손석희 / 진행  :

책을 더 읽고 싶다고 하셨는데요. 기자시절에도 굉장히 많은 책을, 엄청난 독서량을 가지고 계시다고 들었습니다.




☎ 리영희 선생  :

예, 꼭 공부만을 위주로 산 사람은 아닌데 술도 많이 했고 방탕도 좀 했고 남과 다름없이 그냥 살아오면서 한 가지 무지하게 독서를 한 것만은 사실이에요. 원고료가 조금 들어오면 서점에 가서 신간들 그동안에 못 본 것을 꾸려 가지고 집에 들어오는데 밤에만 와, 와서 대문 밖에 책 꾸러미를 이렇게 놓고 대문 두드려서 들어가요. 집에. 아무렇지도 않게 들어갔다가 나와서 책 꾸러미를 다시 가지고 들어오는 거야. 왜냐하면 그거 보면 집사람이나 어머니나 식구들은 어떻게 하는데 뭐 책만 사오냐고 좋아하지 않거든. 그래서 그런 수법으로 하면서까지 굉장히 독서를 많이 했죠.




☎ 손석희 / 진행  :

최근에 그러면 읽으신 적은 어떤 게 있으십니까? 요즘은 책 읽기 힘드시다고  하셔서요.




☎ 리영희 선생  :

이 눈 때문에 그렇고 또 정기가 쇠약하니까 오랜 시간 못 보죠.




☎ 손석희 / 진행  :

얼마 전에 <레미제라블>을 다시 원서로 다 떼셨다면서요? 




☎ 리영희 선생  :

네, 1천 8백 페이지인데 형무소 들어가서 읽은 것을 이제 한 20년 지나서 또 한 번 읽고 싶어져서 그랬습니다.




☎ 손석희 / 진행  :

오늘 그 방송 듣는 많은 젊은이들이 많이 좌절할 것 같습니다. 아파트에 사시는데 제가 들어올 때 보니까 아파트에 문패가 걸려 있어요. 대개 아파트에는 문패가 잘 안 걸려 있는 편인데 거신 이유가 혹시 있으십니까?




☎ 리영희 선생  :

난 언제나 개인의 권위, 인격, 독립적 사유, 판단, 가치, 이런 걸 중요시하기 때문에 집단으로서의, 난 사실 국가보다 개인의 인간의 중요성을 더 앞세워요. 그렇게 거창하게 나가지 않더라도 내가 7년 동안을 6.25에 군인으로서 군번으로 살아왔단 말이에요. 6.25에 남들은 3년 반 하니까 제대했는데 연락장교, liaison officer라고 하는데 흔히 통역장교라고도 하던데 후에. 잘 하니까 안 놔줘. 휴전이 됐는데도 못 나왔다고요. 그래서 7년을 했어요. 7년 동안... 거기서 굴복한 채 7년 사는 동안에 번호로만 불렸단 말이에요. 나는 없고, 나의 가치는 없고 오로지 번호. 그 다음에는 이 군부독재 정권 하에서 여러 차례 형무소를 드나들면서 그때마다 소위 수번호, 이 번호로 가슴에다 번호를 적어 가지고 그걸로 불리었고 그 번호가 하여간 나를 대신했어. 그것이 내가 견딜 수 없는 정신적인 상처를 입은 거예요. 그래서 그것에 대한 보상을 위해서 했다면 뭐 되지도 않는 일이지만 싫으니까 번호보다 내 이름 문패를 걸어놓은 거예요.




☎ 손석희 / 진행  :

마지막으로 질문 드리겠습니다. <전환시대의 논리>라는 책이 제가 처음에 말씀드렸습니다만 뜻하지 않게 베스트셀러가 된 그런 시대에 어떤 말씀을 주시고 싶으실까요? 




☎ 리영희 선생  :

괴테가 후배들에, 또는 동료문학인들에 대한 충고를 말해달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뭐라고 답변했느냐 하면 나의 충고를 지키지 않아도 좋다는 그 전제 하에서 충고를 하겠다 뭐 이랬거든요. 이건 뭐 10년, 20년 사이의 변화도 막 심하고 내일 어떻게 될지 이 자연현상까지 포함해서 정치제도의 변화도 그렇거니와 누가 감히 어떤 자신을 가지고 예견하고 그에 대해서 후에 따라오는 사람들에게 권고하거나 충고할 자격이 없다고 생각해요. 난 없어요. 난 없어.




☎ 손석희 / 진행  :

알겠습니다. 오늘 여러 가지로 솔직하시고도 또한 귀한 말씀 잘 들었습니다.




☎ 리영희 선생  :

고맙수다.




☎ 손석희 / 진행  :

귀한 시간 내주셔서 감사드리고요.




☎ 리영희 선생  :

뭐, 아무런 알맹이 없는 얘기가 되지 않았나 오히려 그게 걱정입니다.




☎ 손석희 / 진행  :

아닙니다. 감사드리고 늘 건강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리영희 선생  :

예, 그래야겠어요.

2009/12/12 00:29 2009/12/12 00:29
뉴익

이시발 진짜 장난이 아닌데;;
뭐 이러냐...

진소리

구체적이라 더 눈길이 갑니다요~ 퍼갑니다

Posted
Filed under 잡다한정보/정치&사회
다음 위젯뱅크라는곳에서 엠비트래커라는 위젯을 배포하고 있다. 이명박대통령 취임 이후 일어난 사회적 이슈를 제공하는 위젯이라고 한다. 흥미는 있지만 블로그가 더러워질것같아 달고 싶지는 않고 그런데 포스팅은 하고싶고 해서 그냥 이렇게 붙여넣는다.

http://widgetbank.daum.net/widget/view/528?beforePage=7&bottomId=535&topId=547&bottomCnt=1347&topCnt=208&sortType=NEW&searchKeyword=&categoryId=0&tagId=0&totalCount=329&currentPage=8&pageBottomId=523&pageTopId=534&pageBottomCnt=1609&pageTopCnt=186


그 외에도 재밌는 위젯들이 많으니 한 번 리스트를 죽 보는것도 괜찮을것 같다.

http://widgetbank.daum.net/widget/sub.do?sortType=NEW
2009/12/05 14:58 2009/12/05 14:58
Posted
Filed under 잡담
KMA 한국능률협회에서 댓글을 달면 연탄 한장을 배달해주는 이벤트를 하고있다.
http://www.kma.or.kr/event/love_briquet_board_20091129.htm

삼성생명에서 소망램프라는 기부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클릭당 1,000원을 후원해준다고 한다. 네 개의 사연들이 있는데 모두 클릭해주자. 사연은 정기적으로 갱신된다.
http://www.samsunglife.com/company/service/lifetime/service_lamp_03V.jsp


2008/10/03 09:56
1. 싸이월드는 로그아웃 할 때마다 미아찾기 캠페인 화면으로 이동한다. 가끔씩 눈살이 찌푸려지는 댓글들이 있기는 하지만 그 의도는 훌륭하다.

그리고 나도 세계를 향해 발신할 수 있는 블로그라는 발신기를 가지고 있는 만큼 그런 흐름에 동참하기 위해 미아찾기 배너를 달기로 했다. 과연 이 작은 움직임이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움직이지 않는 것보다 백배천배 낫다고 본다. 얼마나 카운트가 올라갔는가만 세고 있었던 구글 애드센스를 붙여놓았던 시절보다 마음이 가득 찬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이 배너는 우리나라에 미아라는 개념이 완전히 사라지는 날 제거된다.


테터툴즈용 미아찾기 플러그인은 아래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http://retro.tattertools.com/ko/bbs/view.php?id=plugin&page=1&sn1=&divpage=1&sn=off&ss=on&sc=on&keyword=finding&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491

텍스트큐브용 미아찾기 플러그인은 아래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http://notice.textcube.org/ko/12


2. 블로그의 왼쪽 아래 사이드바를 보면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밑에 두 개의 배너가 달려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얼마전까지는 세 개였는데 하나가 줄어들었다. 이 배너들은 아름다운 세상을 만드는데 블로그라는 매체가 미력이나마 보탤 수 있게 해 주는 힘을 가지고 있다.
그 첫번째는 나눔배너라고 해서 현재 배너 우상단에 보면 2337(숫자는 바뀔 수 있다)이라는 숫자가 있는데 이것은 블로그에 이 배너를 달고 있는 사람들의 숫자를 의미한다. 나눔배너 2.0 이라는 이 배너는 DONUS CAMP라는 단체에서 후원하는데 한 사람이 배너를 달 때마다 2000원의 기금을 공부방 아이들에게 후원한다. 자세한 설명을 보자.
---------------
나눔배너 2.0은 블로그에서의 나눔과 소통을 위한 배너로
자신의 블로그에 달고 있으면
매달 다른 프로그램으로 공부방 아이들에게 1000원씩 기부됩니다.

여기에 매칭펀드 방식으로 1000원이 더해져
매달 총 2000원이 도너스캠프 공부방 아이들에게 기부되지요.
프로그램은 2008년 말까지 지속됩니다.

나눔배너 2.0의 자세한 내용과 다는 방법, 소스 받기는 아래 링크에서 가능합니다.
나눔배너 2.0을 달면 매달 공부방 아이들이 행복해져요
http://donorscamp.tistory.com/entry/donationbanner20
---------------


3.  그 다음에 있는 배너에는 노란 바탕에 Hunger Site 라는 글씨가 쓰여져 있다.

굶주리는 아이들에게 한끼의 식사를

이 곳을 클릭해서 들어가면

Click Here to Give - it's FREE!

라는 버튼과 만나게 되는데 이 버튼을 꾹 눌러주자. 버튼을 클릭할 때마다 이 사이트의 스폰서들이 어려운 나라에 한 컵의 음식을 보내게 된다. 하루에 한 번 참여할 수 있으니 매일매일 참여하자. 10초밖에 안걸린다.


4. 원래 그 밑에는 미얀마 배너라고 한개 배너가 더 있어서, 배너를 달면 풀무원에서 한 명당 2000원씩 카운트해 얼마전에 있었던 미얀마 태풍피해에 대한 원조금을 보내기로 했었다. 현재는 이벤트가 종료되었는데 생각보다 배너를 단 사람이 많지 않았다고 한다. 홍보가 부족한 탓이었을까. 아래 사이트에서 좀 더 상세한 설명을 읽을 수 있을 것이다.
http://blog.pulmuone.com/116


사실 원조를 받는 사람들에게는 어떤 돈이든 소중하고 큰 돈이겠지만 어쨌든 1년에 수백억, 아니,  몇 조를 굴리든 대기업들에게 있어서 몇 백만원, 몇 천만원이란 그렇게 빼 내기 어려운 항목이 아니라는 것 정도는 알고있다. 그 돈이 하찮다는 얘기가 아니다. 조금만 더 나누려는 마음을 가지는 것 만으로 세상을 조금 더 살만한 곳이 될 수 있다. 대기업에서 이런 이벤트를 더욱 더 많이 벌여서 내 블로그가 배너로 점철된 페이지가 돼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2009/12/05 14:47 2009/12/05 14:47
Posted
Filed under 드라마&영화
(以下引用)
「実は映画化が決定したんです。
来年3月から撮影開始です。
最終回以降のストーリーを映画が引き継ぐ形になると思います」(テレビ局関係者)
(以上引用 女性自身)

영화화가 결정되었습니다.
내년 3월부터 촬영이 시작됩니다.
최종화 이후의 스토리를 영화가 이어받는 형식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방송국 관계자왈)

이상 `여성자신`에서 인용


...그렇다고 하는군요. 가서 봐야겠슴.

출처
http://entamegeinounotubo.seesaa.net/article/133156064.html



추가.

그런 이유로 TV의 최종화는 사실상 최종화가 아니게 된다고 한다. 여름 목표로 개봉예정.

...뭣이라!!!!!!!!!!!


http://entamegeinounotubo.seesaa.net/article/133753193.html
2009/12/02 00:51 2009/12/02 00:51
Posted
Filed under 잡다한정보/정치&사회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가 쓴 글에서 절제되고 또한 정제된 그의 분노를 본다.

그 분노는 너무도 뜨겁고 또한 너무도 차가워서 섣불리 가까이갈 수조차 없을만치 위협스레 느껴지지만

모두에게 기회를 주는 공평한 사회를 만들고 싶다는 그의 서슬퍼런 의지를 보고

나는 유시민의 동지가 되어 어깨동무하고 같이 그 고통스런 가시밭길을 기꺼이 걸어나가고자 한다.
2009/11/23 23:04 2009/11/23 23:04
Posted
Filed under 드라마&영화
매주 일요일 9시에 방영. 오늘 왜인지 10시에 시작하는줄 알고 집에 도착해서 못봤다-_-;;

시간이 남았으니 감상이나 써 보도록 한다...



JIN은 슈퍼점프 2000년 9호부터 시작해 아직 연재되고 있는 만화를 원작으로 한 드라마이다. 현재 16권까지 발매되어 있는데 기본적인 내용은 현대에서 의사였던 사람이 어쩌다가 에도시대로 타임슬립하여 당시의 재료나 상황에서 현대의학기술을 적용하면서 나타나는 에피소드를 그리는 것이다.
아니타마 라디오에서 두번인가 소개한 적이 있었지만 그냥 그런가보다 하고 넘어갔다가 TV를 켰더니 JIN을 드라마로 방송한다는 광고를 보고 음... 한번 볼까? 하고 본게 이 드라마와의 첫만남이었다.

첫회는 특집식으로 2시간을 방영했고 그 이후부터는 광고포함 약 1시간정도의 분량을 가지고 있다.

난 일본드라마는 이상하게 배우들 연기가 붕 뜬다는 느낌을 받아서 보통 보지 않지만 그날은 할일도 없고 만화원작이라는 내용에 흥미도 생기고 해서 함 봤는데 이건 뭐 그냥 감동의 도가니로 나를 확 밀어넣어 주시더라... 드라마보다가 감동받아서 운건 아마 이게 처음이 아닌가 싶지...

솔직히 배우가 완전히 그 캐릭터가 되어서 연기하는 작품을 본것 자체도 오랫만인것 같은 느낌도 든다. 이쁜데 연기도 열심히하는 아야세 하루카도 그렇고 압도적인 연기력의 나카타니 미키도 그렇고 주인공인 오오자와 타카오씨도 잘 하시고... 발음 새는게 좀 신경쓰이긴 하지만 뭐...

BGM도 짠하게 마음을 울린다... 대사도 대사지만 내가 운 건 BGM탓도 크다. 나쁜 BGM... 사운드트랙을 사야할듯.

한화한화 일일이 감상평을 쓰는건 내 취향이 아니니 아래 블로그를 보는게 나을듯 싶다.
http://luvspreads.egloos.com/2752367
'같은 카테고리의 글'을 선택하면 JIN에 대한 다른 글들도 읽을 수 있다.


나만 그렇게 재미있게 보는 것도 아닌 모양인지 이런저런 감상평도 많이 올라온다. 2ch는 패스.
http://tv.so-net.ne.jp/drama/ranking/vote.action?id=101200904019



*드라마 JIN은 이곳에서 볼 수 있을듯...
http://search.daum.net/search?nil_suggest=btn&nil_ch=&rtupcoll=&w=vclip&m=&f=&lpp=&q=JIN+%C1%F8

*JIN 위키페이지
http://ja.wikipedia.org/wiki/JIN-%E4%BB%81-

*슈에이샤 JIN 소개페이지
http://sj.shueisha.co.jp/contents/jin/index.html

*TBS 드라마 JIN 소개페이지
http://www.tbs.co.jp/jin2009/
2009/11/22 22:56 2009/11/22 22:56
Posted
Filed under 잡다한정보/일본생활
이올린에 흥미로운 제목의 포스팅이 올라왔다. 내가 다니는 동경대 식당에 대한 사진과 설명을 해 놓았는데 나는 이런 류의 포스팅을 하지 않기 때문에 내가 어떤 곳에서 밥을 먹고 있나... 하고 궁금한 사람들에게는 도움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 싶어 포스팅한다.

링크를 첨부하니 원문을 읽어주기 바란다.

http://endeva.tistory.com/1379


P.S 그냥 한마디만 하자면, 혼자 먹는 비율이 많은 건 일본 자체의 특성이라 본인들이 외로워하거나 하는건 특별히 없다...
2009/11/13 12:38 2009/11/13 12:38
Posted
Filed under 배드민턴/기타정보
http://www.weloveall.org/
ラブオール : 동대+오챠노미즈대 : 화,목,토

http://s1.shard.jp/space/
Space Shuttle : 동대+오챠노미즈대 일,수,금

http://www2.pf-x.net/~hikousen/
ひこうせん : 동대+동경여자대



http://www.geocities.jp/tokyo_unbad/
東京大学運動会バドミントン部

http://www43.tok2.com/home/tba/
東京大学バドミントン同好会

http://homepage2.nifty.com/tetsubado/
鉄門バドミントン部 : 본격적
2009/11/08 22:46 2009/11/08 22:46
Posted
Filed under 잡다한정보/일본생활
일본에서 컴퓨터로 TV를 보는법은 두가지가 있다.

하나는 원세그 수신장치를 다는 것.

또 하나는 TV수신카드를 다는 것.


현재 일본은 2011년을 끝으로 아날로그 방송을 중단하고 지상파디지털로 전면 전환을 예정하고 있는데 이 지상파채널을 점유하는것이 원세그이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1개 채널은 13개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져 있는데 HDTV는 12세그먼트를 사용하므로 남은 세그먼트 1개에 저화질 영상을 쏘는 방식이라고 할수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조

http://e-words.jp/w/E383AFE383B3E382BBE382B0.html


다만 원세그는 한개 세그먼트만을 사용하는 만큼 화질은 그리 좋지 않아서, QVGA(320*240) 사이즈의 해상도를 가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휴대전화와 같이 액정이 작고 이동하면서 볼 수 있는 휴대기기용으로 쓰이고는 있지만 일반 데스크톰에서도 USB장치를 이용하면 수신할 수 있다. 제품은 상당히 다양한 편이다.

http://kakaku.com/pc/pc-1seg/ma_0/


다만, 역시 데스크탑으로 TV를 볼 거라면 큰 화면으로 보고 싶다. 최근에는 Full HD를 지원하는 모니터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기왕이면 아예 제대로 된 TV수신카드를 사용하는 것도 괜찮을 듯 싶다. 다만 지상파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비디오카드가 COPP, 비디오카드와 모니터가 둘 다 HDCP라는 복사방지 규격을 지원해야 하는데 웬만하면 최근의 제품들은 모두 이 규격을 지원하고 있으니 특별히 문제는 없을 듯 싶다.



자신이 사는 지역에서 지상파디지털방송이 잡히는지에 대한 확인은 이곳에서 할 수 있다.

http://vip.mapion.co.jp/custom/DPA_B/



자신의 컴퓨터가 지상파디지털 방송을 처리하는데 충분한 사양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아래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확인할 수 있다. 버팔로사의 제품을 위한 테스트 프로그램이지만 다른 회사의 것을 쓴다고 해도 체크 자체에는 특별히 상관은 없다.

http://buffalo.jp/download/driver/multi/pcasthdpccheck.html



제품의 종류는 상당히 여러가지가 있는데 여기서는 아예 물건을 찝겠다

http://www.amazon.co.jp/%E6%81%B5%E5%AE%89-KTV-FSUSB2-USB%E6%8E%A5%E7%B6%9A-%E3%83%95%E3%83%AB%E3%82%BB%E3%82%B0-%E3%83%AF%E3%83%B3%E3%82%BB%E3%82%B0TV%E3%83%81%E3%83%A5%E3%83%BC%E3%83%8A%E3%83%BC/dp/B001P0CMSM/ref=sr_1_2?ie=UTF8&s=electronics&qid=1257063827&sr=1-2

http://www.amazon.co.jp/%E3%83%A1%E3%83%A2%E3%83%AA%E3%83%BC%E3%82%B9%E3%83%86%E3%82%A3%E3%83%83%E3%82%AF%E3%83%A0%E3%83%BC%E3%83%96%E6%A9%9F%E8%83%BD%E5%AF%BE%E5%BF%9C-PCI-LowProfile%E5%AF%BE%E5%BF%9C-%E7%94%A8%E5%9C%B0%E3%83%87%E3%82%B8%E3%83%81%E3%83%A5%E3%83%BC%E3%83%8A%E3%83%BC-DT-H10/dp/B002BY4XII%3FSubscriptionId%3D0571BBGTQZ5YYPEDSY02%26tag%3Dkakaku-ce-22%26linkCode%3Dxm2%26camp%3D2025%26creative%3D165953%26creativeASIN%3DB002BY4XII%26me%3dAN1VRQENFRJN5

강력한 녹화기능까지는 필요하지 않고 그냥 적당한 가격에 사서 TV를 보고싶다... 하는 사람에게 적당하다.


인기랭킹은 이곳

http://www.coneco.net/masterranking/01507030.html



KTV-FSUSB2/PCIE 관련한 개조정보는 아래에서 얻을 수 있다.

http://warehouse.xrea.jp/ktv/
http://tvtest.uuuq.com/
http://arkouji.cocolog-nifty.com/blog/2009/10/ktv-fsusb2ts1-c.html
2009/11/01 16:43 2009/11/01 16:43
Posted
Filed under 잡다한정보/일본생활
답변] Re:며칠전에 글 올렸던 맨션 수리비 더 청구당한 사람입니다. 재판까지 생각하고 있습니다. 정보 부탁드립니다.| 일본 생활 Q&A
wickedjean 조회 218 | 09.06.05 12:36
언젠가 일본 라디오에서 시키킹 반환에 대해서 들었는데, 생활에 의한 기스및 가구를 놓았던 자국및 약간의 자연스러운 얼룩등 ( 왜 냉장고등 계속 한자리에 두면 나중에 살짝 벽지의 색깔등이 차이가 나잖아요)... 즉, 거주하면서 시간에 따른 자연스러운 얼룩등에 대해서는 법적범위내에 인정이 된다는 내용이었고요, 일본인들도 많은 사람들이 그냥 오야가 시키킹 반환 안된다고 하면... 몰라서...  억울하지만 많이들 겪는 문제라고 하더군요.

 

집주인들중에 자신이 새로운 새입자를 위해서 들여야하는 당연한 비용( 벽지등 새로 하기)를 터무니없이 이사하는사람에게

청구하는 경우가 제법있는듯 싶더라구요.  당황하지 마시고 꼼곰하게 살펴서 대응하시고요,

전에 이와관련된 글을 제가 보아서 혹시나 해서 제 블로그에 저장해두었던것을 올립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하구요,

또한 시키킹 관련 싸이트도 함께 링크하니... 잘 해결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추신' 일이 다 마무리되면, 일의 진행과정및 결과를 올려주신다면 여러사람들에게 많이 도움이 될듯 싶어요.  

 

1. 시키킹감정사협회

   

    찾아보니 시키킹 감정사 협회라는 곳이 있는데,

    오야에게 그냥 웃으면서... 시키킹 감정사 부르겠다고 해보세요.

    (필요하면 신청하고...물론, 수수료야 들지만 반환되는 시킹킹 금액을 생각하면...)

    그렇게 해서 시키킹을 90% 돌려받은 사례가 있네요.

   

   

    http://www.j2t.jp/category/1175498.html

 

 

2.  아래 실 사례와 대처법에 대해 퍼왔으니, 한번 직접 고소하시는것도 좋을듯 하네요...ㅎ

   ( 불법 펌질로 오해 마시길..^^;; )

 

-----------------------------------------------------------------------------------

 

東京都都市整備局 賃貸ホットライン03ー5320ー4958(直通)에 도쿄의 부동산관련에 관한 문제에 관해서 상담하고 있습니다.그리고 혹시라도 더 의심이 간다든지(부동산은 큰 돈이 들기에)한다면 어떤 업자인지 찾아볼 수 있습니다.사이트 참고하시고요.http://www.toshiseibi.metro.tokyo.jp/juutaku_seisaku/490etsuran.htm

도쿄도청제2청사3층북쪽都市整備局住宅政策推進部不動産業課7번창구에서 수요일오후를 제외한(수요일오전ok) 평일09:00-11:00,13:00-16:00시간에 면허의유무,과거의 행정처분등의 경력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단 열람수수료가 300엔 듭니다.

 

 

[사례] 동유모에서 퍼왔습니다.

저는 일본에 온지 벌써 5년째 되는 회사원입니다.

 

작년까지는 학생이었죠,,,

 

저는 2006년 2월27일 모 부동산을 통해 집을 2년간 계약 하였습니다.

사는 동안 이런 저런일 있었지만 지난일은 다 접어둔다 치고,,,

 

집계약이 끝나 이사를 가기 위해 해약을 하였습니다.

거거까지진 좋았죠,,

 

2008년 2월 27일 계약 만료일

이사는 전부 끝내고 집안에 먼저하나 없게 한 다음 부동산 업자에게 검사를 받았습니다

 

원상복귀 금액으로 약 215000엔을 청구 받았습니다, 원아닙니다. 엔입니다.

 

뻑이갔죠,, 우치와케를 알려달라고 했더니, 아래와 같이 알려줍디다..

 

1, 냉장고 세워둔 벽 검은색으로 벽지가 그을린자국-벽지 다 간다고 몇만엔,,

    (일상 생활상 어쩔수 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돈 안내도 됨,, 동경도청에서 확인함)

2, 바닥에 카펫트였습니다만, 가구 다리 자국. 즉 카펫트위에 무거운거 두면 살짝 파인 자국이

남지 않습니까?? 그겁니다.

  (이것도 도쿄도청에 물어봄, 돈안내도 됨)

3,처음 입주할때 무조건 나갈시에는 84000엔의 청소 비용을 내야한다는 계약 조건이었다함,,

-->이거에 대해서는 저는 가지고 있지 않는 계약서를 부동산업체가 가지고 있었습니다.

  내가 싸인한,,,, 기억엔 없지만,,, (통상적으로는 퇴실할시 청소비용 안내도 됨-도쿄도청에 확인)

 

합계 약 215000엔!!!  

 

말도 안되고,,뻑도 가고,, 외국인 여자 혼자라고 무시하는것 같아서,,

돈안내고 살짝 잠수탈까 생각도 했지만,,(시키킹11만5천엔 아깝지만 도둑맞았다 생각하고,,)

코를 납작하게 만들고 싶어서 재판걸었습니다..쳇,,

 

간이재판이므로 그렇게 복잡한건 없이 총 비용 약 만엔 이하입니다.

대신 변호사 없이 혼자 나갑니다..

 

4월10일 오후1시30분,,, 약 1시간 반에 걸친 재판이 끝나고,,,

재가 처음에 걸어두었던 시키킹11만5천엔에서,,

청소비용 낸다고 싸인한 계약서도 있고 해서,,2만5천엔 합의로 주고,,

나머지 9만엔 돌려 받는것으로 결론이 났습니다..

(도쿄도청의 말로는 크게 이긴거라고 했습니다)

 

그 망할 부동산,, 저의 재판말고도 그날 2건 더 있었습니다.

맨날 재판만 당하고 있는 회사인거죠,,

 

제가 여기서 말하고 싶은것은,,

 

여러분 절대로 집 계약 하실때 계약서 작은 글이라도 다 읽어보십시오,,

어딘가 콩알만한 글씨로 불리한 조건이 적혀있을수도 있습니다.

아님 계약서 코피한 다음 도쿄 도청의 칭타이 홋토라인이라는 곳으로 가서 물어보십시오,,

 

제가 재판에 이르기까지 도와주신분은

도쿄도청의 칭타이 홋토라인이라는 곳입니다.--> 상담할수있고, 무료 변호사 소개해줌..

 

지금 계약하신분들도 계약서 다시 확인 하십시오,,

 

그리고 여기서 제가 그 모 부동산 이름을 안밝히는것은,,,

동유무에도 선전을 하고 있는 일본 회사이기 때문입니다.. 영업방해로 고발당할까봐,,ㅋㅋ

 

개인적으로 꼭 알고 싶으신 분만 쪽지로 연락주세요,, -이래도 될러나,,

 

길게 써서 정말 죄송하지만,, 전 이일때문에 1개월반동안 잠을 못잤습니다..

 

저놈들 꼬 좀 납작해 졌을까요???
2009/10/29 23:28 2009/10/29 23:28
Posted
Filed under 잡다한정보/해외출국
무료로 맡길 수 있는 짐의 크기와 무게


  미주 출도착 구간 미주 외 구간 한국 국내 구간
일등석

각 수하물의 무게가 32kg/70lbs 이하이며
최대 3변의 합이 158cm/62ins 이내의 짐 2개

40kg/88lbs -
프레스티지석 각 수하물의 무게가 32kg/70lbs 이하이며
최대 3변의 합이 158cm/62ins 이내의 짐 2개
30kg/66lbs 30kg/66lbs
일반석 각 수하물의 무게가 23kg/50lbs 이하이며
최대 3변의 합이 158cm/62ins 이내의 짐 2개

※ 단, 2개의 합이 273cm/107ins를 초과하지 않아야 함
※ 브라질 출도착 여정(브라질 내에서 구매한 항공권에 한함)은 32kg/70lbs 이하의 짐 2개 적용
20kg/44lbs 20kg/44lbs
소아
(만 12세 미만)
성인과 동일
유아
(만 2세 미만)
크기가 115cm/45ins 이하이면서 무게가 10kg/22lbs 이하인 가방 1개
+ 접는 유모차, 운반용 요람, 유아용 카시트 중 1개
접는 유모차, 운반용 요람, 유아용 카시트 중 1개

- Note 1. 크기는 가로, 세로, 높이 각 변의 합을 의미합니다.
  즉, 크기가 158cm/62ins 이내라는 것의 의미는 그림과 같습니다.
- Note 2. 미주 구간과 미주 외 구간의 정의
  * 미주 구간 : 캐나다, 미국 및 미국령, 멕시코, 중남미 출도착 편 등 태평양
횡단 구간 (해당 클래스 수하물의 무게와 개수에 제한을 둡니다.)
* 미주 외 구간 : 한국 지역 국내, 일본, 유럽 등 미주 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
(수하물 개수에 상관없이 무게에 적용 받습니다.)
 
- Note 3. 수하물 개당 최대 무게는 32kg/70lbs, 크기는 158cm/62ins입니다.
 
* 맡기시는 짐은 공항의 수하물 시설을 이용하여 인력에 의해 항공기로 옮겨집니다. 따라서, 작업자의 안
전을 위해 1개의 짐은 탑승하는 좌석 등급과 초과 수하물 요금의 지불과 관계없이 32kg/70lbs 이하로 제한되며, 삼변의 합이 158cm/62ins를 초과하는 물품은 운송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Note 4. 대한항공 이용 시 스카이패스 회원 등급에 따라 다음과 같이 추가로 더 맡기실 수 있습니다.
 
(단, SkyTeam 항공사 또는 타 항공사가 운항하는 공동 운항편 이용 시에는 제한될 수 있습니다.)

* 모닝캄 클럽 : 미주 이외 구간 여행 시 10kg/22lbs 추가
* 모닝캄 프리미엄 클럽 : 미주 이외 구간 여행 시 20kg/44lbs 추가, 미주 구간 여행 시 짐 1개 추가
* 밀리언 마일러 클럽 : 미주 이외 구간 여행 시 30kg/66lbs 추가, 미주구간 여행 시 짐 1개 추가
 

기내로 가지고 갈 수 있는 짐의 크기와 무게


좌석등급 개수 무게 크기(가로+세로+높이)
일등석,프레스티지석 2개  18kg/40lbs 55 + 40 + 20 (cm)
또는 3면의 합 115cm/45ins 이하
일반석 1개 +
추가 허용품목 1개
12kg/25lbs 55 + 40 + 20 (cm)
또는 3면의 합 115cm/45ins 이하

- Note 1. 일반석 고객 추가 허용 품목 : 노트북 컴퓨터, 서류가방, 핸드백 등 중 1개
 
- Note 2. 바이올린과 같이 크기가 115cm/45ins 이하의 악기는 무료로 기내에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단,
 
115cm/45ins를 초과하는 첼로, 더블베이스, 거문고 등과 같은 대형 악기는 별도의 좌석을 구입하셔야 합니다.
 
 
- Note 3. 미국 출발편 및 미국 국내선 연결편
 
강화된 보안 절차로 인해 미국 출발편 및 미국 국내선 연결편에서는 탑승하시는 좌석 등급과 관계 없이
수하물 1개 및 추가 허용품목 1개로 제한됩니다.


해외 출발 시, 현지 공항 보안 규정에 따라 휴대 수하물의 크기, 개수, 무게 등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도 출발의 경우, 탑승 클래스와 관계 없이 1개의 휴대 수하물과 랩탑(lap top) 컴퓨터만 가능)
 

초과 수하물 요금
   
 
무료 수하물 허용량을 초과한 경우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요금이 부과됩니다.
 

여행구간 요금규정
한국 내 국내선 kg당 해당 구간 일반석 성인 편도운임의 3%
미주 구간 * 일등석/프레스티지석 : 무료수하물 개수를 초과하는 32kg 이하의 수하물에 대해,
  초과 수하물 요금이 징수됩니다.
* 일반석 :
  1) 수하물이 2개 이하라도, 23kg 초과 32kg 이하인 경우, 아래와 같이 초과 수하물
      요금이 징수됩니다 :
      - 한국발 : 50,000원
      - 미국발 : 50 USD
      - 캐나다발 : 60 CAD
  2) 무료수하물 개수를 초과하는 32kg 이하의 수하물에 대해, 초과 수하물 요금이
      징수됩니다.

* 예외 : 브라질 출도착 여정(브라질에서 구매한 항공권에 한함)은, 32kg(70lbs) 이상
           의 수하물에 대해, 초과 수하물 요금이 징수됩니다.
           단, 각 수하물의 최대 3변의 합이 158cm 이내이며, 2개의 합이 273cm
           (107ins)를 초과하지 않아야 합니다.
미주 외 구간 IATA가 공시한 일반석 성인 정상 편도 운임의 1.5% (kg당)
(IATA 공시운임은 대한항공 서비스센터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IATA 공시운임이란?
IATA(국제항공운송 협회)에서 공시한 국제표준운임

* 예외 : 1. 호주/뉴질랜드발 구간 : 1%
  2. 유럽발 한국행 구간 (대한항공 직항 구간): EUR 30

- 미주 구간 : 캐나다, 미국 및 미국령, 멕시코, 중남미 출도착 편 등 태평양 횡단 구간
- 미주 외 구간 : 한국 지역 국내, 일본, 유럽 등 미주 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
 

운송 제한 품목
   
운송 금지 품목

  아래의 제한 품목은 기내 반입이나 수하물로 맡기는 것이 금지 되어 있습니다.
* 페인트, 라이터용 연료와 같은 발화성/인화성 물질
* 산소캔, 부탄가스캔 등 고압가스 용기
* 총기, 폭죽 등 무기 및 폭발물류
* 기타 탑승객 및 항공기에 위험을 줄 가능성이 있는 품목
 
기내 반입 제한 품목

  모든 종류의 도검류, 골프채, 곤봉, 가위, 손톱깎기, 배터리 등과 같이
타 고객에게 위해를 가할 수 있는 품목의 경우 휴대하고 탑승하실 수
없으며, 이러한 품목은 위탁수하물에 넣어 탁송하여 주기시 바랍니다.
 
제한적으로 운송이 가능한 품목

  다음과 같은 물품은 소량에 한하여 기내로 반입이 가능합니다.

* 소량의 개인용 화장품 및 여행 중 필요한 의약품

$2
한국 EU 동/서남아 중국 미주

* 1개 이하의 라이터 및 성냥 (단, 라이터, 성냥의 기내 반입은 출발지 국가별 규정이 다를 수 있습니다.)
* 항공사 승인을 받은 의료 용품, 드라이 아이스 등
 
위탁 수하물 탁송 제한 품목

노트북 컴퓨터, 핸드폰, 캠코더, 카메라, MP3 등 고가의 개인 전자제품, 화폐, 보석류, 귀금속류, 유가증권류, 기타 고가품, 견본류, 서류, 파손되기 쉬운 물품, 부패성 물품 등은 수하물로 위탁이 불가하오니 직접 휴대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러한 물품의 운송 도중 발생한 파손, 분실 및 인도 지연에 대하여 대한항공은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단, 미국을 출/도착하는 국제선 여정인 경우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경우 승객은 분실된 물품의 존재 및 그 가액을 증명하여야 하며,대한항공은 수하물 고유의 결함, 성질 또는 수하물의 불완전에 기인한 파손의 경우는 책임을 부담하지 않습니다.
국제선 초과 수하물 요금

각 다음표는 대표 목적지별 국제선 초과 수하물 요금의 예를 보여줍니다.
현지 통화 사정에 따라 해외 출발 초과 수하물 요금이 달라질 수 있사오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주 구간
출발도시 도착도시 1개당
초과요금(원)
인천 50,000
호놀룰루 90,000
앵커리지 110,000
로스앤젤레스 110,000
샌프란시스코 110,000
밴쿠버 110,000
아틀랜타 135,000
댈러스 135,000
워싱턴 135,000
뉴욕 135,000
시카고 135,000
토론토 135,000
멕시코시티 135,000
과테말라 150,000
콜롬비아 160,000
브라질 180,000
 

※ 23kg 초과 32kg이하 수하물에 대해서는 한국 발 30,000원/미국 발 USD 25불/

    캐나다 발 CAD 35불의 초과 수하물 요금을 징수합니다.(초과 수하물 요금은 출발지

    국가에 따라 상이 합니다.)

※ 타 항공사 연결편이 있는 경우 다른 규정이 적용될 수 있으니 이점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미주 외 구간
출발도시 도착도시 초과수하물요금(원/Kg당)
인 천 칭다오 4100
오사카 4300
텐진 5000
베이징 5300
도쿄 5200
마닐라 7100
홍콩 7100
호치민 9600
방콕 10400
싱가포르 11400
자카르타 13000
뭄바이 17200
두바이 19300
모스크바 21600
오클랜드 22600
푸랑크푸르트 23800
파리 23800


출처 : 대한항공
2009/10/04 15:53 2009/10/04 15:53
Posted
Filed under 잡다한정보
구분 표준요금제 이동전화 할인요금제
가입비 무료
설치비 10,000원/1회
(택배수령 후 직접설치시 면제)
기본료 2,000원 4,000원
시내요금 38원/3분
시외요금
이동전화 요금 11.7원/10초 7.25원/10초
국제전화 요금 미국 외 주요 20개국(유선전화로 걸 때) 50원/1분, 국제 SMS 150원/1건
* 국제전화 국번(식별번호)을 002로 이용시에만 적용 됩니다.
SMS myLG070 가입자간 : 10원/건
myLG070 → 휴대폰 : 15원/건
myLG070만의
혜택
군대 1633전화기에서 체크카드 → myLG070의 070번호 : 무료
학교 1633전화기 → myLG070의 070번호 : 무료
* LG데이콤 국제전화 요금은 002 IP 스페셜 가입시 적용요금으로 해당국가 유선착신 기준이며 이동전화 착신 등 자세한 사항은 아래
  "국제 전화 국가별 요금보기" 참조

출처 : http://www.mylg070.com/service/070_pay.html
2009/10/02 11:17 2009/10/02 11:17
Posted
Filed under 음악감상실


You Raise Me Up

When I am down and, oh my soul, so weary;
When troubles come and my heart burdened be;
Then, I am still and wait here in the silence,
Until you come and sit awhile with me.

You raise me up, so I can stand on mountains;
You raise me up, to walk on stormy seas;
I am strong, when I am on your shoulders;
You raise me up: To more than I can be.

You raise me up, so I can stand on mountains;
You raise me up, to walk on stormy seas;
I am strong, when I am on your shoulders;
You raise me up: To more than I can be.

There is no life - no life without its hunger;
Each restless heart beats so imperfectly;
But when you come and I am filled with wonder,
Sometimes, I think I glimpse eternity.

You raise me up, so I can stand on mountains;
You raise me up, to walk on stormy seas;
I am strong, when I am on your shoulders;
You raise me up: To more than I can be.

You raise me up, so I can stand on mountains;
You raise me up, to walk on stormy seas;
I am strong, when I am on your shoulders;
You raise me up: To more than I can be.

You raise me up: To more than I can be.



2009/10/01 00:55 2009/10/01 00:55
뉴익

아저씨 투박한 얼굴에비해 옥구슬 목소리를 가지셨는데??